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coronary artery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3초

심근경색후 발생한 심실중격 결손의 외과적 치료후 장기결과 (Long Term Results After Repair of Postmyocardial Infarction Ventricular Septal Defect)

  • 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2호
    • /
    • pp.989-994
    • /
    • 1994
  • Between January 1986 and August 1993, 11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complic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The ages of patients were ranged from 22 years to 83 years with a mean of 64 years. There were 8 male and 3 female patients. The preoperative cineangiograms of all patients were reviewed to measure both ventricular function and to evaluat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mean time interval between occurance of VSD and operation was 13 days. The operations were performed as soon as possible if there were hemodynamic derangement. Postmyocardial infarction VSD were repaired simultaneuously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in 3 patients, repaired with left ventricular aneurysmectomy in 6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thrombectomy in 1 patient and with mitral valve chordae repair in 1 patient. There was no early death [within 30 days]. There were 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e with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two with recurred VSD on postoperative 1 and 6 days respectively, two with lower leg embolism associated with intraaortic balloon pump insertion, one with wound infection. Of the complicated patients, 1 patient with lower leg embolism performed left above ankle amputation. Among two patients with recurred ventricular septal defect, one patient is doing well without problem. On follow up echocardiogram, the residual VSD was occluded completely. However another patient was with recurred VSD died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because of congestive heart failure. Of the long term survivors, all patients are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 I or II. Although number of patients were small, our results of surgical closure of postmyocardial infarction VSD were favored to the others. Moreover, seven patients with preoperative cardiogenic shock among 11 were performed early operation after diagnosis of ventricular septal rupture. All of the patients were survived and doing well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refore early diagnosis with aggressive preoperative care with intraaortic balloon pumping and early operation seems to be very important for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vital organ.

  • PDF

Embolization of the Device to the Left Pulmonary Artery after the Interventional Closure of Ruptured Sinus of Valsalva Aneurysm

  • Choudhry, Lalit Kumar;Rao, Vinay M;Gnanamuthu, Birla Roy;Agrawal, Vishal;Shankar, Ravi;Prasath, Ra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202-205
    • /
    • 2015
  • Formation of an aneurysm in the sinus of Valsalva of the aortic root is usually due to an area of congenital weakness in its wall. This aneurysm may progressively dilate and rupture into any of the cardiac chambers or into the pericardial cavity. Though this is conventionally treated by surgery, interventional therapy using various closure devices is becoming more common. Embolization of these closure devices may occur. We report a case of embolization of such a device into the left pulmonary artery which during surgical retrieval, unmasked the hidden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Therefore one has to be cautious while making a diagnosis of rupture of the sinus of Valsalva of right coronary sinus without VSD.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과 사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창률;이응배;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59-1164
    • /
    • 1998
  • 배경: 수술수기와 심근보호법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의 수술성적이 향상되고 있지만 술후 사망과 이환에 직면하고 있는 일부 환자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수술후 이환과 사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을 받은 총 137명을 대상으로 술전 위험요인과 술후 이환 및 사망(이하 이환)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전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성별, 술전심근경색, 응급수술, 좌심실박출계수, 비만 그리고 3혈관 질환 등 7개의 변수를 선택하였으며 수술후 이환은 부정맥, 상처감염, 뇌손상, 술후입원기간의 장기화, 폐렴, 급성신부전증, 인공호흡기의 장기간 사용 그리고 수술사망 등으로 하고 이중 하나만 발생하여도 이환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7세였고, 27세부터 74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전체 환자의 수술사망률은 6.6%였고 이중 계획수술은 3.9%(5/128), 응급 또는 긴급수술은 44.4%(4/9)의 사망률을 보였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이환율은 65세 미만의 환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의한 이환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사망률은 여자(5/41, 12.19%)에게서 남자(4/96, 4.17%)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응급수술의 이환율은 100%로 계획수술의 환자에서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가 50% 미만인 환자에서 50% 이상인 환자보다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의 위험요인은 65세 이상의 고령과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고 수술사망의 위험요인은 50% 미만의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와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다.

  • PDF

심장핵의학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 of Nuclear Cardiology)

  • 정준기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3호
    • /
    • pp.159-164
    • /
    • 2009
  • Coronary artery disease is on the rise over the world. Myocardial perfusion SPECT is a well established technique to detect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o assess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addition, it has the unique ability to predict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Moreover, the application of ECC-gated images provided the quantitatve data and improved the accuracy. This approach has been proved to be cost-effective and suitable for the emerging economies as well as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utilization of nuclear cardiology procedures vary widely considering the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 of the world. Korea exits 2-3 times less utilization than Japan, and 20 times than the United States. Recently, with the emerging of new technology, namely cardiac CT, cardiac MR and stress echocardiography, the clinical usefulness of nuclear cardiology has been called in question and its role has been redefined. For the proper promotion of nuclear cardiology, special educations should be conducted since the nuclear cardiology has the contact points between nuclear medicine and cardiology. Several innovations are in horizon which will impact the diagnostic accuracy as well as imaging time and cost savings. Development of new tracers, gamma camera technology and hybrid systems will open the new avenue in cardiac imaging. The future of nuclear cardiology based on molecular imaging is very exciting. The newly defined biologic targets involving atherosclerosis and vascular vulnerability will allow the answers for the key clinical questions. Hybrid techniques including SPECT/CT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clinical nuclear cardiology may be headed in the immediate future. To what extent nuclear cardiology will be passively absorbed by other modalities, or will actively incorporate other modalities, is up to the present and next generation of nuclear cardiologists.

Outcom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fter Extracorporeal Life Support in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or Cardiogenic Shock

  • Kim, Younghwan;Cho, Yang-Hyun;Yang, Ji-Hyuk;Sung, Kiick;Lee, Young Tak;Kim, Wook Sung;Lee, Heemoon;Cho, Su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2호
    • /
    • pp.70-77
    • /
    • 2019
  • Background: Extracorporeal life support (ECLS) is used as a bridge to revascularization in high-risk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We reviewed our experienc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after ECLS in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or refractory cardiogenic shock.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616 patients who underwent CABG at our institution between May 2006 and February 2017. We identified patients who underwent CABG following ECLS for cardiogenic shock or cardiac arrest. Twenty-three patients (0.5% of all CABG cases) were enrolled in the analysis. Their median age was 65 years (Q1-Q3, 58-77 years). Nine patients (39.1%) were diagnosed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Mechanical complications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cluding acute mitral regurgitation, left ventricular rupture,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occurred in 9 patients (39.1%). Results: The median time fro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o ECLS initiation was 25 minutes (Q1-Q3, 18.5-28.5 minutes). Conventional CABG was performed in 10 patients (43.5%) who underwent concomitant intracardiac procedures. Postoperative ECLS was required in 16 patients (69.5%). The rate of successful ECLS weaning was 91.3% (n=21). There were 6 early mortalities (26.1%). Conclusion: CABG after ECLS was very rare in real-world circumstances. Although the early mortality rate was high, the risk of mortality may be acceptable under such devastating circumstances.

항산화제 Amifostine의 허혈 및 재관류시 흰쥐 적출심장의 심근 보호기능 (Cardioprotective Potency of the Antioxidante Amifostine in the Ischemic and Reperfused Isolated Rat Heart)

  • 허강배;천수봉;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45-854
    • /
    • 1998
  • Background: S-2-(3 aminoprophlamino) ethylphosphorothioic acid(WR-2721) is one of the radical scavenging thiols. We tested its protective effects in the reperfused heart. Material and Method: The experimental setup was the constant pressure Langendorffs perfusion system. We investigated th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of this compound in isolated rat hearts which were exposed to 20 minutes ischemia and 20 minutes reperfusion.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used:group I, control, Amifostine 50 mg(1 mL) peritoneal injection 30 minutes before ischemia(group II), Amifostine 10 mg(0.2 mL) injection during ischemia through coronary artery(group III),and Amifostine 50 mg(1 mL) peritoneal injection 2 hrs before ischemia(group IV).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the levels of latate, CK-MB, and adenosine deaminase(ADA) in frozen myocardium, the quantity of coronary flow,and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and it's dp/d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peated measured analysis of variance and student t-test. Result: The coronary flow of group II and IV were less than group I and III at equilibrium state but recovery of coronary flow at reperfusion state of group II, III, and IV were more increased compared with group I. The change of systolic left ventricular devoloping pressure of group II and IV were less than control group at equilibrium state, which seemed to be the influence of the pharmacological hypotensive effect of amifostine. But it was higher compared with group I at reperfusion state. The lactic acid contents of group II were less than control group in frozen myocardium.(Group I was 0.20 0.29 mM/g vs Group II, which was 0.10 0.11 mM/g). The quantity of CK-MB in myocardial tissue was highest in group IV (P=0.026 I: 120.0 97.8 U/L vs IV: 242.2 79.15 U/L). The adenosine deaminase contents in the coronary flow and frozen myocardi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ach group. Conclusion: Amifostine seemed to have significant cardioprotective effect during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ies of myocardium.

  • PDF

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 (Minimally Invas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나찬영;이영탁;박중원;정도현;정일상;정윤섭;김욱성;방정현;이섭;정철현;김웅한;박영관;김종환;홍승록;한재진;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18-124
    • /
    • 1998
  • 관상동맥우회술은 인공심폐기 및 심근보호의 안정성으로 인공심폐기 사용하에 시행하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다. 그러나 좌전하행지 및 우관상동맥에 병소가 위치하는 경우는 인공심폐기의 사용 없이 심장이 박동하는 상태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방법도 일부에서는 시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최소한의 절개하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방법도 대두되었다. 본 병원에서는 1996년 3월부터 8월까지 시행한 35례의 관상동맥우회술중 6례에서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4례와 여자 2례였으며 나이는 55세에서 76세로 평균 64세였다. 수술전 관상동맥의 병소는 6례 모두 좌전하행지에 90%이상의 협착을 보였으며 1례는 대각지가 50%, 또 다른 1례에서는 좌주관상동맥이 50%정도의 협착을 동시에 보였다. 수술에 필요한 개흉방법은 통상적인 정중흉골절개가 1례, 부분흉골절개술을 시행한 경우가 2례, 좌측전흉부를 개흉한 경우가 3례였다. 관상동맥우회술은 5례에서 좌측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였으며, 1례에서는 좌측내흉동맥에 요골동맥편을 단단문합한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였다. 또한 1례는 복재정맥을 이용하여 대각지에도 동시에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기관발관시간은 4시간에서 14시간으로 평균 9시간이었다. 수술에 사용한 혈액의 양은 평균 800 ml였으며 2례에서는 전혀 혈액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들중 5례에서 수술후 추적관상동맥조영술을 술후 7일에서 10일사이에 시행하여 100%의 개통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좌전하행지나 우관상동맥에 협착이 있는 경우나 상기병소에 경피적풍선확장술이 실패한 경우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최소한의 개흉하에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사료되며 앞으로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적응대상군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32, 88.67$\pm$10.22 mmHg로 감소하였고 폐동맥압의 평균은 수술전에 11.4$\pm$5.68 mmHg에서 25.94$\pm$11.53, 29.67$\pm$9.31 mmHg로 증가 하였으나 모두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05). 양측 폐이식수술에서인 폐동정맥문합부위의 파열, 협착, 뒤틀림 등의 수술수기상의 문제점을 예방하면서 우측폐를 먼저 이식하면서, 폐수술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고, 재관류손상을 방지하는 경우 cystic fibrosis, pulmonary hypertention, emphysema와 같은 심한 호흡부전증 환자의 치료방법으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에서 선택수술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에 비하여 특별한 위험 요소의 증가 관상 동맥 우회술을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장기 추적이 릴요할 된다.착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작았는데 이는 아마도수술 당시 협 착 부위의 완전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원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어린 연령(3개월 이하), 3개월이하에 시행한 쇄골하동맥편 교약성형술이 의미있는 재협착의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결론 적으로 저자등은 본연구를 통하여 대동맥협부지수, 횡대동맥 지수 등이 개개 대동맥교약 환아의 해부학 적,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아울러 교약의 해부학적 특성, 동반 심기 형, 연령, 수술방법 등이 수술사망 및 재협착에 영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 PDF

게이트 심근관류 SPECT상 운동 유발성 기절심근을 보이는 환자의 운동부하 심전도, 관류 SPECT 및 심혈관 조영술 소견 (Characteristic Findings of Exercise ECG Test, Perfusion SPECT and Coronary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Exercise Induced Myocardial Stunning)

  • 안병철;서지형;배진호;정신영;박헌식;이재태;채성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2
    • /
    • 2004
  • 목적 :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환자에서는 운동부하 후 일시적인 심근기절로 인하여 좌심실의 벽운동이상과 좌심실구혈률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운동 후 좌심실기능저하를 보이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관상동맥조영술과 운동부하 심근관류 SPECT소견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운동부하심전도, 관상동맥조영술 및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한 환자 중 게이트 SPECT로 구한 좌심실구혈률이 운동 후 5%이상 감소된 36명 (기절심근군)과 운동부하 후 좌심실구혈률 변화가 1%이하인 16명 (비기절심근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답차를 이용한 운동부하중 심전도검사를 시행하고, 최대 운동부하시 Tc-99m MIBI 740MBq을 투여한 후 이중헤드 감마카메라(Vertex Plus, ADAC)로 부하 심근관류영상을 얻었다. 심혈관조영술은 위 검사로 부터 1개월내에 시행되었다. 결과 : 기절심근군은 비기절심근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45.5 대 7.1%, p=0.01), 당뇨병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가졌으며, 고혈압의 빈도는 낮은 경향을 가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비기절심근군에 비해 기절심근군에서 SPECT 검사상 관류결손의 범위 (18.2% 대 9.1%, p=0.029)와 정도 (13.5 대 6.9, p=0.04)는 더 컸으며, 가역성정도 (7.9 대 4.8, p=0.09)는 더 큰 경향을 가졌으며, 운동부하심전도상 허혈양성 소견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가졌다(82.9% 대 64.3%, p=0.095). 심혈관조영술상 중증 ($80{\sim}99%$)의 관상동맥협착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64.7% 대 35.7%, p=0.064), 다혈관질환의 빈도 (62.5% 대 46.2%, p=0.279), 협착정도 (75.8% 대 66.8%, p=0.468)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절심근군 중 관류결손이 발견되지 않았던 4명 (11.1%) 모두에서 유의한 관상동맥협착이 있었고 혈관재개통술이 시행되었다. 결론 : 운동부하로 5%이상의 좌심실구혈률의 감소를 보이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심근관류 SPECT상 관류결손 크기와 정도가 크며, 가역성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혈관조영술상 관상동맥협착 정도가 중증인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비록 관류 SPECT상 결손이 없더라도 관상동맥조영술상 혈관 재개통술이 필요할 정도의 유의한 협착이 있어, 이러한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상동맥 우회술의 장기 생존율 (Long-term Survival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이미경;정은택;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39-145
    • /
    • 2005
  • 배경: 관상동맥 우회술 후 장기 생존율에 대한 우리의 보고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술 시작 초기에 수술 받은 환자들의 장기 생존율을 알아보았다. 대상 뜻 방법: 1990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114예(남 79예, 여 35예, 평균연령 58.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환자가 체외순환 하에 좌측 속가슴동맥과 하지 복재정맥으로 우회로술을 받았고 대동맥 차단상태에서 근위부 및 원위부 문합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135.5{\pm}17.9$개월의 추적 기간 동안 모두 37예$(32.5\%)$가 사망하였으며, 사망자 중 심장사망은 10예$(27\%)$뿐이었다 수술 후 전체 사망에 대한 1년, 5년, 10년, 13년의 생존율은 각각 $95.6\%,\;85.1\%,\;71.8\%,\;57.9\%$였고, 심장사망에 대한 1년, 5년, 10년, 13년의 생존율은 각각 $97.4\%,\;94.5\%,\;92.1\%,\;81.3\%$였으며, 장기 생존율에 대한 예상인자로는 성별 및 연령이었다 수술 후 관상동맥 조영술 및 중재술의 예상인자는 수술 전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었다. 결론: 초기의 관상동맥 우회술 후 장기생존율은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으며, 여성에서 장기생존율이 우수하였고 수술 전 고지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수술 후 관상동맥 중재술이 더 많았다.

심근경색 후 발생한 심실중격결손의 수술 (Repair of Postinfarction Ventricular Septal Defect)

  • 최종범;차병기;이삼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06-912
    • /
    • 2006
  • 배경: 급성 심근경색 후 발생하는 심실중격결손은 드문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수술만이 유일한 치료법이나, 그 수술사망률은 아직도 높다. 저자들은 수술 환자들의 수술 결과와 조기사망의 원인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급성 심근경색 후 발생한 심실중격결손 환자 8예(남 2예, 여 6예)를 수술하였다. 그중 7예가 좌전하행지의 단혈관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6예는 전중격뿐만이 아니라 후중격까지 넓은 경색을 가지고 있었다. 1예에서 경색과 무관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을, 1예에서 승모판 성형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은 3예(37.5%)였다. 사망 환자들은 모두 경색의 범위가 심실의 전중격뿐만이 아니라 후중격까지 넓게 퍼져 있었고 초음파 M-mode 검사에서 좌심실 기저부의 박출률이 생존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34.9{\pm}4.2\;vs.\;54.8{\pm}12.3$; p=0.036). 결론: 심근경색증에 의한 급성 심실중격결손은 대부분 단혈관질환에서 발생하였다. 심장초음파 검사상 좌심실 기저부의 박출률이 낮고 심실중격의 경색 범위가 넓어 후중격까지 진행된 환자에서 조기 사망률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