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morphology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2초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큰참나물의 분류학적 위치 (Taxonomic position of Cymopterus melanotiligia (H. Boissieu) C.Y. Yoon based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 윤창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5
    • /
    • 2001
  • 한국산 큰참나물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엽연부와 분과의 횡단면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밝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근연 속과의 한계를 명확히 하였다. 큰참나물은 엽연부가 아래로 급격히 돌출하여 ridge 가 형성되고, 분과에서 한쪽은 2개의 측륵과 2개의 중간배륵, 다른쪽은 2개의 측륵과 1개의 배륵이 날개상으로 발달하는 비대칭적 특징을 보여 Angelica s.l.와는 구별되며, Cymopterus 속에 포함되는 것이 타탕하다.

  • PDF

Molecular Phylogeny and Morphology of Mycosphaerella nawae, the Causal Agent of Circular Leaf Spot on Persimmon

  • Lee, Seung-Yeol;Lim, Yang-Sook;Jung, Hee-Young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191-201
    • /
    • 2016
  • In this study, the phylogeny and morphology of Mycosphaerella nawae (Dothideomycetes, Ascomycota) were examined using Korean and Japanese isolates, to establish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 nawae and its allied species. Korean and Japanese isolates of M. nawae were collected from circular leaf spot-diseased leaves and were confirm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data.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ultiple genes, including the ITS region, 28S rDNA, ${\beta}-tubulin$,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1{\alpha}$, and actin genes. Our results revealed that M. nawae is closely related to members of the genus Phaeophleospora but are distant from the Ramularia spp. In addition,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pseudothecia on the adaxial and abaxial surface of overwintered diseased leaves (ODL) and only on the abaxial surface of diseased leaves. Ascospores are oval to fusiform, one-septate, tapered at both ends, $1.7{\sim}3.1{\times}8.1{\sim}14.1{\mu}m$, and were observed in ODL. Conidia are oval, guttulate, one-septate, $3.5{\sim}4.9{\times}12.8{\sim}19.8{\mu}m$, and barely discernable on 30-day cultur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phylogeny of M. nawa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genus Phaeophleospora, especially P. scytalidii.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velum in children and adul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otlarek, Katelyn J.;Haenssler, Abigail E.;Hildebrand, Kori E.;Perry, Jamie 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2호
    • /
    • pp.153-15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velar shape according to age, sex, and rac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0 participants (85 children, 85 adults) between 4 and 34 years of age. Velar morphology was visually classified using midsagittal MRI scans for each participant by 2 independent raters.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was asses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correlations of velar shape with sex, age, and race. Results: The most frequent velar shape was "butt" for both adults(41%) and children (58%) in this study. The least common shapes for adults were "leaf" and "S." The children did not exhibit any "leaf" or "straight" velar shap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for age with respect to velar shape (P=0.014). Sex and rac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velar shape in this study. Conclusion: When using MRI to evaluate velar morphology, the "butt" shape was most common in both children and adults. Velar shape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 while race and sex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예취빈도의 전환이 White Clover의 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Yield and Morphology of White Clover in Response to Infrequent, Frequent Defoliation and Their Alternations)

  • 강진호;박진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1-227
    • /
    • 1995
  • 초지에서 white clover의 존속과 우점 모두가 문제시 되고 있다. 본시험은 white clover의 방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적기의 장?단(1주, 4주)과 이들의 교호가 white clover의 예취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pot 시험으로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적기 4적에 비하여 1적에서는 예취수량 및 주당엽면적과 엽수, 엽병장, 주당포복경장이 감소되나 g당포복경장과 Specific Leaf Area는 증가되었다. 2. 예취적기 1적와 4적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1적 또는 4적로 계속예취한 것의 중간정도이었으나 초기에 4적로 예취한 것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3.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잎과 관련한 형질은 예취적기의 장단에 따라 변하였으나 포복경과 관련된 형질은 교호전 예취적기의 영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다. 4.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주당 엽면적, 엽수 및 포복경장과 정의 상관을. SLA와 g당포복경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한국산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3
    • /
    • 2003
  • 한국산 용담과 식물중, 덩굴식물인 좁은잎덩굴용담속과 덩굴용담속에는 각기 1분류군씰 분포한다. 이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여 두 속간의 한계 와 유연관계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는 주로 열매형질(삭과와 장과), 부화관의 유무와 화분형 질(망상과 유선상)로 의존해 왔으나, 조사결과 외부형태형질(뿌리, 잎, 꽃받침, 주두, 약)과 내 부형태형질(꽃받침, 자방) 그리고 미세구조(화피열편의 표면, 잎의표면, 주맥의 표면, 종피)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두 분류군의 분포는 한반도 육지역에 분포하는 것은 전부 좁은잎덩굴용담이었고 덩굴용담은 해양성기후대인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 산딸기 집단에서 잎 형태 특성에 나타난 표현형 변이 (Phenetic Variability in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ubus crataegifolius Populations)

  • 조철민;허만규;김세현;조계중;강창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82-1388
    • /
    • 2009
  • Rubus crataegifolius is a shrub species and is primarily distributed throughout Asia and Europe. We collected 550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eleven populations in Korea to estimate leaf variation within species. The 3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lowed us to resolve well-supported fixed characteristics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Sixteen of twenty-thre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nd five of twelv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We argued that the population differentiation can accounted for the variation in phenetic characteristics such as spine in this species, but were less successful in accounting for variation in other traits. Within a polystatistic leaf structure, their morphological differences could be modulated by ecological pressure such as temperature, altitude, duration of sunshine, and solar radiation. The phenogram showed two distinct clades. One was a group in central Korea and the other was a group in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I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R. crataegifolius populations reflect their ecological niche, morphology should be regarded with caution as the main criterion for population studies in R. crataegifolius.

동북아시아 뱀톱속 (석송과) 두 종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examination of two Huperzia species (Lycopodiaceae) in Northeast Asia)

  • 임진아;윤나래;이병윤;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9-305
    • /
    • 2015
  • Huperzia lucidula (Michaux) Trevis.의 동북아시아 집단 및 북미 집단을 대상으로 외부형태와 포자형태를 비교한 결과 잎의 형태, 엽연부, 잎에서의 기공의 분포 및 포자의 형태에 있어서 뚜렷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집단을 북미 지역의 H. lucidula와는 독립된 종 H. asiatica (Ching) B.-Y. Sun and J. Lim으로 분리, 승격하였다. 또한, H. serrata (Thunb.) Trevis.와 동일 종 또는 종내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오던 H. javanica (Sw.) C. Yang은 영양엽에서 엽병의 발달 유무, 엽연 거치의 수 그리고 무성아가지의 중앙 열편 모양으로 별개의 종으로 처리하는 견해를 지지하였다.

발광다이오드 광원에 따른 시금치 생육, 엽 형태형성 및 세포길이 변화 (Changes of Plant Growth, Leaf Morphology and Cell Elongation of Spinacia oleracea Grown under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s)

  • 이명옥;박상민;조은경;안진희;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2-230
    • /
    • 2018
  • 본 실험은 LED 광원이 시금치 품종 별 생육, 잎 형태변화 및 세포 길이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최아된 시금치(Spinacia oleracea.) 품종 '월드스타'와 '수시로'를 버미큘라이트에 육묘한 후 NFT 시스템에 정식 한 뒤 LED 적색광(R), 청색광(B), 혼합광(적색:청색=2:1)(RB) 및 백색광(W)에서 $130{\mu}mol{\cdot}m^{-2}{\cdot}s^{-1}$ PPFD 광도로 25일간 재배하였다. 정식 후 일주일 간격으로 25일 동안 엽장, 엽폭, 엽병, 엽수, 광합성률을 측정하였고, 상편생장지수(leaf epinasty index, LEI)는 잎이 최대로 전개된 후에 측정하였다. 상편생장이 발생된 잎 가운데와 가장자리를 자른 조직의 세포길이, 폭 및 세포면적은 400배율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식 후 25일째에는 엽면적, 뿌리길이,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수, 엽면적 모두 월드스타 품종이 수시로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건물중은 월드스타 품종의 경우 혼합광(RB)와 적색광(R) 두 처리구에서 청색광(B)와 흰색광(W) 두 처리보다 약 35%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시로 품종의 경우 혼합광(RB) 처리구에서 지상부 건물중이 가장 높아 건물중이 가장 낮았던 흰색광(W) 처리구에 비해 40% 높은 건물중 결과를 보였다. 두 품종 모두 혼합광(RB)와 적색광(R) 두 처리구에서만 정식 21일 이후 잎 상편생장(leaf epinasty)이 나타났고 적색광(R) 처리구에서 혼합광(RB) 처리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잎 상편생장은 적색광(R)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잎 가운데와 가장자리 부위 세포크기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두 품종 모두 상편생장이 나타난 적색광(R) 처리구의 잎 가장자리 세포밀도가 잎 가운데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앞서 보고된 연구결과들에서 제시한 상편생장과 잎 가운데와 가장자리 부위의 세포크기 차이 연관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청색광(B)이 적색광(B)에서 발생되는 상편생장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 앞으로 두 광원의 적절한 혼합비율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엽형 변화가 심했던 수시로 품종보다는 월드스타 품종이 LED 광원을 이용한 식물공장 재배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양생장기 습해 처리에 따른 콩 품종의 해부형태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s in Anatomical Morphology Between Soybean Cultivars of Different Flooding Tolerance under Early Vegetative Flooding Conditions)

  • 이충열;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20-324
    • /
    • 2007
  • 본 실험은 내습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5엽기에 9일간 침수 처리한 후 잎과 배축을 대상으로 횡단면을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 다음과 같다. 1. 엽록소함량, 광합성, 책상조직 수, 엽두께 및 잎 건물중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풍산나물콩보다 소백나물콩의 감소가 더 많았다. 2. 잎 조직의 책상조직의 치밀함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고 품종간 차이도 관찰되었으며, 풍산나물콩은 주맥의 통도조직 중 목부의 발달을 볼 수 있었다. 3. 배축의 통기조직 형성은 소백나물콩은 보이지 않았으나 풍산나물콩은 피층에 파생통기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Stemphylium Leaf Blight of Garlic (Allium sativum) in Spain: Taxonomy and In Vitro Fungicide Response

  • Galvez, Laura;Gil-Serna, Jessica;Garcia, Marta;Iglesias, Concepcion;Palmero, Danie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388-395
    • /
    • 2016
  • The most serious aerial disease of garlic is leaf blight caused by Stemphylium spp.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causal agent of this disease is indicated. Stemphylium vesicarium has been reported in Spain, whereas S. solani is the most prevalent species recorded in China. In this study, Stemphylium isolates were obtained from symptomatic garlic plants sampled from the main Spanish production areas. Sequence data for the ITS1-5.8S-ITS2 region enabled assignation of the isolates to the Pleospora herbarum complex and clearly distinguished the isolates from S. solani. Conidial morphology of the isolates corresponded to that of S. vesicarium and clearly discriminated them from S. alfalfae and S. herbarum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septation pattern of mature conidia. Conidial morphology as well as conidial length, width and length:width ratio also allowed the Spanish isolates to be distinguished from S. botryosum and S. herbarum. Control of leaf blight of garlic is not well established. Few studie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 treatments to reduce Stemphylium spp. incidence on garlic. The effectiveness of nine fungicides of different chemical groups to reduce Stemphylium mycelial growth in vitro was tested. Boscalid + pyraclostrobin (group name, 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ors + quinone outside inhibitors), iprodione (dicar-boximide), and prochloraz (demethylation inhibitors) were highly effective at reducing mycelial growth in S. vesicarium with $EC_{50}$ values less than 5 ppm. In general, the effectiveness of the fungicide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do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