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gged effect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18초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에 애착과 자아개념이 미치는 효과: 성차,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에 관하여 (The Effects of Attachment and Self Concept on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Differences,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 장영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71-8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 peer-, and teacher-attachment on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via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cept. There were 284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s 12 to 13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All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e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most of the variables, including attachment, self 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applied to the data revealed that there were both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attachment and self concept on career maturity. It was found that self concept played a mediating role on career maturity.

Lagged Effects of R&D Investment on Corporate Market Value: Evidence from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Chinese Stock Markets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9-76
    • /
    • 2020
  • The study examines lagged economic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on the market value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or the Shenzhen Stock Exchange in China. This study applies panel data analysis methods to address the following issues: 1) There might be an adjustment lag in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corporate market value, and 2) Unobserved firm effects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balanced panel data includes a total of 1,462 observations with 34 cross-sections of manufacturing firms listed on Chinese stock markets and with 27 time-specific quarterly periods from 2007 to 2017.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D invest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firms tends to yield favorable market value of the firm with some adjustments to time. The results show that R&D investment exhibits a strong positive impact on their market value of manufacturing firms in Chinese stock markets. Moreover, R&D investment has a positive time-lag effect on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nterestingly, the R&D invest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firms generate a relatively constant positive effect on their market value, supporting the notion that the corresponding returns of R&D investment for such firms yield lagged but added market values.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Longitudinal Changes in Late Childhood School Adjustment)

  • 최수빈;유미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1-1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YCPS)의 초1 패널 자료 중 4차년도에서 7차년도(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의 수준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학대는 학교적응에 대한 동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은 학교적응에 대한 지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대의 경우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추후 방임과 학대를 경험하는 후기 아동의 학교적응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A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90-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초 4)부터 중학교(중 3)까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어떤 발달궤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동일 시점에서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 1년 전의 과거 시점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1년 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개년도 자료를 분석했으며, 분석 대상은 1,296명이다. 분석 결과, 첫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했을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은 증가하다가, 중학교 시기에서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초기치, 1기 변화율, 2기 변화율에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기치가 높을수록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의 증가폭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가 높을수록 중학교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 감소폭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의 동시효과는 6개년도 모두, 친구 지지의 동시효과는 중 3시기를 제외한 5개년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족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4, 초 5, 초 6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친구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6, 중 2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 지지의 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서는 가족, 친구,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and Life-satisfaction)

  • 구재선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85-96
    • /
    • 2019
  •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내재적 가치(e.g. 사회적 관계, 자기수용 등)에 비해서 외재적 가치(e.g. 부유함, 사회적 인정 등)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성이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의 3차, 5차, 7차 년도 조사 자료(N = 2,259; 남자 1,140명, 여자 1,119명)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을 설명하지 못했다. 끝으로 이러한 관계는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에 대한 불만족이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게끔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대기오염과 일별 사망수의 관련성 분석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in Busan using a Time Series Analysis)

  • 서화숙;정효준;이홍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61-1068
    • /
    • 2002
  • To identify possible associations with concentrations of ambient air pollutants and daily mortality in Busa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the time period 1999-2000. Poisson regression analysis by Generalized Additive Model were conducted considering trend, season, meteorology, and day-of-the-week as confounders in a nonparametric approach. Busan had a 10% increase in mortality in persons aged 65 and older(95% Cl : 1.01-1.10) in association with IQR in $NO_2$(lagged 2 days). An increase of $NO_2$(lagged 2days) was associated with a 4% increase in respiratory mortality(Cl : 1.02-1.11) and CO(lagged 1 day) showed a 3% increase(Cl : 1.00-1.07).

어머니의 우울과 학령전기 유아의 정서 문제 간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Their Preschoolers' Emotional Problems)

  • 장영은;한효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551-564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depression and the emotional problems of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as indicated by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al reactivity. We analyzed data from 1,528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when the children were 4 years old and 5 years ol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AMOS ver. 23.0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were relatively stable between the ages of 4 to 5. There were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s from the mothers' depression to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and from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to mothers' depression. Moth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hen the children were 4 years old and the children showed more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al reactivity when they were 5 years old. Emotional problems when the children were 4 predicted greater depression among mothers 1 year later. We also examined the group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study model.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uppor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mothers' depression and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are essential for a healthy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later child outcomes.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족 내 역할 인식 및 부부친밀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일-가정양립 인식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연구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63-274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and to introduc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b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subjects were married women from the third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were conducted with Amos ver. 2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latent growth modeling is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marital intim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Second, whe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ore role recognition and marital intimacy of third year were the more work-family balance of fourth year, job satisfaction of fifth year. In both models,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can be found that there was a longitudinal effects.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성별 간 다집단 분석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 박지수;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1호
    • /
    • pp.1-27
    • /
    • 2018
  • 최근 학교폭력의 지속성과 가해와 피해의 악순환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어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 가해나 피해를 이끄는 요인으로 이전 시점의 가해와 피해경험에 주목하였으며, 가해피해자 집단에게서 살펴볼 수 있는 역동성은 상호적 인과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3차년도부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N = 1,881).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고 성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시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다음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을 각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역동성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각각 이후 시점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을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방안이 단기간에 효과를 내는 일시적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기 보다는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학교폭력의 양상을 고려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단연구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Relationships with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Longitudinal Study)

  • 권정언;우형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31-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에 노동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는 과잉자격 문제를, 직무설계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과잉자격이란, 조직구성원이 보유한 기술, 지식, 교육 수준이 자신에게 부여된 업무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 수준보다 상회하는 상태이다. 그동안 과잉자격의 부작용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는 돌파구로서 직무재창조에 초점을 두었다. 과잉자격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이 직무재창조 활동을 촉발시키고, 나아가 조직몰입을 제고하는 과정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실증하였다. 3개월 간격으로 총 3차례에 걸쳐 반복측정하여 263명의 종단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구성원의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교차지연적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 시기의 직무재창조는 다음 시기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역인과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인식된 과잉자격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잉자격을 자각하는 조직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직무재창조에 나설 수 있는 조직풍토를 조성할 것을 제언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