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querwar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한민국 명장(名匠)의 작품 성향에 관한 연구 III - 나전칠기 명장 임충휴 - (A Study of Master Craftsman Republic of Korea III - Lacquer ware masters Lim Chung Hyu -)

  • 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3-382
    • /
    • 2015
  • In this study, select the Republic of Korea mother-of-pearl lacquerware Lim chung hyu coach, I tried to find out the until the background and coach of his growth. And it was done looking for the element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rough the tendency of his work after the coach has been. Lim chung hyu coach is, unlike other mother-of-pearl lacquer craftsman, confirmed the affection and passion to his mother-of-pearl lacquerware as seen through the work to manufacture in his unique way. Through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production processes and trends of his works of Lim chung hyu coach it increas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e work of Lim chung hyu coach was studied analysis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mother-of-pearl lacquer crafts that are completed through a number of steps. Through the work trend of the traditional while it adheres to craft system in pursuit of modernization together the Republic of Korea lacquerware masters Lim chung hyu coach, has described a vision for the potential of th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o pursue him.

엑스선 컴퓨터 단층면 조사를 통한 나전연상 백골의 제작기법 연구 (Study 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Framework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 박영만;양석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4권
    • /
    • pp.75-80
    • /
    • 2020
  • 엑스선 컴퓨터 단층면의 관찰은 문화재의 내부 구조조사를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칠기 공예품의 제작 기법을 조사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나전칠기는 옻칠과 나전을 사용하여 제작한 한국 전통공예품으로써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품이다. 하지만 특수한 환경에서 구조적으로 손상되어 있지 않는 한 백골의 제작기술을 파악하기에는 어렵다. 그 동안의 나전칠기 공예품의 가치 연구는 옻칠 기법과 나전 공예기술에 관한 연구가 주류가 되고 있지만 나전칠기의 뼈대가 되는 백골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나전칠기에 대하여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을 실시하여 나전칠기 백골의 재질과 목공기술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목재는 침엽수를 사용하였고 기둥목과 쇠목(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대는 목재)의 결합은 삼방연귀짜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결구 방법은 못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창원 다호리 출토 칠기와 초본류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Wooden Lacquerware Excavated at Daho-ri, Changwon)

  • 김수철;윤보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89-92
    • /
    • 2011
  • 목제, 칠기, 초본류 등 출토 유기물은 매장환경에서 수분을 함유한 수침상태로 발굴된다. 이러한 유물은 수침상태 그대로 보관하지 않는 경우 수분이 장기간 서서히 증발되어 건조상태가 된다. 수침칠기 목질부는 부후되어 외형의 칠만 남았고, 초본류는 토양에 고착된 상태가 대부분이다. 본 처리에서는 철기시대 유물인 창원 다호리 출토 칠기와 초본류를 밀납, 레이온지를 사용하여 배접기법을 응용한 보존처리하였다. 그 결과 토양이 고착된 유기물에서 토양을 제거하고 칠과 초본류만을 보존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고려시대 가구재료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of Furniture in Goryeo)

  • 조숙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27
    • /
    • 2014
  • This paper studied the materials of the furniture which the noble men used in Goryeo, based on the furniture material category of solid wood furnitur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hardware. As for the solid wood furniture, the wood and furniture types are inferred based on the documents. The trees used for the wood furniture were zelkova, korean willow, pine, royal paulownia, maidenhair tree, korean pine, chinese juniper and elm. The furniture types were table, chair, wooden bench, small portable table, writing table, and folding screen. As to the types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most of them were hams with top, which were made of abalone shells. The features of th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ere in detail and elaborate like the pattern of the full bloomed chrysanthemum. Writing tables were also made of lacquerware as pieces of furniture. Distinctively, the mother-of-pearl furniture material was popular enough to be used even in a horse saddle. Regarding the metal feldspar used as both a practical use and decoration, there are drop handle, hinge, the front basis, and lock seen in the artifacts, which were made of cast iron, bronze, and brass. Their manufacture techniques were eojamoon, bratticing and sheet metal. Through this study of the furniture materials used in Goryeo, it seems that Goryeo furniture focused on the functions rather than on the decorations, and in turn the forms were simple and basic. The technique of mother-of-pearl, a bit elaborate one, was used in the props furniture like kitchen wares, hams, or writing talbes. Probably, the solid wood is inferred to be used in a low wooden bench, a chair, and a table based on the documents.

  • PDF

조선왕실 의궤를 통해 본 옻칠 공예품 제작 방법 및 사용 재료 연구 (Study on Analysis of manufacturing technique and Materials used for Lacquerware artifacts with focus on Joseon Dynasty Records, Uigwe)

  • 김진옥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53-60
    • /
    • 2011
  • 조선 왕실의 의궤를 기록된 옻칠 공예품에 관한 제작방법 및 사용재료를 연구하여, 칠기 유물의 보존처리 방안 수립 시 응용하고자 한다. 문헌조사는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1759)", "정조국장도감의궤(1800)"를 중심으로 하였다. 의궤에 기록된 옻칠 공예품의 경우, 옻칠은 주홍칠朱紅漆, 흑진칠黑眞漆, 석간주칠石磵朱柒로 나타난다. 왕에게 진상되는 물품에는 밑칠에 주로 콩가루를 사용하였고, 그 외에는 콩가루와 골회를 혼용하였다. 밑칠에 송연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왜주홍칠은 전칠을 칠한 후 매칠에 왜주홍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당주홍칠에는 일부 석간주와 주토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흑진칠은 전칠과 매칠을 이용하여 칠하는 것을 기본으로 일부 송연을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석간주칠에는 석간주를 기본으로 주토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명유를 이용하여 광택을 내어주었다고 사료된다. 문헌을 통해 조사된 옻칠 공예품의 제작방법과 전통재료가 옻칠 공예품의 보존처리 방안 수립 시 응용된다면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산 임당 유적 출토 칠기유물의 칠기법 연구 (Study on Apply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 이광희;한규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73
    • /
    • 2017
  • 경산 임당 유적에서 출토된 61점의 칠기유물에 대해 현미경관찰 및 FT-IR, SEM-EDX를 이용하여 당시 옻칠기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칠기유물의 하지에는 메움제로서 토분, 그을음, 목탄 등이 이용되었으며, 붉은 칠에는 산화철(석간주)이 사용되었다. 하지층은 구성방법에 따라 5가지 방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중간층과 상층은 구성방법에 따라 8가지 방법으로 구분되어, 총 17가지의 칠기법이 확인되었다. 다른 유적의 칠기법과 비교한 결과, 하지층은 동시대의 다른 유적의 칠기법과 동일한 방법이었으나, 경상 지역에서 산화철이 붉은색 안료로 주로 사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and Lacquer Wares Excavated From Sinchang-dong, Gwangju)

  • 김수철;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43-51
    • /
    • 2006
  •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다양한 목재유물과 더불어 목재표면에 옻칠이 된 칠기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칠기들은 목질부가 열화 되어 취약하며 칠층이 들떠있어 박락과 갈라짐의 발생우려가 높다. 따라서 진공 동결건조에 효과적인 PEG#4000 40%로 함침처리 하였고 동결건조의 종료온도를 0℃이하로 하였다. 동결건조 직후 목제와 칠기의 중량과 상대습도 60% 의 밀폐공간에서 방치 후 중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량변화가 없었으므로 동결건조 중 종료 온도 조절로써 건조 후 목재함유수분조절과 대기 중 습도변화에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칠도막 분석결과 밑층에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목재표면에 밑칠을 하고 칠층의 상부에 옻칠과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3~4회 칠한 것과 검은 밑칠을 하지 않고 칠층에 옻칠과 흑색 안료를 혼합하여 3~4회 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려시대 칠기에 나타난 묘금기법 연구 (A Study on Investigation of Gold Painting Technique in the Lacquerwares of Goryeo)

  • 박정혜;이용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61-67
    • /
    • 2013
  • 고려시대의 칠기는 10세기 초에서 14세기에 이르는 동안 다양하게 변화하였으며 화려한 전성기를 이루고 독창성이 돋보이는 나전칠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고려나전칠기는 나전과 대모, 금속선등을 이용한 세밀한 문양과 여기에 화려함을 더하는 묘금기법이 특징이다. 금분을 이용해 선묘를 하여 칠기를 장식하는 묘금기법은 회화적 장식적 측면에서 대단히 화려하지만 묘금에 의한 문양표현을 찾아볼 수 있는 유물은 극히 드물고 묘금기법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문헌자료도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칠기의 묘금을 대상으로 미시경적 관찰을 하여 금분의 특징과 교착제, 교착상태 등에 관해 밝히고 고대기술의 복원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금분의 입자는 불규칙한 방형과 다각형, 삼각형 모양으로 크기가 2 ㎛에서 20 ㎛까지 다양하게 보이며 금분의 입자는 끝이 말려들어가 중첩되어진 부분이 보이고 전체적으로 금분입자는 종이가 구겨진 듯한 형상과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고려시대 묘금에서 사용된 금분은 금박을 분말상태로 분쇄하여 만든 금분을 묘금에 사용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servation of the Lacquer Artifacts Excavated from Suchon-ri, Gongju, Korea

  • Song, Ji Ae;Jeong, Ah-reum;Kwon, Hyeok-nam;Han, Woo-rim;Lee, Hyun-sang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49-556
    • /
    • 2018
  • In November 2011,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No. 8 stone-lined tomb in Suchon-ri, Gongju by the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These included artifacts with lacquered mainframe and silvery metal ornament. These were recovered together with soil and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lacquere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uchon-ri site. Among our findings is that the artifacts have three layers of lacquer coating and the metal parts are primarily composed of Ag. As the artifacts were recovered with soil from the site, the soil was removed from underneath and inside the artifacts. The inside of the lacquerware was reinforced with rayon paper using 3% funori, and the metal was treated with acrylic resin after removing the acrylic resin previously used to recover the artifact, followed by cleaning. The metal was also internally reinforced with gauze. Finally, the interior reinforcement was made using PVA and resin in pulp and attached with funori to preserve the shape of the lacquerware, and the exposed rayon was finished with acrylic paint. The main advantages of this study are its review of conservation treatment strategies for lacquer artifacts whose numbers have recently increased, and the application of new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s.

Lacquer Techniq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Junghae PARK;Jaewan CHOI;Uicheon LEE;Minji KANG;Soochul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es on eight objects of wooden lacquerware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lacquer layer analysis with a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revealed that most samples were composed of 1-3 lacquer layers. Moreover, a red-colored layer was found to be red ocher and cinnabar,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lacquer layer. The detected components were mostly lacquer and partially cashew shell nut liq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