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Framework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엑스선 컴퓨터 단층면 조사를 통한 나전연상 백골의 제작기법 연구

  • Park, Youngm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Yang, Seok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박영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양석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0.09.29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X-ray computed tomography (X-ray CT), which is often appli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terior structures of cultural properties, is very useful for studying production methods used in lacquerware that would otherwise be difficult to observe with the naked ey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is an important subject in the study of traditional Korean craft. However, it can be a challenge to specify the production methods used in the framework of a lacquerware item unless the object has been structurally damaged. Studies of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have thus far focused on the techniques of lacquering and of inlaying the mother-of-pearl. Production methods for the framework of lacquerware has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This study conducted X-ray CT on a lacquerware item from the Joseon period to reveal the materials and woodworking techniques used for the framework. The study revealed that softwood was used for the framework, and the post (gidungmok) and apron (soemok) were joined using a three-way miter joint (sambang yeongwi jjaim). Other pieces were joined with nails.

엑스선 컴퓨터 단층면의 관찰은 문화재의 내부 구조조사를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칠기 공예품의 제작 기법을 조사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나전칠기는 옻칠과 나전을 사용하여 제작한 한국 전통공예품으로써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품이다. 하지만 특수한 환경에서 구조적으로 손상되어 있지 않는 한 백골의 제작기술을 파악하기에는 어렵다. 그 동안의 나전칠기 공예품의 가치 연구는 옻칠 기법과 나전 공예기술에 관한 연구가 주류가 되고 있지만 나전칠기의 뼈대가 되는 백골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나전칠기에 대하여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을 실시하여 나전칠기 백골의 재질과 목공기술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목재는 침엽수를 사용하였고 기둥목과 쇠목(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대는 목재)의 결합은 삼방연귀짜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결구 방법은 못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지현, 한국나전칠기의 역사, p152, 보존과 복원의 세계-나전칠기, 국립중앙박물관, (2019).
  2. 박정혜 등, 고려시대 칠기에 나타난 묘금기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14, p62, (2013).
  3. 유혜선, 나전칠기함 모서리 보강재료의 잔존지방산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1, p53-59, (1999).
  4. 이용희 등, 조선시대 주칠죽제연함의 수리, 박물관보존과학 2, p35, (2000).
  5. 이선주, 조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의 제작기법 고찰, 미술사연구 36, p41-4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