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cture discours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강의 담화에서의 인용의 형식과 담화적 기능 (Forms and Discourse Functions of Quotationsin the Korean Lectures)

  • 한송화
    • 언어사실과 관점
    • /
    • 제44권
    • /
    • pp.31-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l features and discourse functions f quotations in Korean lectures. In this study, quotations with quotation marks and quotations made from shell nouns, as well as quotations with quotation marks '고, 라고' and quotations made from quotation verbs,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quotes. For my research, I examined the form of quotes and the discourse functions of 1536 quotes in the lecture discourse of 66,693 words. As a result, indirect quotations were used much more than direct quotes in Korean lectures (80 % : 20 %). Because a lecture is a informational discourse, it is more important to simplify the information and deliver it efficiently based on the content rather than directly quoting it for the purpose of empathy or vividness of event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peakers(lectures) wanted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and originality of the information delivered. For this purpose, the speakers(lectures) used the form of a semi-directional quotation, which is to maintain the original intonation, modality or to use the direct quotation marker '라고' as the direct quotes. In lectures, the speakers use a variety of discourse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the hearer's information acceptance, and many quotes were used for this purpose. Quotes were most often used to develop statements efficiently(22.6%). And many quotes were used to ease the burden of hearers accepting new informations and terms(12.8%). In addition, quotes were used to enhance the original informations(17.8%), and the speaker used them as a hedge to express his thoughts or opinions in a roundabout way(11.4%). Finally, quotes were also used to present examples(9.2%) or to indicate verbal forms in supporting materials such as handouts or textbooks(3.1%). These discourse functions reflects the special nature of the lecture discourse.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ritten Texts of a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atic Functions and Quadratic Equations'-)

  • 전수경;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25-547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수학언어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교과서 텍스트와 교사의 수업담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자료는 고등학교 수학1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에 대한 수업의 녹취록과 수업에 사용된 교과서 텍스트이며, 이 자료를 Halliday(1994)의 체계기능언어학에 따라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과서는 의미의 상하관계를 이용한 일반화, 명사화를 통한 수학적 대상화, 주제부의 변화를 이용한 의미의 구체화와 같은 어휘문법 전략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예시로부터 일반화를 통해 수학적 개념을 구성하는 설명방식을 사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담화의미 층위와 어휘문법 층위의 조직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반면에 교사의 설명은 동사성의 변화와 이유 및 절차 담화의 추가를 통해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구성해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교사 설명담화의 언어적 특징으로는 맥락적 생략으로 인한 화용적 함축과 어휘소의 누락이 나타났으며, 담화의미 층위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인 어휘문법 자원의 사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수업 담화를 분석하는 새로운 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교사 연수에서 협력적 멘토링의 실제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ve mentor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 case of "PD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 조형미;권오남;이지연;윤정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83-298
    • /
    • 2015
  •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of collaborative mentor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lti-tiered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We observed the procedures of mentoring, and contents of mentoring in PD program.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PD program with participant unit composed of 3 or 4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total 25 teach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and 4 high schools. Also there were 1 mentor and 1 sub-mentor to support each school. Observed mentoring processes were all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not only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but also wrote reflection notes after meetings. While mentoring PD program was implemented, mentor and mentee had joint responsibility about lessons implemented by mentee. Furthermore It showed possibility of change of teacher learning culture, learning culture of community. It means that teacher w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ly within teacher community instead of individual. 4 reflection contents was founded in collaborative mentring; 1)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2)motivation and connection between previous lecture and present lecture 3)lack of mathematical contents in lesson 4)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의 담론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Banque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0
    • /
    • 2016
  • 한국에서 인문학은 최대 화두 중의 하나이다. 공공기관, 대학, 평생교육원, 문화센터, 매스컴, 박물관, 도서관 등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이 무차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 가운데 공공도서관은 인문학 확산 및 대중화를 위한 베이스캠프임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시각이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에 대한 담론을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전자는 학문적 본령, 지구촌의 거시적 및 미시적 담론, 사회경제적 파장, 정신문화적 진화의 측면에서 전개하였다. 후자는 정체성 측면에서 도서관 및 인문학의 공리와 본령, 사유적 관점에서 인문학 향연의 함정과 한계, 연계성 측면에서 각종 프로그램 및 인문학 향연의 역설과 딜레마, 대상적 측면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의 불편한 진실, 내용적 측면에서 인문학 향연의 약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고등학교 생물 강의에서의 역동적 구조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Kinetic Structure in a High School Biology Lecture)

  • 김영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79
    • /
    • 1987
  • 학교 교실에서의 수업 활동 중 가장 주된 활동은 언어적 의사소통이며 대부분의 지식 전달이 교사의 언어 활동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리고 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의 순서와 구조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를 조직적으로 분석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실에서의 교사 언어 행동의 구조를 분석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Anderson 의 역동적 구조 이론 (Theory of Kinetic Structure) 을 소개하고, 그의 정량적 분석 방법을 한국어에 적용 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으며, 교사의 실제 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50분 동안 진행된 고등학교 1학년 생물 강의를 녹음한 것으로 소화에 관한 내용이었다. 강의 내용에서 역동적 구조의 정량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의는 316개의 담화단위 (discourse units) 로 구성되었으며. 261개의 어소 (verbal elements)가 동정되었다. 전체 강의에서 37개의 secondary span 이 동정되었고 이는 6개의 primary span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강의에 대한 평균 기본계수(mean fundamental coefficient, $\bar{B}_1$)는 0.26으로 낮은 수준의 연관도 (commonality )를 보였으며, 평균 가중 기본계수(mean weighted coefficient, $\bar{B}_2$)의 값은 0.88이었다. 전체적으로 이 강의는 중 내지 하 구조 (moderate to low structure)를 갖고 있으며, 높은 진행도 (high progression, $\bar{D}_s$=1.07)를 보였다.

  • PDF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의과대학 신축의 건축디자인 방향성 (Architectural Design Approach of New Medical Education Building Fit for Pedagogy Changes)

  • 김남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3호
    • /
    • pp.97-104
    • /
    • 2015
  • This literature review explores relevant research and evaluation on pedagogy and physical learning spaces. This study also is intended to encourage discussion among stakeholders on the best medical school developments, in light of emerging learning trends relevant to their institutions. The study has revealed that new environments for learning are being designed or reshaped in response to changing pedagogical approaches, to incorporate new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accommodate the changing abilities of new generations of learners. Formal teaching spaces for large groups with a 'sage on a stage' are becoming less common than smaller lecture rooms, although classrooms form a large component of universities and will continue to dominate in the future. However, the traditional layout of these spaces is being transformed to incorporate multiple learning modes. Classrooms should be profound places of revelation and discovery. A well-designed space has the ability to elevate discourse, encourage creativity, and promote collaboration. Within the classroom walls, a learning space should be as flexible as possible, not only because different teachers and classes requir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because in order to fully engage in learning, students need to transition between lectures, group study,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individual work time.

통계적 과정의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단계별·수업 형태별 통계적 사고 분석 (Analyzing seventh graders' statistical thinking through statistical processes by phases and instructional settings)

  • 김가영;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3호
    • /
    • pp.459-481
    • /
    • 2019
  • 본 연구는 실제 자료로 통계적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중학교 1학년생들의 통계적 사고를 단계별, 수업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 사고와 수업 형태간의 연관성이 있으며 단계별, 수업 형태별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통계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의 설계와 적용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Performance Activities and Social Role of the Theater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07-146
    • /
    • 2021
  •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