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e clos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1차로 전면차단 후 도로포장 보수방법의 효과분석 (김천~선산 사례중심) (Evaluation of a Traffic Lane Closure and Pavement Repair for a Certain Period (Focusing on the Gimcheon~Sunsan Project))

  • 류성우;박권제;한승환;최인구;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1-19
    • /
    • 2016
  • PURPOSES : This study supports the evidence that it is possible to rehabilitate a damaged pavement with a lane closure specifically based on the Gimcheon~Sunsan project. METHODS : The prediction results from the simulation programs were compared with field monitoring, which focused on traffic management planning, congestion (length, time, and passing speed), bypass, and user cost, among others. RESULTS :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lane closure application and pavement repair of the aged pavement in Korea were possible, even though the prediction results were minimally different from the field monitoring. The road agency contributes to service life extension of the rehabilitated pavement using this method. CONCLUSIONS : A marginal effect caused by the lane closure was observed on travelling users or vehicles, and the user cost of pavement repair decreased. Therefore, introducing the repair method or rehabilitation in Korea is possible.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various media was properly done to execute the project well. Moreover, the construction area traffic utilized nearby alternative roads. Therefore, improving the repaired pavemen's service life while ensuring that the pavement management agency can provide a road with comfortable user riding quality was possible.

오르막차로 일시 폐쇄를 위한 교통운영기준 사례연구 (중부내륙고속도로 낙동JC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Traffic Operational Guidance for Temporary Closure of Climbing Lane; Focusing on Nakdong JC at Jungbunaeryuk Expressway)

  • 최윤혁;이승준;배영석;고한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7-28
    • /
    • 2010
  • 오르막차로는 오르막 구간에서 속도 감소가 큰 대형차의 혼입률이 증가하여 교통용량의 감소가 크게 예상되는 경우, 고속 교통류에서 저속 교통류를 분리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오르막차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오르막차로의 구간선정, 시종점 위치, 설치방법 등 주로 도로설계기준과 관련된 내용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교통운영측면에서 오르막차로는 교통량이 증가할 경우 주요한 병목지점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교통운영측면에서 교통량(v/c), 중차량비, 종단경사에 따라 오르막차로 일시 폐쇄가 혼잡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울러 적절한 교통운영기준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중부내륙고속도로 낙동분기점 부근의 오르막구간(136.9K~133.3K, 길이 3.6km, 구배 3.7%)을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여 교통운영변수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 결과, 교통량과 중차량비가 오르막차로의 주요한 교통운영기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르막차로로 인한 혼잡을 막기 위해서는 교통량비가 0.8이고 중차량비 50%일 때 종단경사와 상관없이 폐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교통량비 1.0일 경우에는 중차량비, 종단경사와 상관없이 오르막차로 폐쇄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인 소통상황에서는 오르막차로 운영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교통량 및 중차량비의 변화에 따라 오르막차로의 탄력적 운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도로시설의 탄력적 운영기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용량 개정에 따른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of-Service Changes of Expressway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raffic Capacity at Work-Zone)

  • 류성우;박권제;한승환;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09-117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analyzes the available working time at work-zone on the Expressway in accordance to the new capacity manual. METHODS : Sensitivity analysis on variable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the adjusted capacity at work-zon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SULTS :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 available working time at the work-zone were its capacity, number of lanes, terrain and lane width. Other factors have minimal effect on the available working time. Based on the analysis, a calendar of lane closures was suggested. CONCLUSIONS : A series of studies concluded that the capacity at work-zone in the new capacity manual reduced to 76-82% of the existing manual. As such, the available working time decreased.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available working tim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making a plan to rehabilitate the distressed pavement.

고속도로 단기공사구간 기본용량 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Base Capacity Values for Short-Term Freeway Work Zone)

  • 김상구;홍길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46
    • /
    • 2013
  • 고속도로 시설의 유지보수 관련 도로점용공사는 차로폐쇄로 인해 병목구간이 생기고 급격한 교통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급격한 교통류 변화는 병목구간에서 합류로 인한 차량간 마찰을 키우고 이로 인해 정상적인 교통상황에서보다 용량이 더 낮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공사구간의 용량감소는 지정체를 발생시키고 상류부로 대기행렬을 형성시킴으로써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는 등 경제적인 손실비용 또한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단기 도로점용공사 작업 계획시 공사구간의 원활한 교통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공사구간 기본 용량 결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검지기 자료와 공사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두 자료의 매칭과정을 수행한 후 공사구간 검지기 자료를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차로점용공사로 인해 교통류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분석대상지점을 선정하여 용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분석지점을 대상으로 공사유형, 차로감소유형, 설계속도별 등 다양한 유형별로 용량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공사구간 기본용량을 설계속도 100, 120kph별로 각각 1,700, 1,750pcphpl로 제시하였다.

도로공사로 인한 차선폐쇄시 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raffic flow on the Lane Closure due to Road Construction)

  • 오주삼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16-125
    • /
    • 1998
  • 도로공사로 인해 차선의 일부가 폐쇄된 경우에 이용하는 차선에 따라서 운전자의 통행패턴은 달라진다. 공사구간이 없는 경우 운전자의 차선변경은 제한적이나마 각 차선의 밀도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선폐쇄지점 전방에서는 차선변경할 확률은 폐쇄지점까지의 남은 거리에 따라서 음지수함수를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논문에서 공사구간에서의 차선변경행태와 교통량, 밀도, 속도를 산정하였으며, 공사로 인한 차선별 지체시간을 산정하였다.

  • PDF

고속도로 공사구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of Freeway Work Zones)

  • 박태훈;박제진;윤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7-136
    • /
    • 2008
  • 최근 도로의 유지관리 개념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도로 자체의 유지보수 확장이나 도로선형 개량 등 도로상에서 각종 공사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 상에서 도로점용공사로 인하여 차로가 감소되는 구간은 교통효율과 사고 위험도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도로점용공사가 필요하지만, 국내의 도로 특성을 반영한 공사구간 도로상에서의 교통사고 측면의 연구가 부족하여 외국의 사례를 적용하고 있는데, 외국은 국가의 면적, 도로의 사정, 국민들의 의식수준 등 여러 가지 상황이 우리나라와 상이하여 외국의 사례를 그대로 적용했을 때에는 실제적으로 우리나라 도로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고속도로 23개 노선을 중심으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교통통제가 이루어진 공사구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조사하고 이 공사구간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특성을 사고유형별, 사고심각도별, 공사유형별, 원인별, 사고 발생경향별, 그리고 전체 고속도로상의 교통사고와의 비교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공사구간 통제지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속도로 공사구간 차로 합류기법 안전성 평가 연구 (Safety Evaluation of Traffic Merging Control Methods for Freeway Work Zone)

  • 황동환;오철;박현진;정봉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3-277
    • /
    • 2016
  • 고속도로 공사구간은 차로의 차단 및 공사구간 내 다양한 시설물에 운전자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구간이다. 공사구간 중 완화구간은 차로차단으로 인하여 차량의 합류가 발생하므로 사고의 위험도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션(Driving Simulation)과 교통 시뮬레이션 (Traffic Simulation)의 연계 분석을 적용하여 세 가지 유형의 차로합류 기법에 대한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차로차단 기법보다 사전 유도기법 또는 Joint Merge기법이 안전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수준(LOS) A, B인 경우 사전 유도기법이 적정 합류기법으로 판단되었으며, 서비스 수준 C의 경우 Joint Merge기법이 적정 합류기법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차로차단 기법 외에 공사구간 교통상황에 따른 다양한 합류기법의 적용 타당성을 주행 및 교통 시뮬레이션의 연계분석을 통하여 안전성 관점에서 평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취약지역생활 여건개조 사업현황과 마을 경관구조의 형태심리학적 연구 - 컨설팅대상 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building Existences of Saethul Maul Project and Landscape Composing of Gestalt Psychology in the Vulnerable Villages - Focused on the Vulnerable Villages Consulted by Experts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3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gestalt psychological value of the Landscaping structure and architectural landscape in the vulnerable village consulted by experts in 2021 year. For this study, nine villages called of Saethul Maul were surveyed, and two of them were analyzed for landscape composing of gestalt psychology. The two villages, Yulwon and Jeonchon, included the case where the landscaping structure of residence was viewed from outside the village and the case from within the villag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villages is analyzed by D/H ratio for the scenery seen from lanes. There are three expected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gestalt psychology, the buildings mean a figure, and the rice field in front of the village, the mountains behind the village, and the lanes represent a landscape structure consisting a background(ground). It captures the unique landscape aesthetics of the vulnerable village. Second, the landscape seen in the village shows various differences in horizontal distance and vertical height of the lane, so even if the psychological distance gives a sense of closure, it gives a sense of rhythm and change. However,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D/H ratio) when the roads are expanded for the fire car, the village landscape can be re-formed by safety and function. Third, the architectural landscape of Yulwon village is characterized by the harmonious arrangement of traditional houses, Narack-Doiji (rice barn), and wooden building (agricultural barn) in the background of chestnut tree hill behind the villag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use of industrial materials and restore the valuable architectural landscape of the vulnerable village.

Traffic control technologies without interruption for component replacement of long-span bridges using microsimulation and site-specific data

  • Zhou, Junyong;Shi, Xuefei;Zhang, Liwen;Sun, Zu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0권2호
    • /
    • pp.169-178
    • /
    • 2019
  • The replacement of damaged components is an important task for long-span bridges. Conventional strategy for component replacement is to close the bridge to traffic,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reduced to a minimum extent. However, complete traffic interruption would bring substantial economic losses and negative social influence nowadays. This paper investigates traffic control technologies without interruption for component replacement of long-span bridges. A numerical procedure of traffic control technologies is proposed incorporating traffic microsimulation and site-specific data, which is then implemented through a case study of cable replacement of a long-span cable-stayed bridge. Results indicate traffic load effects on the bridge are lower than the design values under current low daily traffic volume, and therefore cable replacement could be conducted without traffic control. However, considering a possible medium or high level of daily traffic volume, traffic load effects of girder bending moment and cable force nearest to the replaced cable become larger than the design level. This indicates a potential risk of failure, and traffic control should be implemented. Parametric studies show that speed control does not decrease but increase the load effects, and flow control using lane closure is not effectual. However, weight control and gap control are very effective to mitigate traffic load effects, and it is recommended to employ a weight control with gross vehicle weight no more than 65 t or/and a gap control with minimum vehicle gap no less than 40 m for the cable replacement of the case b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