•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ory effec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8초

비파잎과 씨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on Adipogenesis)

  • 민오진;오진;김현아;김민숙;백흠영;김용재;류동영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0-274
    • /
    • 2010
  • Obesity is caused from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which may lead to pathologic growth of adipocytes and accumulation of fat in tissue.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on lipid absorption in vitro and fat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to adipocytes. 3T3-L1 preadipocytes were stimulated with DMEM media containing 10% FBS, 0.5 mM 3-isobuthyl-1-methyxanthine (IBMX), $5\;{\mu}g/ml$ insulin, and $1\;{\mu}g/ml$ dexamethasone for differentiation to adipocytes. E. japonica leaf extract at concentration of 0.5 or 1 mg/ml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The cell viability of 3T3-L1 adipocytes slightly reduced about 3% by treatment of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The leaf and seed extracts of E. japonica effectively inhibited the accumulations of lipid droplet and expression of $C/EBP{\alpha}$ promoting adipogenesis. Thus, this data suggest that E. japonica leaf and seed extracts inhibit fat accumulation through regulation of $C/EBP{\alpha}$, and leaf extract is more effective in lipid absorption and adipogenesis than seed extract.

커피발효물의 발효특성 및 항비만 효과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fermented products of coffee wine)

  • 박소현;오현화;정도연;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3-71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초균으로 발효된 브라질산 원두로 커피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효모 발효를 위한 혼합액(20% glucose, 1% yeast extract, 70% roasted coffee extract)에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균주를 접종한 후, 정치배양(30℃, 5일)하여 커피와인을 제조하였다. 커피식초는 Acetobacter pasteurianus CT_02 균주로 제조한 종초를 커피와인에 30%(v/v) 첨가하고, 진탕배양(30℃, 120 rpm, 15일)하였으며 발효기간 중 5일 간격으로 생균수, 이화학적 특성(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 유기산, 유리당 및 에탄올 함량을 분석하였다. 초산균 발효 전(0일 차, AUFCW)과 후(15일 차, AFCW)의 생균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의 변화는 각각 6.35 log CFU/mL에서 4.19 log CFU/mL, 8.10 °Brix에서 8.57 °Brix, 3.88에서 3.07 및 1.29%에서 7.45%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한 glucose의 함량은 발효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에탄올 함량은 AUFCW에서 6.02%(w/v)였으나, AFCW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FCW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5,921.43 mg%), succinic acid(434.96 mg%)와 citric acid(69.43 mg%)로 3종이 검출되었다. 커피식초의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DI로 지방분화가 유도된 3T3-L1 세포에 대한 AFCW의 항비만 효능평가를 지질축적률, 렙틴 단백질 발현량 및 지방 생성관련 유전자(PPAR-γ 및 SREBP-1c)의 mRNA 발현량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AFCW의 항비만 효능은 200 ㎍/mL 농도 처리 시 MDI 단독 처리구 100%에 비해 지질축적률은 69.37%, 렙틴 단백질 함량은 50.20%로 감소하였으며, PPAR-γ 및 SREBP-1c의 mRNA 발현량은 각각 79.89% 및 48.8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피와 인으로 제조된 커피식초가 초산균의 발효과정을 통해 항비만 효능을 더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랫트 모델에서 홍삼에 의한 고중성지방혈증 개선 효과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Hypertriglyceridemia in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Rat Model)

  • 김혜윰;김현준;홍미현;고선미;황승미;임동중;안유미;이호섭;강대길;이윤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50
    • /
    • 2018
  • Korean Red Ginseng (RG) are used as a traditional treatment for improve blood circulation.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on lipid metabolism in high fat/cholesterol diet (HFCD)-induced hypertriglyceridemia.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HFCD diet with/without fluvastatin (Flu, positive control) 3 mg/kg/day, and RG 125 or 250 mg/kg/day, respectively. All groups received regular diet or HFCD diet, respectively, for 13 weeks. The last three groups treatment of Flu and RG 125, and RG 250 orally for a period of 9 weeks. Group 1, reular diet; group 2, HFCD diet; group 3, Flu + HFCD diet; group 4, RG 125 + HFCD diet; group 5, RG 250 + HFCD diet. As a result, treatment with low or high doses of RG markedly attenuated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s and augmented plasma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HDL) in HFCD-fed rats. RG and Flu also led to an increase in lipoprotein lipase activity in the HFCD group. On the other hand, RG and Flu led to an decrease in fatty acid synthase and free fatty acid activity in the HFCD group. Treatment with RG suppressed increased expressions of $PPAR-{\alpha}$ and AMPK in HFCD rat liver or muscle. In addition, the RG attenuated triglyceridemia by inhibition of $PPAR-{\gamma}$ and FABP protein expression levels and LXR and SREBP-1 gene expression in liver or muscle. The RG significantly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disturbances such as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lipidemia. Taken together, the administration of RG improves hypertriglyceridemia through the alteration in suppression of triglyceride synthesis and accentuated of triglyceride decom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G i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riglyceridemia.

식중독균 생육에 대한 Enterococcus faecalis MJ-231의 박테리오신과 소르빈산칼륨의 혼합처리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alis MJ-231 and Potassium Sorbate on Growth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2-199
    • /
    • 2010
  • 식중독균에 대하여 Enterococcus faecalis MJ-213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과 소르빈산칼륨의 혼합처리에 의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한 박테리오신의 MIC는 50 ${\mu}g$/ml,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에 대한 MIC는 100 ${\mu}g$/ml이었으나, 400 ${\mu}g$/ml의 농도 하에서도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2471의 증식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S. aureus ATCC 6538과 S. enteritidis ATCC 13076 ($10^6$ CFU/ml)에 박테리오신 100 ${\mu}g$/ml 단독 처리 후 24시간 만에 초기 균수가 각각 약 4 log와 2 log cycle 감소되었고, 박테리오신 100 ${\mu}g$/ml와 소르빈산칼륨 100 ${\mu}g$/ml을 혼합 처리한 경우는 박테리오신만을 처리할 때 보다 유의적(p<0.05)으로 더 높은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박테리오신 단독처리에 의한 S. aureus과 S. enteritidis의 저해율은 각각 $9.36{\pm}0.58%$$3.71{\pm}0.24%$로 가열처리 하지 않은 박테리오신의 항균력 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pH 조정하지 않은 박테리오신 단독 처리에 의한 S. aureus의 저해율($65.61{\pm}0.42%$)은 pH 6.0 혹은 8.0으로 조정한 박테리오신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의 pH로 조정한 박테리오신의 항균력은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박테리오신 활성은 ${\alpha}$-amylase와 lipase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rotease II와 pepsin 처리에 의해선 활성이 거의 소실되었다. 또한 갈은 쇠고기 내에 접종된 S. aureus와 S. enteritidis의 균수도 박테리오신 단독처리시보다 소르빈산칼륨과 혼합처리에 의해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유의적(p<0.05)으로 더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ipogenesis 저해제와 lipolysis 촉진제로서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의 새로운 역할 (Novel Role of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 as a Lipogenesis Inhibitor and Lipolysis Stimulator in 3T3-L1 Adipocytes)

  • 이수진;김지은;최윤주;진유정;노유정;설아윤;송희진;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55-864
    • /
    • 2022
  •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의 약리학적 효능은 광노화(photoaging), 염증(inflammation), 간독성(hepatotoxicity), 급성 위염(acute gastritis) 및 골유착(osseointegration)을 포함한 일부 분야에서만 연구되었다. 비만에 대한 D. tuberculatus의 새로운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의 메탄올 추출물(MED)을 처리한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축적에 대한 억제효과와 지방분해에 대한 촉진효과를 연구하였다.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지방세포에 분화 기간동안 MED를 처리했을 때,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α의 mRNA 수준 뿐만 아니라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2 (aP2)과 fatty acid synthase (FAS)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지방세포에 분화 기간 동안 MED를 처리했을 때, Oil red O로 염색된 지방방울(lipid droplets)에서 유사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3T3-L1 지방세포에 MDI로 분화를 유도한 후 MED를 처리했을때, cAMP농도, free glycerol 농도, lipases의 발현을 포함한 lipolytic targe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MED가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지방세포에서 lipogenesis 저해제와 lipolysis 촉진제로서 새로운 역할을 갖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