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 type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8초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A Study on Land Suitability Factors and Their Weights)

  • 채미옥;오용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5-740
    • /
    • 2003
  • 토지의 개발 또는 보전을 결정하는 적성은 토지가 가진 물리적 특성, 그 토지가 속해있는 주변지역의 특성. 토지의 공간 입지적 특성, 생태환경적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가조사법과 AHP법을 활용하여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를 분석하고 각 지표가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지의 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개발적성 또는 보전적성별로 각기 다른 지표들이 분석되었고 지표별 영향력도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발적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경사도, 표고, 인근용도간 부합성, 용도전용비율, 기개발지거리, 공공편익시설거리의 6개 지표로 분석되었고, 이 중에서 기개발지거리 지표와 공공편익시설거리지표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농업성을 결정하는 지표는 물리적 조건 상 경사도가 높지 않은 지역이면서 제도적으로 농지를 보전하기 위해 지정한 농업진흥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나 농업적 투자를 한 지역(경지정리지역) 또는 그들 지역과 근접해있는 지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보전지역은 생태자연도상의 상위등급지표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다음이 각종 법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한 면적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별 영향력을 반영하여 적성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적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중간 적성값의 필지보다 개발적성과 보전적성이 강조된 양극단의 적성값을 가진 필지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A Model of Enhancing Biodiversity through Analysis of Landscape Ecology in Seoul Cultivated Area)

  • 송인주;진유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9-260
    • /
    • 2002
  •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농경지는 인간의 간섭이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준자연지역으로 생산성보다는 도시의 생물다양성보존 및 경관다양성을 통한 일반시민의 자연체험이라는 측면에서 관리.보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농경지는 개발용지로 토지이용이 전환되어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농경지 패취의 시간변화에 따른 토지이용변화를 살펴보고 서울시 비오톱유형도에 근거한 농경지 패취를 분석하여 서울지역 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농경지 관리모델을 구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금호강 유역관리를 위한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분석 (An Analysis of Land Use Patterns in Riparian Zones for the Geumho River Watershed Management)

  • 박경훈;오정학;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7-16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하천 수질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GIS 자료는 수치토지이용도(1:25,000), 수치지형도(1:5,000)에서 추출된 하천망도, 그리고 다중버퍼링 기법에 의한 수변구역도로 구성되었다. Pearson의 상관분석은 하천 양안 30m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수질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구광역시가 위치하고 있는 금호강 하류의 소유역들은 대부분이 주거, 상업, 공업의 도시지역으로 개발된 반면, 금호강 중류와 낙동강 본류에 분포하는 소유역들은 논, 밭 그리고 과수원 등의 농업지역으로 주로 이용되었다. 유역에서 발생되는 질소, 인, 퇴적물 등의 여과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산림지역의 면적률은 16%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변구역의 토지이용패턴과 하천 수질지표간의 상관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변구역의 도시면적률은 하천 수질과 음(-)의 관계를 가지며, 산림지역 면적률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지가 등의 경제적인 측면을 비롯한 현재의 토지이용패턴, 그리고 하천 제방의 특성, 지형, 토양 등의 물리적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사 및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수변구역 정비 및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 김현옥;염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3-214
    • /
    • 2012
  •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도시의 물리적인 환경은 도시열섬효과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일차적으로 토지이용 또는 토양피복에 따른 지표면온도의 상승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해상도가 다른 MODIS, Landsat ETM+과 RapidEye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지인 일산 신도시지역의 지표면온도는 토지 이용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건폐율이 높은 저층단독주택지구보다 건폐율이 낮고 녹지율이 높은 고층 아파트단지의 지표면온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유형과의 관계는 건물이나 도로 등 도시화지역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기후존의 지표면온도가 증가하고, 식생과 수면, 그림자 지역의 면적이 늘어날수록 지표면온도는 떨어진다. NDVI와 지표면온도 사이에도 음의 선형상관관계가 나타나지만, 계절적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채석장의 채석작업 후 부지 활용에 대한 의식 분석 (Analysis of Consciousness on Land for the Another Use After Quarrying)

  • 박재현;이준우;박종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3-15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efficiently forest resources through the survey of analysis of consciousness for the application of other use following quarrying. The application types of other use following quarrying were 366 people (49.5%) for forest recreation, 164 people (22.2%) for facility application, 117 people (15.8%) for vacation facility, and 93 people (12.6%) for tree planting types. According to the test of independence between facility utility types and gender, male preferred the leisure facility type, but female preferred the forest recreation type. The tree planting type was not related to the gender, but male preferred facility application types. Also, female preferred a static use type such as recreation and walking, while male preferred a dynamic use type such as the leisure and facility appl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test of independence between facility application and occupation types students and company employees preferred the leisure facility type, while school faculty and staff, self employees, and housewives preferred the forest recreation type. Public servants preferred tree planting and facility application types. The sojourn time was the overnight and 6-8 hours in the leisure facility type, within 4 hours in the forest recreation and tree planting types, and 6-8 hours in the facility application types. Other use plans of the quarry site following quarrying will be needed to establish quarry facility application models with consideration for visitor's preferences.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형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Planning Directions for Parks and Green Spaces in Future Industrial Complex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 이은엽;이현주;김태균;최대식;송영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8
    • /
    • 2021
  • Due to changes such as those stemming from the onse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industrial complexes will transform from being spacious structures into smaller, integrated complexes. Green parks, which are also a type of infrastructure within industrial complexes, also require planned direction suited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e planned directions of green parks in new industrial complexes were examin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industrial complex workers. Preferred functional arrangemen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green ratios, preference of compound facilities linked to parks, appropriate dimensional greening methods were all surveyed across 1,035 businesses. Results of the survey exhibited that there was high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green areas, but it was found that current greenery levels were insufficient. There was a high rate of responses indicated that dimensional greening is required in building-type industrial spaces, and preferences for rooftop greenery, stair-type greenery, and atrium greenery were also high.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cultural facilities, exhibi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parking lots in park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thways for bikes and pedestrians, rather than those for vehicles, and to connect them with the green parks. This study stopped short of exploring the directions for which green parks should aim in new industrial complexes with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more concrete plans on green park plann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new industrial complexes will be necessary.

공장입지에 따른 대도시 근교지역 농촌마을의 경관변화 특징 (Landscape changes in suburban villages resulting from plant locations)

  • 손용훈;이차희;사이토 유키히코
    • 농촌계획
    • /
    • 제20권1호
    • /
    • pp.13-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changes in Gwangjyu city and Icheon city, the suburban areas on the outskir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focusing on the causes of the urban sprawl and the resulta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gradation.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advantages for developing suburb including geographical proximity and land price', 'institutional regulation such as land-use regul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as drivers for possible introduction of external factors. The types of landscape change were divided into three, after having on-the-ground research on eleven chosen towns and interviews with head of a village: Overwhelming Change, Separated and Small-Scale Change. It was found that, in general, the quality of landscape was best for the small-scale change type, followed by separated and overwhelming change types. While the types of landscape change are correlated with the geographical proximity, its relevance with land regulation is relatively weak. The study found that imposing a land-use regulation as a means to prevent changes in suburban village landscape may not be fully effective. Also it analyzed that villages could better manage with keen interest the surrounding landscape if there is a high degree of solidarity within the village community. Therefore, the sense of community could play an important complementary role to land-use regulation which does not suffice in itself to manage suburban landscape.

도로교통소음이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 토지피복을 중심으로 (Road traffic noise and its impacts on land use and land cover of an urbanized area)

  • 김민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41-550
    • /
    • 2013
  • 인간이 원치 않는 소리로 정의되는 소음은 크게 직장소음과 환경소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장소음은 산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작업장 내에서 주로 발생하나, 환경소음은 교통, 건설현장, 심지어 이웃에 의해 발생한다. 도로교통소음은 환경소음을 배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고 도시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미국 조지아주의 풀턴 카운티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별 도로교통소음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연방 도로관리국의 소음전파모델인 교통소음모델(Traffic Noise Model)에 기반한 주 야간 소음지도를 제작하였다. 연구지역의 도로교통소음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3단계로 구성된 토지피복 유형 자료에 각 소음지도를 중첩하여 각 토지피복 유형별 소음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지역 내 많은 필지와 건물이 허용치를 초과하는 소음에 노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로교통소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주거지역의 소음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GIS와 국가인구통계자료 통합에 의한 입지분석용 정밀인구통계지도 구축 방법 (Method on Constructing Precision Population-statistical Map Integrating GIS and National Census Data for Location Analysis)

  • 이용익;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02-33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입지분석에서 이용되고 있는 인구추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의 향상을 기하고자, GIS와 국가인구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정밀한 인구통계지도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의 토지이용이 인구와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분석 도출하여, 세부 토지이용(비오톱) 유형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런 후 인구거주 밀도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인구를 동별 토지이용 유형별로 재분배하는 방법으로 정밀한 인구통구통계 지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그간 다양한 입지분석에서 이용되었던 인구추정 방법보다 정확도와 신뢰성의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수변림으로 인한 유역 토지이용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관계 완화효과 연구 (Mitigation Effect of Watershed Land Use due to Riparian Vegetation on Stream Water Quality)

  • 권현일;이종원;이상우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20-329
    • /
    • 2022
  • Urban areas in watersheds increase the impervious surface, and agricultural areas deteriorat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due to the use of fertilizers. As such, anthropogenic land use affects the type, intensity and quantity of land use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substances and nutrients discharged to nearby streams. Riparian vegetatio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entering the watershed and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land use on rivers.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point data measured twice a year in spring and autumn in 21 selected damaged tributary rivers within the Han River area, and then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etermine the area land use. In the negative impact on water quality, the mitigation effect of riparian vegetation was estimat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area and water qualit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urban area, and the area ratio of riparian veget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gricultural areas had a negative effect on water quality in all models,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urban areas. As a result of the model estim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BOD, COD, TN, and TP showed a mitigation effect due to the accumulation effect of river water quality through riparian vegetation in agricultural areas, but the effect of riparian vegetation through riparian vegetation was found in urban areas. There was no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having a fairly low distribution rate in urban areas, and in the case of the study area, there was no impact due to riparian forests due to the form of scattered and distributed settlements rather than high-density urbanized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judged to be unreasonable to generalize by analyzing the rivers where most of the agricultural areas are distributed, and a follow-up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xpanding the watershed variables in urban areas and encompassing the variables of various factors affecting water quality research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