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ed library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9초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s for Linked Data in Libraries)

  • 조명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81-198
    • /
    • 2010
  • 본고에서는 현재 문서중심의 웹에서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의 패러다임전환의 필요성을 논하고 있다. 이 새로운 틀 속에서, 인간이 이해하듯이 기계가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의미가 통하는 웹을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된 시멘틱웹의 한 부분으로서의 Linked Data를 활용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서관 네트워크가 가능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Linked Data의 핵심개념, 핵심구성요소, 필요한 네 가지 원칙, 유용성을 설명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미 의회도서관과 스웨덴 국립중앙도서관의 LIBRIS를 중심으로한 도서관 관계의 Linked Data의 활용도 살폈다. 특히 도서관에서의 시맨틱 레벨을 올리는데 앞장선 FRBR 및 RDA를 Linked Data 측면에서의 협조방향을 찾아봤으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두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Deploying Linked Open Vocabulary (LOV) to Enhance Library Linked Data

  • Oh, Sam Gyun;Yi, Myongho;Jang, Wongho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6-15
    • /
    • 2015
  • Since the advent of Linked Data (LD) as a method for building webs of data,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pply and implement LD in various settings.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vert bibliographic data in libraries into Linked Data, thereby generating Library Linked Data (LLD). However, when memory institutions have tried to link their data with external sources based on principles suggested by Tim Berners-Lee, identifying appropriate vocabularies for use in describing their bibliographic data has proved challenging.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Linked Open Vocabularies (LOV) in providing better access to various open datasets and facilitating effective linking. The paper will also examine the ways in which memory institutions can utilize LOV to enhance the quality of LLD and LLD-based ontology design.

편목의 관점에서 본 링크드 데이터: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Linked Data in Library Cataloging)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71-95
    • /
    • 2019
  •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로의 이행(移行)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체질 개선과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링크드 데이터에 어떻게 접근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편목의 관점에서 링크드 데이터 모델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2) 링크드 데이터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성과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미(歐美) 도서관계의 내밀한 경험과 노력을 추적해 가면서 (3) 향후 링크드 데이터 모델로의 체제 전환을 위해 우리가 검토하고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웹 환경에서 도서관이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3.0 Concept and its Service Model)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3-307
    • /
    • 2010
  • 웹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와 함께 도서관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도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학자들과 현장 전문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3.0을 바라보는 다양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도서관 3.0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3.0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도서관 3.0 서비스의 키워드는 기계에 의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시맨틱 웹 기술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전자도서관에 적용되어 '진정한 지식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한 소셜시맨틱디지털도서관, 도서관의 자원이 Linked Data가 되어 전 세계의 도서관이 연결된 구조의 링키드 도서관, 그리고 RFID 및 모바일기술이 적용된 유비쿼터스적 모바일 도서관이다.

도서관 링크데이터(Library Linked Data) 현황분석과 통합 LLD 설계 및 확산방향에 대한 고찰 (Analyzing Current State of Library Linked Data, Designing an Integrated LLD, and Thoughts on Ways to Expand LLD)

  • 오삼균;김성훈;장원홍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1-3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W3C의 특별 작업반 형태로 운영되어 온 도서관 링크데이터(LLD : Library Link Data) 관련 국제 활동상황을 분석하고, LLD가 도서관 서비스에 미칠 혜택을 사례연구를 통해 우선 숙고한 후, 보다 의미 있는 LLD를 위한 글로벌 식별체계, 이용 가능한 어휘와 데이터셋의 연결 문제 및 RDF, SKOS, Microformats, RDFa 등의 LLD 적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다. 아울러 LLD 수용 및 LLD 기반 신 정보서비스 구축의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바탕 위에 LLD 기반 신 디지털정보시스템 설계 및 LLD 확산을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의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ference Model of Smart Library based on Linked Open Data)

  • 문희경;한성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66-1672
    • /
    • 2016
  • 최근 스마트 기술이 다양한 정보시스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 도서관 서비스 분야는 디지털도서관을 넘어 스마트 도서관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그리고 사용자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도서관 서비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요구된다. 기존 도서관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이기종의 도서관 시스템간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이 저해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서비스의 통합에 중점을 두어 미래 도서관 시스템의 원형으로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라이브러리 제안한다. 링크드 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는 첨단 정보기술이 모여진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우리는 링크드오픈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라이브러리를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라 시스템 환경을 설계하였다.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정보기술의 에코시스템을 고려하여 스마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 지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참조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국내 도서관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구축과 발행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Publishing in Library Linked Open Data)

  • 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5-169
    • /
    • 2020
  • 도서관 LOD가 확산되지 못하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 LOD의 발행과 구축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조사, 전문가 면담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첫째 도서관은 LOD 구축 대상의 중복을 피하고, 유일하고 특화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은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LOD 서비스를 개발하고, 편리한 LOD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서관은 데이터의 식별체계를 마련하고 전거파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도서관은 사서나 이용자에게 데이터 개방과 연계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위한 교육과 홍보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도서관은 통합 검색을 위해 LOD를 활용하고, 도서관 LOD를 검색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도서관은 LOD 발행과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LOD 추진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계속해서 예산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링크드 데이터에서 인물 정보의 식별 및 연계 범위 확장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Linked Data: Focusing o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성숙;박지영;이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국내 Linked Open Data 발행 후 활용에 관한 연구 - 국가서지와 RISS Linked Dat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practicality after publishing Linked Open Data: focused on National bibliography and RISS)

  • 이현정;남영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4
    • /
    • 2014
  • Linked Data는 서로 분리돼 있는 데이터를 HTTP와 SPARQL을 이용하여 한 번에 질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공공정보들이 여러가지 형식으로 공개되고 있지만 데이터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공개된 다른 데이터들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Linked Open Data (LOD)로 발행되고 있다. 국내 LOD 중 국가서지 Linked Data와 RISS Linked Data를 중심으로 발행현황을 살펴보고 LOD 발행 후 외부자원과의 연결을 시도한 활용서비스에 대하여 점검하고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LOD 발행에 있어 SKOS, FOAF, DC 등과 같은 국제 표준용어집을 사용하여 연계 용이성을 확보하고 LOD 연계에 대한 실질적 활용과 운용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외 LOD 플랫폼을 통해 홍보 및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력과 기술적인 운용에 대한 가이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dCollection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figuring dCollection as the Linked Data)

  • 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7-271
    • /
    • 2012
  • 기관리포지터리와 링크드 데이터는 자원을 공동 활용하자는 정신에 있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개념을 연계시킴으로써 새로운 접근방법에 의한 정보공동생산과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dCollection을 링크드 데이터로 실험적으로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첫째, dCollection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였다. 둘째, dCollection이 구축대상으로 하고 있는 자원유형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셋째, dCollection의 자원유형에 해당하는 자원 중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는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구축되어 있는 자원의 사례를 집중 분석하였다. 넷째, dCollection의 메타데이터를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하는 방법과 링크드 데이터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링크드 데이터로 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