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activity experienc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기 가족의 여가생활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요구도 분석 (The Needs on Parent Education for Leisure Life of the Adolescent Family)

  • 김순옥;한상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91-106
    • /
    • 2006
  •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leisure and analyzing the needs of the parents raising adolescent children on parent education for family leisure. The subjects were 287 parents raising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at middle schools. They were intentionally sampled from the middle schools at Seoul, Gyeonggi, Daejeon, Donghae, Samcheok and Changwon. This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id expectation for parent education for family leisure was high. The degree of aid expectation by demographic varia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ather, religion of parents and job of parents. Second, among family leisure activity types, education needs for education- and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were highest. The average education needs for family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each family leisure activity type, were 2.95/4, which was relatively high. Third, as for the needs of parent education methods for family leisure of the parents raising adolescent children, the needs for program contents were highest in attending lectures. Weekday mornings and children's non-vacation season were the highest program practicing times. In teaching methods, participating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needs; in session, one or two second sessions were the highest.

연안역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Actual Analysis and Solution of Aquatic Leisure Activity Safety Accident Around Coast)

  • 정종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7-251
    • /
    • 2006
  • 다양화 개성화로 확산되고 있는 21세기 고도화된 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소득수준의 향상과 토요일 휴무제에 따른 여가활용 시간의 증대에 수반하여 수상레저활동의 인구가 증가한 동시에 그 내용은 매우 활동적이다. 종래 여가활동이라고 하면 정적인 옥내활동이 주류였으나, 현시점의 여가활동은 사회발전과 더불어 옥외활동, 나아가서는 스스로 활동하고 경험하는 쪽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상 레저는 안전한 수상활동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수상레저활동의 급성장으로 인하여 수상안전사고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수상 레저기구 활동자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종합적인 육성과 관리대책 마련하고자한 결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위해서는 소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안전검사 및 등록을 의무화하여 제도권에서 활동하도록 하여야하며 수상레저활동 안전사고에 대한 피해보전을 위해서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강력한 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

여가활동이 수면장애 노인의 우울, 자존감,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Self-Respect and Sleep Quality in the Elderly with Sleep Disorder)

  • 김동현;김형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여가활동을 통한 수면장애노인의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우울, 자존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18년 3월부터 동년 7월까지 수면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을 4주 이상을 적용하였다. 여가활동 적용 전과 후의 우울, 자존감, 수면의 질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여가활동에서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그리고 변화는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한 구조방적식모델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전, 후의 우울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 둘째, 여가활동 전, 후의 자존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182). 셋째, 여가활동 전, 후의 수면의 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 넷째, 여가활동에서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변화에 대한 영향은 여가경험이 여가정체성과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정체성은 변화의 요인 중 우울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노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수면의 질 저하는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면장애를 가진 노인들의 여가활동적용이 노인의 우울 수준과 자존감 그리고 수면의 질에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여가활동의 감성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Response of Leisure Activity)

  • 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32
    • /
    • 2005
  • The role of emotional responses is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consumer behavior. Although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related emotions have been studied with increasing quantities in leisure studies or fields of outdoor recreation and tourism, issues concerning the appropriate way to measure these emotional responses remains unresolved. This article reviews the emotion measuring scales, and testify the usefulness of PAD scale based upon 349 questionnaires by users of Phoenix Park(Ski Resort) and Seoul Land(Theme Park) in Korea. It was found that, users' emotional response was clos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in Phoenix Park(Ski Resort); however, users' perceived performance was closely related with satisfaction in Seoul Land (Theme Park).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meanings of these findings is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typology between ski resort and theme park. In conclusion, users' emotional experience may be more useful in understanding skiing activities and in formulat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ski resorts than theme parks.

독신여성들의 여가체험 이해 (Leisure Experiences of Unmarried Women)

  • 김이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7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마니아 계층인 독신여성들의 여가 실체를 규명하여 이들의 여가경험의 체험적 맥락과 특성들을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목적 샘플링 과정을 통하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회의 개별면담과 1회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자료 수집을 위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전사 작업, 코드화, 의미화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개개인의 익명성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독신여성들은 여가를 '즐거움과 흥미' '해방감' 그리고 '자유로움'을 표출시키기 위한 도구이며,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PDF

신체활동 대학생들의 시간관이 여가제약,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University Students on Time Perspective i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Flow)

  • 서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67-579
    • /
    • 2017
  • 본 연구는 신체활동 대학생들의 시간관이 여가제약,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2017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D시와 C시의 대학생 총 295명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Ver20.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가제약에서는 여성이 여가몰입에서는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은 시간관의 과거부정과 여가제약의 개인적 제약에서 1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서는 자연계열, 인문계열은 과거부정과 여가제약이 높고 서비스계열은 현재쾌락과 여가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유형에서는 시간관의 과거부정, 현재숙명, 여가제약은 율동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몰입은 경쟁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대학생의 시간관에 따른 여가제약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몰입은 전체적으로 과거긍정, 현재쾌락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the Leisure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ypes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 남은영;최유정
    • 한국인구학
    • /
    • 제31권3호
    • /
    • pp.57-8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여가문화의 유형과 사회계층 변수별 차이를 규명하는 한편, 계층 변수가 여가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전국가구에 거주하는 1376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면 여전히 가장 많이 영위되는 여가활동은 TV/DVD/비디오 보기이고 그 밖에도 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선호된다. 여가 유형은 "활동형"과 "음주형", "휴식형", "관계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여가의 기능은 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여가의 목적으로는 휴식과 재충전이 가장 중시되고, 유용한 대인관계 형성이 그 다음이다. 또한 자유시간에 일 생각을 많이 하는 등 여가에 대한 효용감이 낮다. 셋째, 관계형, 활동형, 음주형 여가에서 고학력, 고소득층의 참여 정도가 확연히 높다. 휴식형 여가에서는 교육과 소득에 따른 차이가 없다. 직업별로는 학생과 주부의 참여도가 전 여가유형에서 높은 가운데, 관리/전문직 및 사무직/준전문직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 넷째, 여가활동의 객관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가활동지수에 대한 소득, 교육, 직업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지수가 여가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다. 직종별로는 학생이 여가만족도가 높고 판매서비스직과 생산/기능/노무직은 낮다. 동거가족수는 여가만족도와 반비례한다. 활동형 여가가 가장 여가만족도가 높고 음주형 여가가 가장 낮다.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자주 즐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활동형 여가가 삶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향상시킨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및 여가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a Grandchild Caregiving Grandmother)

  • 조윤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3
    • /
    • 2019
  • 본 연구는 돌봄 관련 변수가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와 여가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 건강 만족도에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월 가계 총 소득, 돌보는 손자녀 수,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여부가 영향 변수였다. 즉,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돌보는 손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성인 자녀와 돌봄 갈등이 없는 경우, 조모의 신체 건강 만족도가 높았다. 여가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조모의 교육 수준과 성인 자녀와의 돌봄 갈등 여부가 포함되어, 조모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돌봄 갈등이 없을 때, 이들의 여가 활동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를 논하였고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근로자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여가자원 이용 및 여가활동 비교분석: 2012년 국민여가활동 조사 결과를 기초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 of Leisure Resources and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Forty-hour-a-week Working System: Based on 2012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 박민정;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9-37
    • /
    • 2013
  •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welfare, forty-hour-a-week working system:(FWS) has been an important goal throughout world, and in fact, advanced countries implemented this a long time ago.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s concerning FWS; some people emphasizes the improvement in life quality, while others point out that this measure increases the cost of wages and has limited effectiveness. Thus, discussions about the success of FWS have emerged from diverse perspectives; One thing that should be made clear before debating FWS is that reducing laborers' working hours is already a global trend, and Korea, also intends to extend it.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benefits resulting from the execution of the system and to identify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FW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ual laborers' use of leisure resources and whether they have increased or decreased as a result of FWS. It is also necessary to look at the differences in workers' leisure activity with and without the system. To evaluate and diagnose FWS's political e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ers' leisur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s in life quality,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leisure expenses, leisure hours, use of and demand for leisure resources such as leisure space, and types of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FW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2012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s, the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executing FWS and ensuring that the system is in use. The study results can be briefly summed up as followa:: First, regarding the general findings of the study, a significant result was shown in terms of the execution of FWS according to income level. The finding that the execution of FWS work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life quality reassures us of the common notion in society that working environment or life quality may differ in relation to social characteristics. The utility of weekday leisure hours did not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in terms of weekend leisure hours, laborers practicing FWS had an additional 30 minutes of leisure time than those who did not. Furthermore, regarding leisure expenses, laborers practicing FWS indicated more monthly average leisure expenses or expected leisure expenses. In relation to leisure activity, those working at a company executing FWS engaged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orking at the companies that did not. On the other hand, those working at companies without FWS indicated more hobbies, amusement activities, rest, and other activities than those working at the companies with FWS. In terms of vacation experience, those working at companies with FWS had more vacation time than those working at companies without it; on average, they had longer vacations by 1.64 days. Regarding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those working at companies with FWS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and greater happiness than those working at companies without it.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represent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is paper, and the remainder of the research will provide more detailed analysis results and suggestions corresponding to them.

  • PDF

여가 문화 활동으로서 게임의 사회적 기능 (Social function of game as a leisure activity)

  • 유석호;이완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45-251
    • /
    • 2012
  • 게임 산업에 전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올바른 게임 문화 정착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가문화의 중요 선택 활동으로서 게임의 기능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여가시간에 즐겨하는 활동의 하나로서 게임의 주요 순기능으로는 스트레스해소와 긴장완화, 다양한 정체성체험과 긍정적 사회화경험, 자아존중감 강화와 이상형적 자아실현, 독립적 사고 및 문제해결능력강화, 학습동기부여, 신체능력향상, 공격적 성향의 감소, 평등적 의식배양, 기술문명에 대한 친숙감증가, 다양성에 기반을 둔 개성강화 등 10가지로 분석하여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