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satisfaction factors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심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 -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of User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Urban Park - On the 2·28 Memorial Park in Daegu -)

  • 구민아;엄붕훈;한예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공원 중에서도 도시화와 환경문제에 있어 가장 중심에 있는 도심공원인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집단별 특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이는 추후 공원관리뿐 아니라, 공원설계, 환경 적합성 예측, 정책 및 프로그램 효율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는 목적으로 한다. 조사 시기와 방법은 2016년 5월 11일에서 26까지 15일간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이용행태분석, 만족도, 이미지평가 설문항목을 도출하여 SPSS를 통해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항목들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인과관계의 요인들이 추출되었고, 만족도와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2.28기념중앙공원은 대부분 항목에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와 선호도를 보였다. 평가결과, 추후 도심공원계획과 설계에 있어서는 만족도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녹지수경 요인과 정돈성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도심공원의 특성상 공원 이용자들도 도심 환경문제를 느끼고 있기에 평가치가 낮은 소음도(3.92), 식물수종(4.09), 공기의 질(4.10), 조용한(4.22)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음 완화와 녹음 확보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북한산 둘레길 경관선호도와 이용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s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Bukhansan Dulegil)

  • 조우현;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
    • /
    • 2013
  • 자연속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의식 변화로 길은 기능 중심의 '걷는 길'에서 목적 중심의 '걷고 싶은 길'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성되고 있는 '걷고 싶은 길'은 길을 따라 걷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긴 선적 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노선 선정 시 길을 걷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길의 경관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길을 걸으면서 느끼고 지각하는 경관은 '걷고 싶은 길'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목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길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걷고 싶은 길의 경관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하여 경관적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길 경관에 대한 이미지 및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용 만족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걷고 싶은 길 노선 선정 과정에서 경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북한산 둘레길 13개 구간에 대하여 구간별 대표경관 사진을 선정하고, 경관평가를 위한 경관이미지 형용사를 선정하여 경관평가를 시행하였다. 경관평가를 통해 구간별 경관이미지, 걷고 싶음 및 경관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이미지 요인, 경관선호와 이용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경관이미지는 수목이 많고 인공적 요소의 지각이 덜한 길에서 '상쾌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나고, 인공적 요소의 지각이 높은 길에서 '도시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걷고 싶음'과 '경관미 선호도'는 자연적 요소가 높아 '상쾌한', '전원적인' 이미지가 높은 길에서 높게 나타났다. '걷고 싶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쾌한-불쾌한", "인상적인-평범한"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경관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쾌한-불쾌한", "편안한-불편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또한, 경관선호도는 이용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The Direction of School Forest Plans Consider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 장철규;정성관;장정선;김경태;오정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51
    • /
    • 2009
  •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의 학교숲 현황을 조사하고, 주 이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여 만족유형에 따른 학교숲 조성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교숲의 만족도는 수목 많음 항목이 가장 높았고, 소음 감소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5개의 항목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 환경적 기능, 교육 휴게 기능, 생태적 기능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요인 점수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군집 I은 환경적 기능, 군집 III은 교육 휴게 기능, 군집 IV는 생태적 기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II는 3개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만족유형에 따라 학교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군집 II에 속하는 학생들이 적고, 타군집의 분포가 비슷한 학교일수록 전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학교의 경우 운동장의 많은 부분을 식재공간으로 활용하여 학교숲 면적 및 비율이 타학교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숲을 조성할 경우 학교숲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여 환경적, 교육 휴게 및 생태적 기능 등 학생들의 만족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기존 화단에 수목을 추가하는 방식보다는 학교숲을 이용할 수 있는 공원형 방식으로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정 수면폭.하천폭비 산정을 위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 영산강과 섬진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in Visual Preference for River Scenery to estimate the Optimal Ratio of Water Surface Width.River Width - With a Focus on the Youngsan and Sumjin Rivers -)

  • 유상완;이주헌;홍형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for river scenery, which can vary according to changes in water levels, to estimate the optimal ratio of water surface/river width. Five locations on the Youngsan and Sumjin River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amples and field survey data such as channel geometry with water levels were prepared to develop the slide of river scenery, To estim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river scenery, slides of 4 different water levels at each of the representative locations were developed through questionnaire.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for river scenery and preference factors, a multi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adop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Factor B(Aesthetic factors) have the greatest affect on visual preferences and Factor A(A Feeling of Open space and Physical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to visual preferences for river scener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preferred W/B ratio varies from 0.5 to 0.7 and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ny people prefer high levels river flow to maintain a natural and harmonious view of r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river landscape design and river restoration projects in order to maximize the human being's satisfaction as a part of nature.

서울시 마을마당의 이용후 평가 (Post-Occupancy Evaluation for Village Parks in Seoul)

  • 김신원;허준;박율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4-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designing Village Parks in Seoul in the future, which result from analyzing post-occupancy evaluation. For conducting this study, 10 Village Parks among 45, built between 1996 and 1997,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10 Village Parks in Seoul has been evaluated on a scale of 10, to be a 6.68 average. This result means that the most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 existing Village Parks in Seoul. The correlation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jor planning factors for 3 types of Village Parks shows that access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future directions of planning and designing Village Parks, many kinds of sitting, leaning and resting place need to be provide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visual quality of the parks with various spatial elements.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various facilities for people's use should be provided in Village Parks.

  • PDF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지구단위계획지침이 거주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죽곡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Urban Design Guideline on Resident's Satisfaction at Jukgok Newtown District in Daegu)

  • 홍경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89-96
    • /
    • 2013
  • Urban design is a specific and detailed action plan which regulates from the development plan t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every building and now many new towns by Urban design has been developed after 2000. But recently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Urban design have been raised in loc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urban design in terms of residents, through case study and the survey of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design guidelines. The result of survey of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design were above-average satisfaction. And main factors influencing to the resident's satisfaction are the public infrastructure factors, transportation factors, development density factors, and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urban landscape factors. And the total satisfaction was most influenced by the public infrastructure factors among the five factor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urban design, it is necessary to build specific planning and guidelines to the general.

한국골프장의 이용자 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re Factors Influencing the Golfer Satisfaction with Golf Courses in Korea)

  • 류창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6-34
    • /
    • 2008
  • 본 연구는 고객(Golfer)의 입장에서 골프장 만족도와 골프장 운영의 다양한 변수들을 분석하여 상호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분석된 골퍼들의 다양한 기대감과 욕구를 골프장 설계과정과 운영에 반영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해, 국내의 골프장 119개소를 조사하였으며, 총 309부의 설문이 수집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운영서비스 요인변수는 "골프장 이미지", '직원 서비스' 그리고 '이용요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코스 설계 및 관리 요인변수는 "코스관리 상태", '티잉 그라운드 특성" 그리고 "코스 내 조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상의 두 부분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운영서비스" 변수와 "코스 설계 및 관리" 변수에 대한 부분을 통합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합모형의 설명력은 36.5%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성 검정에서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 모형의 회귀분석 결과, "코스관리 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코스 내 조경", "티잉 그라운드 특성", "직원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계수 값을 보면 "코스관리상태"가 21.8%의 영향력을 미치며, "코스 내 조경"은 20%, "티잉 그라운드의 특성"은 17.7%, "직원서비스"는 15.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영서비스 부분이 강조되어 연구되어온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로 해석된다.

도시공원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 -대구시 두류도시공원의 사 례연구- (A Causal Model for UserSatisfaction with City Park Facilities -Case Study of Duryu City in Taegu-)

  • 현종영;박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3-109
    • /
    • 1992
  • This research suggest a causal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with city park recreational facilities in Duryu city park in Taegu, and thereby identifying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development of urban parks and open space.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gathered by self-adminstered questionnares from 993 households selected by the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analysis of the data consists of two phases. The first involv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draw meaningful factors from the data. Three factors were indentified. The second phase test the causal model of this research employing LISREL methodology. On the base of the analysis resul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city park and open space are recommended.

  • PDF

An Evaluation of Apartment Managers' Satisfaction regarding Landscape Management in Apartment Complexes

  • Ahn, Hee-Sung;Kang, Hyun-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3-663
    • /
    • 201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methods to more efficiently maintain and manage landscape areas within apartment complexes by analyz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landscape management and managers' percep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50.3% of the surveyed apartment complexes performed own landscaping, while 25.2% hired landscaping services partially, which indicates that apartment management offices maintained facilities by themselves or partially hired landscaping companies due to a shortage of funds. Second, among apartments that perform own landscaping, 37.5% of them were built more than 20 years ago, while 34.3% of apartment complexes that were built less than 5 years ago were found to hire professional management. Regarding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34.7% of those that perform own landscaping had less than 300 households, while 48.6% of those that hire full landscaping had more than 2,000 households. Third, regarding landscaping cost, 63.9% of those that perform own landscaping spent less than 20 KRW per square meter, while 28.6% of those that hire full landscaping spent less than 20 KRW per square meter and 25.7% spent less than 50 KRW per square meter, showing that the management cost was higher in the apartments hiring full landscaping. Fourth, work types also showed differences between landscape management types. Only 50.9% of self landscaping apartment complexes were found to regularly trim trees, while 91.4% of apartments that hire full landscaping services performed the same tasks, keeping trees healthy and visibly more appealing. Fifth, the apartments hiring full landscaping showed a higher level of work satisfaction (3.46) than those performing own landscaping (2.67). Sixth, on the matter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most ite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apartments hiring full landscaping (3.11-3.43 on average), compared to apartments performing own landscaping (2.4-2.9 on average). Apartment managers showed a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landscape management by hiring professional landscaping services.

청장년층과 노년층의 공원환경 인식 및 만족 요인 차이 분석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actor of Park between Young Adults and Old Adults)

  • 이우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5-15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use behavior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a park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on park satisfaction among 7 parks in Suseong-gu, Daegu. The data from the 255 questionnaires of young adults (30-59) and old adults (more than 60) who use the park more than once a week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erms of park use behavior, young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jogging mainly on weekday evenings, while old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rest mainly during weekday daytimes. In addition, old adults used the park more times a week than young adults, and spent more time in the park. I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park,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both age groups but overall, old adul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ark environment than the young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t was determined that park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amenity', 'use convenience', 'facility suitability', and 'landscape diversity'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park satisfaction for old adults has an influence on 'use amenity', 'facility suitability', and 'use convenience' in this or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data for future park planning considering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