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symptom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2초

맥류(麥類)에 발생(發生)하는 Ustilago nuda 및 Pyrenophora graminea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Control of Seed-borne Infection of Ustilago nuda and Pyrenophora graminea on Barley)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4
    • /
    • 1980
  • 맥류(麥類)의 겉깜부기병(라흑종병(裸黑種病))과 줄무늬병(반엽병(班葉病))에 대한 종자(種子) 소독(消毒) 효과(效果)를 보기 위하여 자연이병(自然罹病)된 종자(種子)에 Baytan외(外) 13종(種)의 엽제(葉劑)를 처리(處理)한 다음 포장(圃場)에 파종(播種)하여 발병상황(發病狀況)을 조사(調査)하였다. Sisthane 및 Benlate T는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과 같은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나타냈으며, Baytan U는 겉깜부기병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나 줄무늬병에는 효과(效果)가 떨어졌다. P242는 줄무늬병에는 좋은 약효(藥效)를 나타냈으나 겉깜부기병의 발생(發生)을 막는데는 효과(效果)가 적었으며, Busan 30은 겉깜부기병과 줄무늬병에 대하여 Vitathiram에 비해서 효과(效果)가 불안정(不安定)하였다. 홍시약제(洪試藥劑)로 처리한 보리 쌀보리 및 밀을 실내(室內)서에 발아상(發芽箱)에 키웠을 때 Sisthane과 Baytan U의 고농도처리구(高濃度處理區)에서는 뿌리뒤틀림 현상으로 생육(生育)의 저해(沮害)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총생 증상을 보이는 한국잔디로부터 노균병원균 관찰 (Observation of Scleropthora macrospora Causing Downy Mildew from Zoysiagrass with Leaf Yellowing and Excessive Tillering)

  • 한무호;김경덕;피재호;최수민;박대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3-28
    • /
    • 2016
  • 전국적으로 재배중인 한국잔디에서 확대되고 있는 총생잔디에서 현미경을 이용하여 피시움균의 난포자와 유사하지만 다소 큰 사이즈인 $50{\sim}80{\mu}m$의 난포자를 관찰하였다. 동일 시료들을 암상태의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24시간 증식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80{\sim}100{\mu}m$ 크기의 Sclerophthora macrospora 유주자낭이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을 통한 확인을 위해 유전자 은행에 등록된 S. macrospora 염기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프라이머와 감염된 조직에서 추출한 DNA로 PCR 후, S. macrospora 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S. macrospora가 한국잔디 총생 증상에 관여하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형광등과 발광다이오드 광원이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uorescent Light and Light-Emitting Diodes on Leaf Morphology, Growth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alvia plebeia)

  • 박헌;유연정;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8-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 광질에 따른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56일째에 측정된 엽장, 엽폭 및 엽수는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엽형지수(엽장/엽폭)도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 모두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과 청색 LED(B) 처리구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잎의 수하현상은 정식 21일 이후부터 적색 LED(R)와 혼합광(RB2:1) 처리구에서만 발생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비엽중은 청색 LED(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형광등이 곰보배추를 실내에서 인공으로 재배 시 적합한 광원으로 판단된다.

온도와 관수 주기가 오이 포트 묘의 광합성, 생육 및 생장 해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Irrigation Intervals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Growth Analysis of Pot-grown Cucumber Seedlings)

  • 안진희;최은영;이용범;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8-156
    • /
    • 2023
  • 본 연구는 오이(Cucumis sativus L.)의 광합성, 생육 및 수분이용효율을 분석하고 생장해석을 통해 생육 온도와 관수 주기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환경 제어가 가능한 실내 재배상에서 광도(70W·m-2)와 상대습도(65%)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처리는 주/야간 온도(℃)를 15/10℃, 25/20℃및 35/25℃로 3처리하였고, 각 온도별 관수 주기를 1일 1회 100mL(S), 2일 1회 200mL(L)로 달리 공급하는 처리를 조합하여 총 6개(15S, 15L, 25S, 25L, 35S, 35L) 처리를 하였다. 초장이 0.5cm인 오이묘 '아시아 은천'을 양질사토로 충진한 1L 원형 포트에 정식하여 21일간 처리하였다. 처리 14일째 광합성, 증산율과 기공전도도는 25S에서 가장 높았고, 관수 주기가 짧은 S처리에서 L처리보다 높았다. 처리 기간 중 총 관수량이 2L로 동일하게 공급되었지만 토양함수율은 15S에서 가장 높았고 25S > 15L > 25L, 35S, 35L 순으로 낮았다. 상대습도는 15/10℃(61.1%)와 25/20℃(67.2%)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35/25℃에서는 80.5%로 높았다. 21일째 오이 생육은 25S에서 가장 높았고, 초장, 생체중과 건물중은 관수 주기에 영향을 받았다. 잎끝황화 현상은 온도가 높았던35S, 35L에서 89.9% 발생하였다. 상대생장률(RGR)과 비엽중(SLA)은 25/20℃(25S, 25L)에서 높았고, RGR은 관수 주기가 짧은 S처리, SLA은 L처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이용효율(WUE)은 25S, 25L > 15S > 15L, 35S, 35L 순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 적온인 25/20℃에서 생육과 수분이용효율도 높았다. 그러나 35/25℃(35S, 35L) 처리에서는 토양 함수량이 낮았고, 잎끝 황화현상이 발생하였으며, 15/10℃(15S, 15L)에서 토양 함수율이 높고 광합성과 생장이 낮았다.

딸기탄저병의 약제방제효과 (Effect of Chemical Treatment on the Control of Strawberry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

  • 김승한;최성용;임양숙;윤재탁;최부술
    • 식물병연구
    • /
    • 제8권1호
    • /
    • pp.50-54
    • /
    • 2002
  • 딸기탄저병의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배지에서 약제별 균사생장억제정도를 검정한 결과 Tricylazole수화제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딸기잎에 접종하여 효과를 검정하였을 때는 Azoxystrobin 수화제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포장에서 방제효과는 관주 및 엽면살포는 방제효과가 없었으나 Azoxystrobin 수화제 1,000배액에 10분간 침지시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여 주었고 처리시간과 처리농도간 약효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감자 바이러스 Y 복제유전자 cDNA로 형질전환된 황색종 담배의 저항성 특성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Flue-cured Tobacco Plants Transformed with CDNA of Potato Virus Y Replicase Gene)

  • 박은경;백경희;유진삼;조혜선;강신웅;김영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7
    • /
    • 1997
  • A flue-cured tobacco variety (Nicotiana tabacum cv. Wisconsin) was used for Plant transformation with the complementary DNA (cDNA) of potato virus Y-necrosis strain (PVY-VN) replicase gone (Nb) which was synthesized through reverse-transcription Primed with oligo(dT) and Polymerization using RNase H-digested template. The cDNA was cloned into Plant expression vector Plasmid (PMBP2), and introduced into tobacco plants by co-culturing tobacco leaf disks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containing the plasmid before Plant regeneration. Eight Plants, in which the inserted cDNA fragment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ut of 70 putative transformants inserted with sense-oriented Mb cDNA showed no symptom at 3 weeks after inoculation, while the other 62 plants, and all plants with vector gone only and antisense-oriented NIb cDNA had susceptible vein-necrosis symptoms. However, only 2 of the 8 resistant plants were highly resistant, which remained symptomless up to 10 weeks after inoculation. Among the first progenies (T1) from self-fertilized seeds of the two resistant transgenic plants, less than 10 % of 71 plants appeared highly resistant (with no symptom), 70% moderately resistant (with mild symptoms on 1 - 2 leaves), and about 20% susceptible (with susceptible symptoms on 3 or more leaves) at 3 weeks after inoc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VY resistance was inherited in the 71 generation. Key words : potato virus Y. viral replicase gene, transgenic tobacco Plants, resistance.

  • PDF

저온환경이 수박이 냉해발생과 형태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Incidence and Visual Symptoms of Chilling Injury in Greenhouse Watermelons)

  • 권성환;전형권;최동칠;김채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6-41
    • /
    • 2001
  • 저온기 플라스틱 하우스내의 기상에 따른 수박의 저온장애 방지를 목적으로 하우스내의 위치별 온도분포와 냉해 발생률을 측정하였으며, 저온장해시 수박의 가시적인 증상을 조사하였다. 남북동 2중 하우스(남쪽 창)에서 온도분포 (12월 중순)는 중앙을 기준으로 동편(93.8%)이 서편(85.3%)보다 높고, 북쪽이 남쪽보다 1일 평균온도가 약 1~2$^{\circ}C$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엽토(황토+퇴비: 2.5ton/200$m^2$)가 사토나 황토 또는 점토에 비하여 남.북의 양방향에서 높게 발생되었다. 잎에서 냉해의 형태적 증상으로는 잎이 수침상으로 되었다가 잎이 점점 위로 말기며, 황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냉해가 심할수록 줄기의 도관이 점점 막히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의 신장은 줄기나 잎의 생육보다 저온에 대하여 더욱 민감하게 작용하였다. 3$0^{\circ}C$에서 주근과 측근의 생장이 왕성하였으나 22$^{\circ}C$에서는 측근의 발생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4$^{\circ}C$와 6$^{\circ}C$에서는 뿌리의 신장이 거의 정지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저온기에서는 온도가 높은 중앙부위에 수박을 정식하여 양쪽 가장자리로 줄기를 유인하여 재배양식이 온도관리 측면에서 휠씬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우스내의 온도는 최저 22$^{\circ}C$이상으로 하는 것이 뿌리 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신규 마름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a Bracken Blight Disease Caused by Didymella sp.)

  • 이정은;김기범;박주은;김다운;신유경;윤성환;정영륜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3-148
    • /
    • 2019
  • 최근 4년간 경남 남해군 창선면 일대 고사리 재배 포장에서 마름병 증상을 보이는 새로운 병해가 발생하였고 이 병해로 인하여 해당 지역 고사리 생산량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다. 2018년 5월, 7월, 10월에 이병 시료를 채취하여 그로부터 총 92개의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건전한 고사리 잎에 접종하여 총 22개 곰팡이 균주가 포장에서 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을 일으킴이 확인되었다. 이 중 병원성이 가장 높은 2균주를 선발하여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beta}$-subunit, ${\beta}$-tubulin 유전자 부위, internal transcribed region을 증폭하였다. 해당 증폭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작성을 통해 병원균 균주는 Didymella속의 clade에 속하며, 기존 균주 중 D. rumicicola 또는 D. acetosellae와 비슷하나 기존 종 수준의 subclade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사리 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결과는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마름병 발생 첫 보고이다.

대추나무 잎의 이상황화현상 원인 (Causes for Abnormal Leaf Chlorosis in Chinese Jujube (Zizyphus jujuba Mill.))

  • 이재석;이정민;정재식;이영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99-403
    • /
    • 2000
  • 대추나무 잎 이상황화현상이 나타난 과원 토양의 산도는 건전과원 pH 5.6에 비해 pH 5.0으로 매우 강한 산성이었고, 유효인산의 함량은 이상과원이 $645mg\;kg^{-1}$로 매우 높았으나, Mg와 Mn의 함량은 이상과원이 낮았으며, K, Zn, Cu, B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황화현상은 이현통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고, 규암통, 극락통에서도 다소 발생하는 경향이었는데, 이들 토양은 과거에 사과를 재배하였던 토양들이었다. 토양의 Ca/Mg, P/Ca, P/Cu, P/Zn 함량비는 건전과원에 비해 이상과원이 매우 높았으나 Mn/Fe, P/Fe는 이상과원이 낮게 나타났다. 대추나무 잎의 무기성분함량은 건전엽에 비해 이상황화현상이 나타난 잎에 Mg, Fe, N, Zn 함량이 낮았고, K와 Mn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잎의 P/Zn, P/Ca, P/Fe, P/Mn의 함량비는 건전엽에 비해 이상황화현상이 나타난 잎이 높았고, Zn/Fe, Mn/Fe의 함량비는 건전엽에 비해 이상엽이 다소 낮았다. 그러므로 대추나무 잎의 이상황화현상은 토양 양분의 과부족과 양분간의 함량비에 기인되는 영양생리장애 현상인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대(對)한 Ozone가스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제2보(第2報) Ozone가스에 대(對)한 수도품종별(水稻品種別)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ffects of Ozone Gas in Paddy Rice;II. Effect of Ozone Gas on Varieties of Rice)

  • 김복영;김선관;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33
    • /
    • 1982
  • 우리나라 수도(水稻)의 장려(奬勵) 및 준장려(準奬勵) 38개품종(個品種)에 대(對)하여 $6{\sim}8$엽기(葉期)에 0.3ppm의 ozone가스를 3시간(時間)동안 접촉(接觸)시켜 가스접촉후(接觸後)에 나타나는 피해증상(被害症狀), 피해엽률(被害葉率), 엽연소 함량등(葉緣素 含量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zone가스에 의(依)한 수도엽(水稻葉)의 피해증상(被害症狀)은 은백색(銀白色)및 적갈색(赤褐色)의 반점(斑點)이 엽맥(葉脈)사이에 발생(發生)되였으며,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에는 적갈색(赤褐色)의 반점(斑點)이 많았고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에는 은백색(銀白色)의 반점(斑點)이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2) 빙도(氷稻) $6{\sim}8$엽기(葉期)에 $O_3$가스의 저항성(抵抗性)인 품종(品種)은 팔광(八光)벼, 서광(曙光)벼, 밀양(密陽) 30호등(號等)이였고 감수성(感受性)인 품종(品種)은 관악(冠岳)벼, 진주(眞珠)벼, 한강(漢江)찰벼 등(等)이었다. 3) Ozone가스 접촉(接觸)에 의(依)하여 엽록소감소(葉綠素減少)가 적은 품종(品種)을 밀양(密陽) 21호(號), 팔광(八光)벼, 조생통일(早生統一), 호남조생(湖南早生), 황금(黃金)벼 등(等)이고 엽록소감소(葉綠素減少)가 큰 품종(品種)은 농백(農白), 도봉(道峰)벼, 팔금(八錦), 한강(漢江)찰벼, 진주(眞珠)벼, 관악(冠岳)벼등(等)이었다. 4) Ozone가스에 의(依)한 엽연소 감소율(葉緣素 減少率)과 피해엽율(被害葉率)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