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tea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8초

인삼엽록차 성분의 추출특성과 살균방법에 따른 영향 (Extraction Properties of Constituents in Ginseng Leaf Tea As Influenced by Decontamination Methods)

  • 권중호;변명우;김석원;조한옥;이영주;김종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1990
  • 인삼엽록차의 살균공정 개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살균법인 ethylene oxide 훈증제와 비교시험으로서 2.5~10kGy의 감마선 조사가 녹차성분의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녹차의 주요성분을 5분간 열탕 추출하였을 시 추출률은 가용성 고형분(83 %), 탄닌(82 %) , 당(73 %), 및 사포닌(66 %)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 성분의 추출률에 대한 살균 방법의 영향시험에서 5kGy 이하의 감마선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EO 훈증제 처리와 10 kGy 조사는 가용분과 탄닌의 용출을 촉진시겼고 추출액도 명도(L값)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갓김치의 녹차 및 늙은호박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 한지숙;박민정;전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5-221
    • /
    • 2001
  • Mustard leaf kimchi added different ratios of pumpkin powder(P) and green tea powder(G)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changes of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at 5℃. The pH and total acidity were changed slowly until 20 days, and then changed rapidly for 20∼40 days in all mustard leaf kimchi groups. The pH and acid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G was the most slowly changed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P at early stage of fermentation, but the reduing sugar content of this mustard leaf kimchi group was decreas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during fermentation.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bacteria were highest in 0.5% P added group and lowest in 0.5% G added group. The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was relatively high in number of Leuconostoc sp., on the contrary low in Lactobacillus s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during fermentation. Changes of Hunter's color values, especially yellowness, and hardness were smaller in each mustard leaf kimchi added 0.5% G, and 0.3% P and 0.2% G than the other groups. Sensory scores of taste, od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ustard leaf kimchi added 0.3% P and 0.2% G was the best group among mustard leaf kimchi groups.

  • PDF

감잎의 처리방법과 추출조건에 따른 감잎차의 Vitamin C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변화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 박윤주;강명희;김종익;박옥진;이미숙;장해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1-285
    • /
    • 1995
  • 감잎차의 효과적인 제조법 및 음용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세가지 방법(재래식, 증자법, 발효법)에 의해 감잎으로부터 감잎차를 제조하여 vitamin C와 SOD 유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Vitamin C는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이 수치는(551.85 mg%) 생감잎에 들어 있는 vitamin C의 (1173.67 mg%) 47%에 해당하는 양이며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에 대해 각각 42배, 8배나 되는 많은 양임이 밝혀졌다. 반면 SOD 유사활성은 재래식(833.33 SOD unit/g)과 발효법(816.33 SOD unit/g)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가 증자법(754.72 SOD unit/g)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대 수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증자법 감잎차의 vitamin C는 온도에 상관없이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는 $60^{\circ}C$$70^{\circ}C$에서는 추출량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80^{\circ}C$$90^{\circ}C$에서는 추출시간 5분까지는 증가하고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의 vitamin C의 최적 추출조건은 $80^{\circ}C$$90^{\circ}C$에서 3분과 5분이었고 $70^{\circ}C$에서는 5분과 10분 그리고, $60^{\circ}C$에서는 10분이었다. 재래식 감잎차의 vitamin C는 그 양이 적어 실험에 사용된 DNP법에 의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SOD유사활성을 살펴볼 때 재래식 및 증자법 감잎차는 추출시간에 따라 $80^{\circ}C$$90^{\circ}C$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법 감잎차는 $80^{\circ}C$$90^{\circ}C$에서 증가${\rightarrow}$감소${\rightarrow}$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보다 $80^{\circ}C$$90^{\circ}C$ 경우 추출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3분과 10분이었다.

  • PDF

마우스 소핵(Micronuclei, MN) 시험방법을 이용한 감잎차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 (PLTE) in Mice Using Micronucleus Induction (MN) Test)

  • 송현순;이현걸;강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1-887
    • /
    • 2000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 (PLTE) at concentration levels consumed by human were examined in mice using micronuleus induction with MMC(mitomycin C) or 4-NQO (4-nitroquinoline-1-oxide). When mice received oral gavage of 10 equivalent to PLTE 24 hr and 6 hr before, and 5 equivalent to PLTE 6 hr before and 3 hr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MC,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micronuclei were observed. The induction of micronuclei by 4-NQO was suppressed by oral dosage of PLTE at 5 equivalent to PLTE 6 hr before and 3 hr after, 10 equivalent to PLTE 3 hr before and 3 hr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MC. Though the components of PLTE have not been analyzed so far, our present results suggest the existence of several bio-antimutagens and/or desmutagens in PLTE, beside catechin, well-known antimutagen.

  • PDF

식초 함량을 달리한 차잎 피클의 저장중 품질 및 항산화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Tea Leaf Pickles with Different Vinegar Contents)

  • 박보람;박진주;황인국;한혜민;신말식;신동선;유선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2-411
    • /
    • 2014
  • 조미액의 식초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잎 피클의 pH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소폭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차잎 피클의 색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함을 보였으며 식초 20% 실험군을 제외하고는 L값의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경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였는데 식초 10% 실험군은 15일부터 식초 20%, 30% 실험군은 5일부터, 식초 40% 실험군은 3일부터 경도에 유의적인 차이가(p<0.05) 나타난 것으로 보아 조미액의 식초함량이 피클의 연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조미액의 식초의 함량에 따라 경도 감소 시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조미액 별 산성 조건이 다르므로 탈메틸화(demethylation)가 진행되는 정도의 차이 때문인 것이라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떫은맛의 기호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전반적 기호도는 식초 함량 40% 실험군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20일차에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그 중 식초 함량 20% 실험군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잎피클 제조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총 페놀화합물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식초 함량 40% 실험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저장기간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며 조미액의 식초의 함량 40% 실험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조미액의 식초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차잎 피클은 식초 20% 함량으로 저장 20일차에 섭취할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며 저장기간에 따라 항산화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능이 감소하므로 가능한 빠른 시일에 섭취하는 것이 생리활성 물질의 이용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로니아잎차의 덖음조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및 카페인 함량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as well as Caffeine Content of Aronia melanocarpa Leaf Tea according to Pan-Roasting Conditions)

  • 박수진;정성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9-645
    • /
    • 2017
  • 본 연구는 아로니아 생잎과 여러 가지 덖음조건에 따라 아로니아잎차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생잎에 비해 아로니아잎을 6회 덖은 경우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37.96 CE mg/g, 19.96 QE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6회 덖은 아로니아잎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도 각각 $IC_{50}$ 0.43 mg/mL 및 0.27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덖음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아로니아 생잎과 잎차 모두 카페인은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아로니아 잎차는 무카페인 차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잎에 함유된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 유용성분은 물론 항산화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화된 덖음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아로니아 잎은 카페인을 함유하지 않는 항산화 기능성 잎차 또는 바이오식품 소재로서 그 활용가치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덖음 및 유념 횟수를 달리한 도라지 잎차의 품질 조사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lloon Flower Leaf Tea with Different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 엄현주;권누리;정유영;윤향식;김인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70-575
    • /
    • 2020
  • In this study, to develop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which are not used as tea, a method of making green tea was referred to, and several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balloon flower leaf tea with different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were 33.02 mg GAE/g and 5.03 mg/g at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total flavonoids, the RO3 + RU2, subjected to three times of roasting and two times of rubbing, showed the highest valu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samples. Except for the green tea as a control, the RO2 + RU1 samples repor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tended to decrease slightly as the number of increasing roasting and rubbing among the sampl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se things together, to develop tea using the balloon flower leaves would be suitable with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 황경아;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차의 계승과 새로운 식품의 개발하고자 생강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재차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덖음차 81종, 찐후덖음차 78종, 자연건조차 88종, 발효차 86종, 찐차 72종 및 인공건조차 89종의 분리할 수 있었다. 생강나무 잎차의 향기성분은 $\beta-piepne$을 비롯한 hydrocarbone류가 45종이 동정되었으며,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분포되었다. Alcohol류는 L-linalool, n-octanoal, phenyl acetaldehyde, $(-)-\alpha-terpineol$, elemol, cholest-5-en-3-ol, 등 16종, 2-nitro-2(3-hydroxybuthyl) -clododexanone, 3-(3-butenyl)-2,3-epoxy-cyclohexanone, 2-ethyl-2-propyl- cyclo-hexanone 등 11종의 ketone류가, phenyl acetaldehyde, tetradecanal, 10-undecanal, 4-Bromo-2- methylbutanal 등 8종의 aldehyde류가 동정되었다. 또한 ester류는 methyl 9, 12, 15-octadecatrienate, didodecyl phthalate, 1,2-benzenediccar-baboxy acid-bis(2-ethylhexyl) ester 3종류가 동정되었고, 또한 phenol류는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이 동정되었다.

덖음차 제조공정 중 덖음 횟수가 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at Different Pan-Firing Conditions)

  • 박장현;김영옥;정종모;서종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13
    • /
    • 2006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green tea processed by different pan-firing hand rolling and to select the best conditions during the procedure of green tea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t harvestion tea plant leaf, tea plants had 4 leaves. each leaf size was 7.5 cm'$\square$2.6 cm, and weight of 100 buds 46.6 g. The increase of pan-fired time decreased in the moisture content and yield of green tea. After processing green tea, 5 times pan-fired one had much more contents of total nitrogen (T-N:5.31%), caffeine (2.00%) and total amino acid (T.A.A. : 3,046 mg%) and less content of tannin (13.41%) than the other treatments. but 3 times pan-fired one had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C (204.3 mg%) and chlorophyll (365.0 mg%) among three kinds pan-firing method. Sixteen kinds of free amino acid including theanine as a good taste component of pan-fired green tea were isolated and measured by HPLC. Free amino acid (FAA)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2,683{\sim}2,925$ mg% and among various pan-firing methods, 5 tims pan-fired one had the highest content of F.A.A. Among these free amino acids, theanine occupied as much as $56.4{\sim}61.3%$ of F.A.A. Lightness, yellowness and redness of 5 times pan-fired green tea were middle value among three different treatments. Besides, it gained the highest score of sensory evaluation among them. Thes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5 times pan-fired green tea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level as pan-firing times of green tea processing.

HPLC를 이용한 혼합차의 Hesperidin 정량 (Determination of hesperidin in mixed tea by HPLC)

  • 한샘;목소연;김혜민;이정민;이동구;이숙영;김종기;김선주;이상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95-299
    • /
    • 2011
  • The content of hesperidin in the mixed tea, which was composed of dried orange peel, laurel leaf, mulberry leaf, silver magnolia leaf, oriental melon tap, cassia seed, and licorice root, wa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esperidin was quantified by a reverse phase column with gradient solvent system (watcr:acetonitrile = 80:20 to 35:65 for 30 min) and UV/VIS detection (280 nm). The How rate was kept constant at 1.0 ml/min. The content of hesperidin in the mixed tea was measured in depending on extraction time 1, 2, 3, and 4 min (29.07, 52.39, 52.45, and 88.35 mg/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