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autooxidatio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7초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cts from Fruit of Curdrania tricuspidata)

  • 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7-551
    • /
    • 2001
  • The compa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thanol, and aqueous fractions extracted from fruit powder of Cudrania tricuspidata by different temperature were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autooxidation of rat hepatic and renal microsomes by using thiobarbituric acid (TBA) for assay of free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by DPPH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In DPPH method, acetone fraction extracted at 30℃ showe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cetone fractions extracted at 30℃ and 60℃ and ethanol fraction extracted at 30℃ showed stronger than BHT (butylated hydroxitoluene) although used ten-fold lower concentrations. In thiocyanate method used linoleic acid an inhibitory effects of all fractions showed higher than control treatment. TBA method used linoleic acid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in acetone fraction extracted at 30℃ and 60℃. an inhibition activity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hepatic microsomes of rats showed the highest at acetone faction extracted at acetone fraction among extracted fractions was shown to be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this action was more potent in fractions extracted at 30℃ than those extracted at 60℃.

  • PDF

숙성된 3종 인삼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s of Steamed Three Ginseng Extracts)

  • 김민정;권륜희;장민우;하배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5-162
    • /
    • 2012
  • 숙성된 인삼은 인간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향상시키는 강장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백삼보다 더 많은 약리적인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전이 가능한 종양, 림프구 증식과 쥐간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숙성된 인삼의 효과도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3가지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하게 되었다. 시장에서 이미 만들어진 홍삼엑기스를 사용하였고, 그 외 수삼, 건삼을 구매하여 홍삼제조기로 만들어진 추출물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숙성된 인삼의 3가지 추출물들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섬유아세포에서 collagenase 억제와 collagen 합성의 효과를 연구했다. 숙성시켜 만든 수삼은 100 u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뿐만 아니라 vitamin C보다 더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collagen 합성과 collagenase 억제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멸치액젓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 박종옥;윤미선;조은정;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78-1385
    • /
    • 1999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및 chromatography를 행하였다. 모든 용매분획들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며 그 중 BuOH층과 수용액층이 소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수용액층을 투석막(MWCO 1000)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하였을 때 투석막 내액의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으므로 멸치액젓의 항산화성 물질은 분자량 10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항산화물질 분획(tube No. 230-245)로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column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0 N NaCl용액) 및 0.05N NaCl용액으로 용출된 분획에서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15\;{\mu}M$$Fe^{+++}\;ion$의 존재하에서 0 N NaCl 분획만 항산화활성이 유지되었다. Biogel P2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3번과 5번 분획의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TLC확인결과 아미노기가 풍부한 분자들임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른 분획들보다 3번과 5번 분획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TLC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하나의 band를 HPLC의 C18 column으로 분석하였을 때 3개의 peak 중 항산화활성을 갖은 물질은 methionine 유도체이었으며 이는 멸치젓 수용액층의 많은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여러 아미노산 또는 oligopeptide의 유도체들의 상승효과가 멸치액젓의 항산화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 조영수;조영수;김현정;정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310-1315
    • /
    • 1999
  •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occurring in the traditional medicine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e antioxidative substances of water soluble extract from leaves, stem bark, root bark and fruit powder of Cudrania tricuspidata were tested in three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In oxidation models using DPPH( , ' diphenyl picrylhydrazyl) method, Fe2+ induced linoleic acid peroxidation, and autooxidation of hepatic microsomal membrane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soluble extract from stem bark were strong than that from leaves and root bark.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contained the highest amounts of polyphenolic compounds among the parts of this plant. The changes in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fruit powder caused by heat treatment (20oC, 40oC, and 60oC) were also monitored. After water blanching,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was increased slightly in the following order; 20oC(1454mg), 40oC(1487mg), and 60oC(1511mg). These results supports that water soluble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contain antioxidative compounds.

  • PDF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nvironment-friendly agro-produce and processed food

  • Kim, Soo-Mi;Kim, Joo-Hee;Son, Myoung-Jin;Kim, Se-Young;Rico, Catherine;Kang, Mi-Young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16-31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on garlic cultivation, and the methods for processing garlic at proper ripening stage to increase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rket valu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and processed black garlic were analyzed in vitro and ex vivo. The ethanol extracts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used in the antioxidant, linoleic acid autooxidation, lipid oxidation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NO induced activity analyses. Also, toxicity tests by RBL-2H3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MTT assay were compared. Obesity inhibition test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also studied.

  • PDF

가시오가피 잎·뿌리·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Roots, Stems and Fruits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 허수진;안희영;강민정;이재홍;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52-1059
    • /
    • 2011
  •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수용성,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 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열수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 16.04%,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2.67%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1.43%로 가장 높았다.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K, Ca 및 Mg 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측백나무 잎.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Extracts from Thuja orientalis)

  • 안희영;허수진;강민정;이재홍;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2
    • /
    • 2011
  • 측백나무 잎 및 열매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총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지방산 조성) 분석과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을 측정하였다.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12.90%), 폴리페놀 화합물(16.02%) 및 플라보노이드(0.25%) 함량이 가장 높았다. 측백나무 잎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Ca, K, 및 Mg이었다. 측백나무 잎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및 lauric acid였으며, 열매는 palmitic acid 및 dec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측백나무 열매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측백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오가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임진아;윤보원;강정일;백승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55-960
    • /
    • 2007
  • Efficacy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Acanthopanax sessiliflorus was investigate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extract at $RC_{50}$ was 29.93 ${\mu}g/mL$. After addition of 0.96 mg/mL extract, autooxidation of pyrogallol decreased to 22.85% by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against linoleic acid during incubation times of 24, 48, 96 hours at $40^{\circ}C$, lipid peroxidation 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by 48.89%, 45.0%, 46.34% with addition of 0.2 mg/mL,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was determined as gallic acid equivalents (GAE) and values revealed $410.25{\pm}4.74$ GAE ${\mu}g/mg$ of extract. Nitrite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t pH 1.2, exhibited to 88.3% by addition of 0.2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 extract from A. sessiliflorus can be used as bioactive and functional material.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 임진아;나영순;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06-310
    • /
    • 2004
  • 본 연구는 왕대나무 줄기의 생리황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왕대나무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왕대나무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_{50}$)은 $116.75\;{\mu}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43.88%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50\;{\mu}g/mL$)을 첨가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4일과 6일 경과 후 각각 74.76%, 54.48%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0.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 조건에서 43.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왕대나무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왕대나무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쌀겨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 안희영;최다정;김보경;이재홍;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14-1020
    • /
    • 2015
  • ㈜한국바이오솔루션에서 제공받은 쌀겨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Bran, FRB)과 현재 시판 중에 있는 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Fermented Rice-Soybean, FRS)을 대조군으로 in vitro상에서의 이 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고,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e/Cu 환원력,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flavonoids 함량은 각각 19.92 mg/g과 11.56 mg/g으로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쌀겨발효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에서도 69.8%로 상당히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또한, 처리농도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한 결과, 쌀겨발효 추출물이 미배아대두발효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식품소재 개발을 위해 쌀겨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