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 graph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18초

LINE GRAPHS OF COVERING GRAPHS ARE COVERING GRAPHS

  • Dan Archdeacon;Lee, Jaeun;Sohn, Moo-Yo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37권3호
    • /
    • pp.487-491
    • /
    • 2000
  • Let G be a covering graph of G. We show that the line graph of G covers the line graph of G. Moreover, if the first covering is regular, then the line-graph covering is regular.

  • PDF

Interpretation Abilities of American and Korean Students in Kinematics Graphs

  • Kim, Tae-Sun;Kim, Ji-Na;Kim, Beom-K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1-677
    • /
    • 2005
  • Line graphs are powerful tools in conveying complicated relationships and ideas because line graphs show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two continuous variables. Also, line graphs can show readers the variations in variables and correlate two variables in a two dimensional space. For these reasons, line graphs have a significant role in physics, especially kinematics. To what extent are Korean college and secondary students able to understand kinematics graphs?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merica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interpreting kinematics graphs? The TUG-K instrument (Test of Understanding Graphs in Kinematics)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in both countries. The results show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by TUG-K objective. Also,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a graph comprehension theory.

과학관련 선 그래프를 해석하는 고등학생들의 발성사고 과정 분석 (Analysis of Interpretation Processes Through Readers' Thinking Aloud in Science-Related Line Graphs)

  • 김태선;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32
    • /
    • 2005
  • 선 그래프는 막대그래프와 달리 각 변인들의 변화에 기인한 경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선 그래프로부터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이 선 그래프를 읽고 해석할 때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니지 못한 학생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사고과정을 거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발성사고를 통하여 고등학생틀의 선 그래프 이해 수준과 선 그래프 유형에 따라 선 그래프를 읽는 사고 과정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주어진 시간 동안에 상위 그룹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하위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보다 더 많은 문장을 발성사고하였으며, 하위 그룹의 학생들과 달리 적응단계에서 선 그래프의 유형, 경향, 라벨 등을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위그룹의 학생들은 하위그룹의 학생들보다 초인지적인 문장을 발성사고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선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과 단순히 일반적인 그래프 도식을 지닌 학생들을 구별하고 그에 따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융통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운동학 그래프 이해 능력 (Testing undergraduate interpretation of kinematics graphs)

  • 김태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2006
  • 그래프는 물리학자들이나 물리교육자들에게는 좋은 의사소통 도구가 되며, 실험세계를 그래프로 보여줄수 있는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그래프를 작성하고 해석할 줄 아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학 그래프 해석 능력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광역시 180명 대학생들의 운동학 그래프 이해 능력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위치-시간 그래프에서 속도를 결정하거나,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가속도나 변위를 결정하는 기능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며, 위치-시간 그래프를 속도-시간 그래프로 변환하거나 가속도-시간 그래프로 변환하는 기능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또한 그래프와 관련된 지문을 연결하는 기능도 다른 기능들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LINE GRAPHS OF UNIT GRAPHS ASSOCIATED WITH THE DIRECT PRODUCT OF RINGS

  • Pirzada, S.;Altaf, Aaqib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30권1호
    • /
    • pp.53-60
    • /
    • 2022
  • Let R be a finite commutative ring with non zero identity. The unit graph of R denoted by G(R) is the graph obtained by setting all the elements of R to be the vertices of a graph and two distinct vertices x and y are adjacent if and only if x + y ∈ U(R), where U(R) denotes the set of units of R. In this paper, we find the commutative rings R for which G(R) is a line graph. Also, we find the rings for which the complements of unit graphs are line graphs.

CLIQUE-TRANSVERSAL SETS IN LINE GRAPHS OF CUBIC GRAPHS AND TRIANGLE-FREE GRAPHS

  • KANG, LIYING;SHAN, ERFANG
    • 대한수학회보
    • /
    • 제52권5호
    • /
    • pp.1423-1431
    • /
    • 2015
  • A clique-transversal set D of a graph G is a set of vertices of G such that D meets all cliques of G.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is the minimum cardinality of a clique-transversal set in G. For every cubic graph with at most two bridges, we first show that it has a perfect matching which contains exactly one edge of each triangle of it; by the result, we determine the exact value of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it. Also, we present a sharp upper bound on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a cubic graph. Furthermore, we prove that the clique-transversal number of line graph of a triangle-free graph is at most the chromatic number of complement of the triangle-free graph.

High Resolution Linear Graphs : Graphical Aids for Designing Off-Line Process Control)

  • Lee, Sang-Heon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3-88
    • /
    • 2001
  • Designing high quality products and processes at a low cost is central technological and economic challenge to the engineer. The combination of engineering concepts and statistical implementations offered by Taguchi\`s off-line design technique has proven t be invaluable. By examining some deficiencies in designs from the Taguchi\`s highly fractional, orthogonal main effect plan based on orthogonal arrays, alternative method is proposed. The maximum resolution or the minimum aberration criterion is commonly used for selecting 2$^{n-m}$ fractional designs. We present new high resolution (low aberration) linear graphs to simplify the complexity of selecting designs with desirable statistical properties. The new linear graphs approach shows a substantial improvement over Taguchi\`s linear graphs and other related graphical methods for planning experiment. The new set of linear graphs will allow the experimenter to maintain the simple approach suggested by Taguchi while obtaining the best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design such as minimum aberration as a by-product without dependency on complicated computational algorithm or additional statistical training.g.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의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지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Methods for Teaching Bar and Line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소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59-276
    • /
    • 2020
  • 본 연구는 이전과 현재의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그래프 지도에서 교수학적 지도 방법이 어떤 방식으로 발생하고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각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지도서를 대상으로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단원을 분석하였고, 그래프 지도에서 통계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적인 교육과정 변천에도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의 지도 시기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공학의 활용을 최근의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바에 비교해서 교과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통계에서 유의미한 개념인 자료의 변동성, 분포, 표본, 표본추출 등을 실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그래프 지도 및 통계 영역에서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Analysis of Graph Typ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 이진봉;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5-2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그래프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만들고,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지구과학 그래프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그래프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지구과학 교과서 분석 결과, 선 그래프와 등치선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 그래프 중에는 단순 선 그래프 이외에도 다중 선 그래프와 YX 그래프의 사용 비율이 특히 높았다. 다른 과학 교과의 그래프와 비교 분석한 결과, 지구과학 교과는 다른 과학 교과에 비해 사용되는 그래프의 수가 많고 그 유형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다른 과학 교과에 비해 선 그래프의 비율은 낮은 반면 등치선도, 분산 그래프 등의 비율이 높았다. 선 그래프 중에서는 특히 YX 그래프의 비율이 다른 교과에 비해 매우 높아 지구과학 교과의 가장 특정적인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그래프의 구조와 기능면에서의 개선을 시사하며,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