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thickness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9초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방풍나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Hydroponically Grown in Plant Factory)

  • 이광재;허정욱;김현환;정충렬;김동억;남상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23
    • /
    • 2016
  • 본 연구는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방풍나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식물공장의 인공광원으로 형광등(FL), LED R:B(2:1, RB), R:B:W(2:1:3, RBW), R:B:G:W(2:1:0.5:3, RBGW) 등 4처리를 사용하였다. 엽중은 RBW와 RB가 FL과 RBGW 보다 우수하였다. 엽장과 엽후는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명도는 초장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 페놀함량은 RB가 $105.77mg{\cdot}100g^{-1}$ GE로 가장 높았고, RBW $92.52mg{\cdot}100g^{-1}$ GE, FL $89.08mg{\cdot}100g^{-1}$ GE, RBGW $82.00mg{\cdot}100g^{-1}$ GE 순으로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비타민 C 함량은 RB에서 가장 높았고, FL에서 가장 낮았다.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FL에서 가장 높았고, RBGW에서 낮았다. Cystein과 methionine의 함량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량, 총 페놀함량, 비타민 C 함량은 RBW와 RB에서 높았다. 수량, 총 페놀 함량, 비타민 C 함량 및 작업자의 눈 피로도 등을 고려 할 때 인공광원으로써 RBW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기능성 성분 증진을 위해 듀티비 등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에서 정식방법이 파프리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Paprika in Coir Culture)

  • 김초희;이창희;권오열;안철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7
    • /
    • 2014
  • 파프리카 정식방법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늦은 겨울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는 여름재배와 여름에 파종하여 초겨울부터 수확하는 겨울재배의 두 재배작형을 시험하였다. 대조구는 10cm 암면블록에서 본엽이 8매정도 전개되었을 때 정식하였고, 어린묘 정식은 7cm 블록에서 본엽 2-3매에 정식하였다. 가정식 후 정식 처리는 10cm 암면블록에 이식한 묘를 재배용 배지 위의 받침대 위에 올려 본엽이 8매가 전개되도록 2-3주 동안 육묘한 뒤 정식하였고,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는 본엽 2-3매 묘를 재배용 배지에 구멍을 내고 U자로 구부려 정식하였다. 초장은 대조구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길었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짧았다. 잎 크기는 여름과 겨울재배 모두에서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 정식 처리에서 컸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작았다. 엽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 처리가 적었다. 과실크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지만, 평균 과중은 겨울재배에서는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고,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낮았다. 상품과수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가 가장 많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에서 적었다. 상품률은 겨울재배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여름재배에서는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무블록 배지 직접 정식과 어린묘 정식 처리가 높았고, 가정식 후 정식처리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무블록 배지 직접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초기 활착이 빨라 생육이 왕성하였고, 이로 인해 1그룹 수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암면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배지에 직접 정식함으로써 암면 블록 비용 절감과 육묘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CEM BIO Film 피복시설의 환경특성과 풋고추 생육 (Greenhouse Environment and Growth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in Greenhouse Covered with CEM BIO Film)

  • 전희;김경제;권영삼;김현환;이시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1-165
    • /
    • 2000
  • CEM BIO P.E.필름으로 피복된 시설에서 300~1,100nm 사이의 분광투과율은 일반 P.E. 필름으로 피복된 시설보다 높았다. 전반적으로 시설내 광투과율은 이중피복, 골조, 기타시설물 때문에 노지에 비하여 절반 수준을 나타냈다. 순복사량은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이 5,424.5W.m$^{-2}$ 로서 일반 P.E.필름 피복시설보다 2.9% 낮았고, 광합성유효복사 투과율은 CEM BIO P.E.필름 피복시설이 3,861.2W.n$^{-2}$ 로서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보다 3.8% 높았으며, 무가온기의 적산최저온도는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이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보다 1일 평균 0.35$^{\circ}C$ 높았다. 정식후 30일의 풋고추 생육은 CEM BIO P.E. 필름 피복시설에서 초장, 경경,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 및 군락생산구조가 우수하였고, 과실은 과중이 11.28g으로 일반 P.E. 필름 피복시설 보다 1.25g 무거웠으며, 상품율은 2.7% 높았다. 1997년 11월 19일부터 1998년 3월 3일 사이의 수량은 CEM BIO P.E. 필름피복시설에서 7.4% 많았으나 전체적인 수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차광방법이 생육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 하준봉;임채신;강효용;강양수;황승재;문형수;안철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9-427
    • /
    • 2012
  • 파프리카('Cupra', 'Coletti') 여름작기 재배시 고온기 극복을 위해 내부 차광 스크린(외부광이 $700W{\cdot}m^{-2}$ 이상일 때 차광스크린 작동하여 10~20% 차광률 유지)과 차광제 처리(차광제와 물을 1 : 4의 비율로 희석하여 온실 외부 지붕을 살포 30% 정도의 차광률 유지)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PFD는 차광제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30%,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20%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 비해 PPFD의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여 차광제의 차광효과가 더 높았고, 차광제 처리에 의해 온실 내 온도 감소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습도 부족분 변화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의 경우 오전 9시에 최대 허용범위인 $8g{\cdot}m^{-3}$을 벗어나 각각 오후 2시에 최고 $16.6g{\cdot}m^{-3}$$13.8g{\cdot}m^{-3}$까지 도달 했지만, 차광제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보다 2시간 뒤인 11시에 $8.6g{\cdot}m^{-3}$으로 허용 범위를 벗어났고, 오후 4시에 최고 $12.1g{\cdot}m^{-3}$까지 상승하여 생육환경 조건이 더 양호해졌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엽온이 $2^{\circ}C$, 과실의 온도가 $5^{\circ}C$, 그리고 꽃의 온도가 $3^{\circ}C$ 정도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두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분지수, 경경, 잎크기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잿빛곰팡이의 발생률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품종에 따라 14.7~22.1%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실크기는 차광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심실수, 과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육의 무게는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10~15g 증가하였지만,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색도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차광 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와 내부 스크린 처리구에서 상품율이 11.7~22.6% 증가하였고, 상품과수는 4.0~12.2개로 증가했다. 따라서 무처리구에 비해 차광제 처리구에서 여름철 고온기의 극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토경재배에서 병풀(Centella asiatica) 두 품종의 생장특성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wo Centella asiatica Cultivars in Greenhouse Soil Culture)

  • 오세원;박수정;이성호;박연주;장금일;유광원;김대일;신현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1-358
    • /
    • 2021
  • 본 연구는 병풀(Centella asiatica) 두 품종('자이언트 타이거 케어', '굿병풀')의 생장 특성과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Triterpenoid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와 '굿병풀'의 정식 후 생장 특성은 정식 41일 후 엽과 엽병의 길이 생장에서 '굿병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이후 수확기(정식 104일 후)까지 생장속도는 유사하였다. 정식 후 104일에 수확한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의 식물체 크기와 관련된 생장(엽면적, 엽병두께, 엽병 길이, 생체중)이 '굿병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냉수, 열수, 50% 에탄올, 70% 에탄올 추출물의 자유라디컬 소거능과 환원능으로 평가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은 두 품종에서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 용매별 Triterpeno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두 품종의 주요 Triterpenoid는 Madecasoside와 Asiaticoside로 확인되었다. 품종별 총 Triterpenoids 함량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굿병풀'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굿병풀'이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보다 높았다. 하지만 정식 104일 후 수확량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가 '굿병풀'보다 3배 많아, 동일한 재배 면적(3.3m2) 에서 생산 가능한 총 Triterpenoids 함량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가 2.459mg으로 '굿병풀'(1.103mg) 보다 약 2.2배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고 단위면적당 총 Triterpenoids 생산량이 높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를 재배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유용미생물(Kluyvera sp. CL-2) 처리가 수박의 유리당 함량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luyvera sp. CL-2 on Sugar contents of Watermelon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홍수영;최승출;서영호;임수정;허수정;윤병성;박영학;홍대기;송재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7-686
    • /
    • 2018
  •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유용미생물 Kluyvera sp. CL-2 처리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박에 미생물 배양액을 7일 간격으로 2회, 5회 관주처리하여 처리 전 후의 토양 이화학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또한 미생물 처리 후 수확기의 수박 생육특성 및 유리당 함량을 비교하였다. Kluyvera sp. CL-2 배양액을 $1.0{\times}10^6cfu\;mL^{-1}$로 7일 간격 본포에 2회, 5회 관주처리 한 결과, 산도와 Ca, Mg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기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EC와 K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유효인산은 무처리구 대비 미생물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확 직후의 수량, 엽장, 과중, 과장, 과폭, 과피두께는 미생물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과폭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2회 처리구는 11.6%, 5회 처리구는 26.2% 증가하였다. 수박의 수확기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sucrose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은 무처리구 대비 미생물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cose함량은 2회 처리구가 무처리구 대비 13.8%, 5회 처리구는 12.8% 증가하여 미생물 처리횟수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fructose함량은 2회 처리구 14.6%, 5회 처리구에서는 39.8% 증가하여 미생물처리 횟수 증가에 따른 유의수준의 fructose 함량 증진 효과가 확인되어 Kluyvera sp. CL-2의 처리가 수박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경과를 보였다.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의 고랭지 여름재배 시 관부수와 화방제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as Affected by Controlled Crowns of the New Ever-bearing Strawberry 'Goha' in Highlands)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임주성;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41-45
    • /
    • 2014
  •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신품종 사계성 딸기 '고하'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부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정식은 4월 29일에 재식거리를 $55{\times}30cm$로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관부수를 1, 3, 5개로 하고 대조구로 방임을 두었다. 생육초기에 관부수가 적을수록 잎은 커졌고, 화방경은 굵어졌다. 최종수확 시 초장은 크라운수가 많을수록 길어졌다. 생체중은 관부수 방임구가 118g으로 관부수 1개구의 40.8g보다 77.2g이 더 무거웠다. 발생된 화방수는 관부수 5개구와 방임구가 20.1개로 관부수 1개구의 6.8개에 비해 13.3개가 더 많았다. 그러나 관부수에 따른 과실품질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부수가 많을수록 평균과중은 가벼웠으며, 상품과율은 감소하였다. 상품수량은 관부수 방임구가 $17,372kg{\cdot}ha^{-1}$로 가장 많았으며, 관부수 1개구에 비해 68% 증수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사계성 딸기 '고하'의 여름재배 시 안정생산을 위해서는 관부는 방임하며, 화방굵기가 3mm 이하인 화방은 제거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Influence of Sugar Cane Diets and a High Fibre Commercial Diet on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in Local Caribbean Pigs

  • Xande, X.;Despois, E.;Giorgi, M.;Gourdinegi, J.L.;Archimedee, H.;Renaudeau,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90-98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milling by-product diet and two sugar cane diets on the local Creole pig breed (CR). A total of 48 CR pigs (24 females and 24 castrated 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different groups of 12 animals. Pigs were allotted to one of 4 dietary treatments: fed with a control soya-bean meal-corn diet containing 19.1% crude protein (CP) and 15.4 MJ DE/kg (diet 1), with an experimental milling by-product diet (soya-bean meal and wheat by-products) containing 19.4% CP and 13.0 MJ DE/kg (diet 2), with ground cane stalks (GCS) or with fresh sugar cane juice (SCJ). Both GCS and SCJ were supplemented with soya-bean meal complement (400 g/d of a 48.7% CP and 16.1 MJ DE/kg diet) in order to obtain diets 3 and 4, respectively. Pigs were fed close to ad libitum level and had free access to water. All the pigs were slaughtered at 65 kg BW. Between 30 and 65 kg BW, growth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p<0.001)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average daily BW gain was 657, 530, 546 and 200 g/d for diets 1, 2, 4, and 3, respectively. Average daily DM intake was 1.8, 1.9, 2.5 and 1.4 kg/d for diets 1, 2, 4, and 3, respectively. Fat cuts (backfat+leaf fat) and backfat thick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on diet 3 than for other treatments (127 vs. 192, 166 g/kg of left half-carcass weight and 24.6 vs. 39.0, 35.3 mm for diet 3 vs. diets 1 and 4, and diet 2, respectively; p<0.001). The dressing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on diets 2 (82.7 vs. 84.0%; p<0.001). The entire empty digestive tract (DT) weight was higher on diet 2 (73.1 vs. 66.7 g/kg empty BW). However, stomach and large intestine were more developed on diet 3: 12.8 vs. 9.3 g/100 g empty DT (p<0.001) and 26.4 vs. 23.8 g/100 g empty DT (p<0.05),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CR pig has the ability to reach rather good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with a well-formulated sugar cane meal and/or with a milling by-product diet refined according to its low requirements.

오존수를 활용한 부분 가공 원예산물의 청정화 및 유통성 증진 (Improvement of Market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Horticultural Products Using Ozone)

  • 황용수;전일율;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28-138
    • /
    • 2003
  • 시중에서 유통되는 부분 가공 원예산물의 세균밀도는 매우 높아 청결 상태가 불량하였다. 작물별로는 깐마늘에 세균밀도가 낮았으며 기타 작물의 경우 미생물 밀도는 $10^8$ 이상이었다. 특히 고사리의 경우 가장 세균 밀도가 높을 뿐아니라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도 있었다. 오존수 처리반응은 작물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근채류인 우엉과 연근은 변색을 방지할 뿐아니라 살균 효과로 세절한 작물의 유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0.3mg{\cdot}L^{-1}$ 농도에서 5분 이상 처리할 경우 오히려 불리하였다. 양상추의 경우 $0.3mg{\cdot}L^{-1}$에서 2분을 초과하여 처리할 때 조직이 물러지고 변색이 더욱 심하여 처리시간과 농도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였다. 건조나물의 경우 살균효과 뿐아니라 유통 중 세균 증식에 따른 이취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조직이 두꺼운 고사리보다 얇은 취나물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살필 때 건조나물을 비롯한 연근, 우엉 등의 작물에 대하여서는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발육단계(發育段階)에 따른 잣나무 자엽내(子葉內)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와 수(數)의 변화(變化) (Position and Variation of Resin Canal Numbers of Cotyled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강영;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48
    • /
    • 1972
  • 잣나무 치묘(稚苗)의 제특성(諸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자엽(子葉)의 횡단면상(橫斷面上)에 나타나는 수지구수(樹脂溝數)를 발육(發育)단계 따른 변화상태(變化狀態)와 횡단면상(橫斷面上)의 제형질(諸形質)과의 관계(關係)를 알고자 본실험(本實驗)을 수행(遂行)하였든바 그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樹脂溝)는 포장(圃場)에서 발아(發芽)되기전(前)의 자엽(子葉)과 발아후(發芽後) 1~2주(週)까지는 형성(形成)되지않고 발아후(發芽後) 1개월(個月)이 경과한 6월경(月頃)부터 형성(形成)되기 시작하여 9월경(月頃)에는 그 수(數)가 평균(平均) 3.26으로 최고치(最高値)에 달(達)하고 그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되지 않었다. 2. 자엽(子葉)에 있어서 수지구(樹脂溝) 위치(位置)는 외위(外位)로서 본엽(本葉)이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다른 특성(特性)을 보였으며 수지구수(樹脂溝數)는 엽당(葉當) 1~5개(個)이다. 3. 발육단계(發育段階)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엽후(葉厚), 엽단면적(葉斷面積) 간(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지구수(樹脂溝數)와 엽폭(葉幅), 단면적(斷面積) 간(間)에서도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치묘(稚苗)의 자엽수(子葉數)와 수지구수(樹脂溝數) 사이에는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이상(以上)에서 잣나무 자엽(子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발육(發育)경과에 따라 증가(增加)되고 엽폭(葉幅)과 단면적(斷面積)도 높은 상관(相關)에 있는 결과(結果)는 주목(注目)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