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opera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3초

미시교통시뮬레이션모형을 이용한 공용 좌회전 차로의 중첩현시운영의 이동성과 안전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f Mobility and Safety of Operating an Overlap Phase on a Shared-Left-Turn Lane Using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 윤일수;한음;우석철;윤정은;박성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5-26
    • /
    • 2012
  • 정부는 교통운영체계 선진화를 위하여 지속적인 교통시설 및 운영방식 개량, 그리고 교육 및 단속 등을 실시하여 왔다. 그러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통신호와 도로운영체계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원인 중에 하나는 정부가 제시한 대안들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사전 평가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교통운영체계 대안에 대한 이동성 및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종합적인 평가 도구로써 미시교통분석모형의 체계적인 활용을 제안하며, 분석사례로 공용 좌회전 차로에 중첩현시가 적용 중인 대상교차로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 안전성과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용 좌회전 차로에서 중첩현시의 적용은 이동성은 큰 차이가 없으나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및 직진교통량 증가를 가정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중첩현시가 가장 좋은 이동성을 보이나 안전성 측면에서 크게 나빠지는 것을 계량적으로 증명하였다.

보행신호 운영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효과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Roundabout Based on the Operation of Pedestrian Signal)

  • 김경환;박병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9
    • /
    • 2012
  •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보행신호 운영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보행신호 운영(7개), 교차로 유형(2개), 보행교통량(8개) 및 진입교통량(15개)에 따른 1,680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지 1차로 회전교차로는 유형 2, 4지 2차로 회전교차로는 유형 6이 다른 유형에 비해 운영효과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보행신호 운영의 평균 지체가 비신호 횡단보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4지 1차로는 표준 횡단보도가 2단 횡단보도에 비해 평균지체가 8.18% 감소하였다. 반면, 4지 2차로는 2단 횡단보도가 표준 횡단보도에 비해 36.53%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버스전용차로 노선 적합성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A Route Suitability Study for Exclusive Bus Lane: A Case Study in Gwangju City)

  • 양철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31
    • /
    • 2013
  • 버스전용차로는 버스교통량이 많은 간선도로에서 여객수송용량(person-carrying capacity) 증가를 통한 교통체증 완화가 목적이다. 도심의 제한된 공간에서 버스전용차로제 시행으로 인한 일반차로 감축은 교통체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세심한 버스전용차로 설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버스전용차로 적합성(또는 설치 기준)을 버스교통량 및 버스이용객수에 국한하고 있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7가지 지표(버스교통량, 버스노선수, 교통량/차로수, 차로수, 교차로수, 이면도로수, 노선굴곡도)를 이용하여 광주광역시 버스전용차로 적합성을 분석하여 상대적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버스전용차로 효율성 및 최적의 운영 시간대를 검토한다.

지방부 도로의 양보차선 설계기준 정립을 위한 이론적 연구 (A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s for Passing Lenes on Rural Two-Lane Highways)

  • 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7-82
    • /
    • 1993
  • The effects of passing lanes on traffic flow on rural two-lane highway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Field stud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TRARR, TRARR model appears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field study results except that average speed and distribution of platoon sizes showed a small amount of discrepancy, which is believed to be caused by too large a headway definition of 6 second for a vehicle platoon. Using the TRARR model, 4 situations including the existing condition, installation of passing lanes, improvement of design speed, and expansion to a four lane highway were evaluated. Traffic volume levels of 500,1000, and 1500 vph and truck composition of 20 and 40% were also considered making a total of 24 computer runs. It is concluded in this research that the installation of passing lane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raffic operation on two-lane high ways except the alternative of four lane highway expansion.

  • PDF

신호교차로의 차로 배정과 신호시간 최적화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Lane-Use and Traffic Signal Timing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 김주현;신언교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93-103
    • /
    • 2015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linear programing optimization model for the design of lane-based lane-uses and signal timings for an isolated intersection.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model, a set of constraints for lane-uses and signal settings are identified to ensure feasibility and safety of traffic flow. Three types of objective functions are introduced for optimizing lane-uses and signal operation, including 1) flow ratio minimization of a dual-ring signal control system, 2) cycle length minimization, and 3) capacity maximization. RESULTS : The three types of model were evaluated in terms of minimizing delay tim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flow ratio minimization model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delay time than cycle length minimization and capacity maximization models and provided reasonable cycle lengths located between those of other two models.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flow ratio minimization objective function is the proper one to implement for lane-uses and signal settings optimization to reduce delay time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Building a mathematics model for lane-change technology of autonomous vehicles

  • Phuong, Pham Anh;Phap, Huynh Cong;Tho, Quach Hai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641-653
    • /
    • 2022
  • In the process of autonomous vehicle motion planning and to create comfort for vehicle occupants,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are the vehicle's safety features and the road's slipperiness and smoothness. In this paper, we build a mathematical model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 genetic algorithm and a neural network to offer lane-change solutions of autonomous vehicles, focusing on human vehicle control skills. Traditional moving planning methods often use vehicle kinematic and dynamic constraints when creating lane-change trajectories for autonomous vehicles. When comparing this generated trajectory with a man-generated moving trajectory, however, there is in fact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o draw the optimal factors from the actual driver's lane-change operations, the solution in this paper builds the training data set for the moving planning process with lane change operation by humans with optimal elements. The simulation results are performed in a MATLAB simulation environment to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olution operates effectively with optimal points such as operator maneuvers and improved comfort for passengers as well as creating a smooth and slippery lane-change trajectory.

메조모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통운영방식의 연료소모량 분석 (Fuel consumption effects of transportation improvement options using mesoscopic traffic simulator)

  • 최기주;이건영;오세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38
    • /
    • 2002
  • 일반적으로 교통운영 시스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구간통행 시간, 통행속도, 지정체율 등과 같은 효과척도(MOE: measure of effectiveness)가 사용된다. 그러나,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극히 높은 상황에서는 기존의 교통측면의 효과척도 이외에 에너지소모라는 효과척도가 교통운영시스템의 MOE로서 대안평가에서 점차로 중요한 영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통운영방식별 에너지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효과척도로서의 구간평균속도, 구간평균통행시간, 지정체 뿐 아니라), 에너지 소모 또한 대안평가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각 대안별 에너지 소모를 상대적으로 측정하여 볼 수 이는 절차를 개발하고 상호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조모형 시뮬레이터인 Integration이 사용되었으며, HOV 차로 운영, 신호 최적화, 차로 확장, ITS 적용에 대한 대안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중ITS의 적용이 에너지 절감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로확장, 신호최적화, HOV 차로 운영 순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차종에 대한 특성의 고려, 잠재수요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으며, 분석 기간이 단지 첨두 1시간에 그쳤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현실적 요소에 대한 고려 및 시스템의 확대적용에 있어 보다 정확한 경제성 분석절차 및 방법론적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8차로 고속도로 기본구간 용량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pacity Analysis of 8-lane basic section Freeway)

  • 김상구;서영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7-96
    • /
    • 1999
  • 용량분석은 고속도로 기본구간 차로의 계획, 설계, 운영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된 고속도로 기본구간에 대한 용량분석은 4차로만을 대상으로 수행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급증하는 교통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다차로 고속도로의 계획, 건설이 잇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다차로 고속도로에 대한 용량분석 연구가 절실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8차로 고속도로에 대한 차로별 용량을 결정하였고 차로별 보정계수를 사용한 전체 차로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FTMS)의 루프 검지기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고, 용량결정을 위하여 자료수집 단위 시간별, 차로별, 일방향 전체차로에 대해 최대 교통류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차로별 교통류 불연속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교통류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차로별 보정계수, 임계속도, 임계밀도를 결정하였으며, 다차로 고속도로 용량분석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교량 및 터널구간 차로운영 설계기준 (Design Standard for Lane Operation in Bridges and Tunnels)

  • 유호인;오영태;이철기;정우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3-4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산지가 전국토의 70%를 차지하는 우리 국토의 지형적인 여건과 환경 및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으로 인해 도로건설시 구조물(교량 및 터널)의 설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최근의 실정에서 터널과 교량으로 연결된 구조물 연속구간에서 차로변경이 제한될 경우, 중차량 등 저속차량으로 인한 고속도로 본선의 소통능력 저하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물 구간의 차로변경을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차로변경 허용시의 필요조건으로 구조적 측면, 안전적 측면, 운전자 편의측면을 검토하여 적절한 차로변경 허용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우측길어깨가 2.5m 이상인 구조물(교량 또는 터널) 구간. 2. 운전자의 원활한 차로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로안내표지, 전광표지판, 노면표지 등 충분한 교통안내시설이 설치 된 곳. 3. 결빙이 우려되는 지역에 설치된 교량의 경우 융설시스템을 구비한 곳. 4. 터널의 경우 터널방재기준(2004.11) 및 터널조명기준(KSA 3703)을 만족하며 터널입 출구부에 결빙방지설비가 구비된곳. 5. 터널 구간 내 전조등을 점등한 차량에 한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