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worker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위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스마트 HSE 시스템 및 웨어러블 컴포넌트 연동방안 (An Interactive Method between HSE System and Wearable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n Risk Scenarios)

  • 손동구;임동선;임기창;박정호;김종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07-416
    • /
    • 2018
  • 현대사회의 빠른 발달로 인해 웨어러블 장비가 탄생했고 빠르게 성장 중에 있다. 웨어러블 장비는 신체에 착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경량, 소형 및 저전력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장비의 개요를 기술하였고, 웨어러블 장비 분야의 시장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개발된 웨어러블 컴포넌트 기술에 대한 사례 및 웨어러블 통신기술을 조사하였다. 한편 산업현장에서의 중대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으로 인한 스마트 HSE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었으며, 결합 되었을 경우 효과적으로 안전관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는 웨어러블 장비와 스마트 HSE 시스템을 접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해양 분야의 용접작업장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용접작업장에서의 위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 접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웨어러블 장비가 적용된 위험 시나리오를 통해 위험이 저감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비와 HSE 시스템 연동방안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응으로 작업자 안전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TBM 디스크커터의 마모량 측정을 위한 와전류센서의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Eddy Current Sensor for Measurement of TBM Disc Cutter Wear )

  • 박민성;주민석;김정주;정호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6호
    • /
    • pp.534-546
    • /
    • 2023
  • 디스크 커터는 과다하게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경우 회전이 불가능하거나 효율적으로 암석을 절삭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크 커터의 마모정도에 따라 교체주기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커터의 교체주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인력에 의한 정기적인 계측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력에 의한 디스크 커터의 계측은 작업자의 안전과 관련한 이슈가 있고, 부정확한 계측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에서는 디스크 커터의 마모정도를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스크 커터의 마모량 계측에는 초음파 센서, 와전류 센서, 자기 센서 등이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TBM 디스크 커터의 마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기 위한 와전류 센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와전류 센서의 거리 계측정확도를 실험실 모사시험을 통해 평가하였고, 특히 디스크 커터가 노출될 수 있는 챔버 내 여러 환경조건에서의 계측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는 17인치 디스크 커터를 활용하여 와전류 센서의 계측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강재 요소를 적용한 조립식 흙막이 벽체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Prefabricated Retaining Walls with Steel Lagging)

  • 홍종우;최재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77-1285
    • /
    • 2015
  • H-pile과 목재 토류판을 사용하는 흙막이 공법은 오랜 기간 굴착공사에서 사용되어 온 공법이지만 H-pile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아 규격화된 목재를 절단하거나 덧대기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방규정상 3회 재사용을 위한 목재 회수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목재를 회수치 않고 지중에 매몰하여 여러 차례 방송매체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의 목재 토류판을 대신하여 강재 요소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강재 흙막이 구조체는 자유 확폭과 개별 흙막이 구조체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통해 시공 편의성 및 재활용을 위한 회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해체 시 커넥터를 통한 구조체간의 연결성으로 지중인력투입없이 해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흙막이 구조체의 강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UTM장비를 사용하여 휨 강성시험, 반복 사용의 능력을 확인하기위한 피로 강도시험, 그리고, 흙막이 구조체의 회수 시 연결부 구조체의 성능을 확인하기위한 인장 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장점으로 부각된 내용이 현장에서 실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현장시험과 다양한 지반조건에 따른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 특성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시의 시공 편의성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구조체의 재사용과 함께 시공 경제성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다단굴착시 굴착배면에 흙막이 구조체가 밀착되어 설치가 가능한 점은 기존 공법에서 지적되어 온 배면지반의 뒷채움 불량이 발생할 여지가 없어 시공 및 시공 후 시설물의 안전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근로자 건강진단시 간기능 이상자의 정밀검사항목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A Baseline Study on the Choice of Optimal Screening Test Items among Worker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on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정해관;임현술;김규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4호
    • /
    • pp.747-761
    • /
    • 1994
  •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the main tools used to manage the health problems of most workers in Korea.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 found in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liver disorder. Liver disorder is also one of the most common health problems in general population and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in adult population. Regulation proposed by government (No. 207, Ministry of Labor, 1992) defines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workers with the liver dysfunction for further evaluative examination and the examination items used for diagnosis of the workers with liver dysfun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oficiency of each examination items presently defined in Regulation and propose the optimal examination items for detection of the liver disorders found by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Study subjects are 186 workers with abnormal liver function tests in screening examination of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past history of liver disorder, drinking history, height and weight was done. Physical examination by physician, routine test items defined by Regulation (SGOT, SGPT, $\gamma$-GTP, protein, albumin, total and direct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alpha$-feto protein, HBsAg and anti-HBs), anti-HCV antibody test and liver ultrasonography were done. Results are as follows; 1. Result of evaluative examination utilizing only the items defined in Regulation was; There were 75 workers with suspected live. disorder(40.3%), 63 with no liver dysfunction (33.9%), 13 with suspected hepatitis B(7.0%), 10 workers with hepatitis B(5.4%), 10 workers with hepatitis B carrier state(5.4%), 10 with alcoholic liver disorders(5.4%), 5 with fatty liver(2.7%). When alternative diagnostic criteria applying additional examination items (drinking history, body mass index, anti-HCV antibody and ultrasonography) diagnosability of liver disorder was increased. When all four items were included, final results were; 23 workers (17.8%) with hepatitis B (10 carriers, 13 suspects and 10 hepatitis B), 10 (5.4%) with hepatitis C(4 carriers, 5 suspects and 1 hepatitis C), 13(7.0%) with alcoholic liver disorder, 45(24.2%) with fatty liver (40 suspects, 5 fatty liver), 410%) with suspected liver disorders and 44 (23.7%) with normal liver. 2. Of examination items defined by Regulation, only SGOT, SGPT, $\gamma$-GTP and HBsA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normal rate and mean value, and all other laboratory findings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rinking history, body mass index and anti-HCV antibody test which are the items that authors included in this stud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Utilization of body mass index (BMI) for abnormal liver function group in diagnosis of fatty liver had high specificity (97.6%) but sensitivity (22.3%) was low. Therefore we suggest that SGOT, SGPT, $\gamma$-GTP, HBsAg, alcohol drinking history, BMI and anti-HCV Ab were useful for diagnosis of liver disorders among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PDF

흡연과 음주가 연취급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 on the health status of lead workers)

  • 이중구;김용배;리갑수;황규윤;김화성;이성수;안규동;이병국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08-718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 on the health status in lead using industries, 2,785 male workers in lead using industries (7 storage battery industries, 7 secondary smelting and related industries, and 4 primary metal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periodic health examination. Selected study variables were zinc protoporphyrin in whole blood (ZPP), SGOT and SGPT for laboratory test. Questionnaire for lead related symptoms and smoking and drinking habit was provided to all the workers and filled up by themselves and reconfirmed by physicia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smoking and drinking rate of study population were 69.8% and 73.6%, respectively. While the smoking and drinking rate of storage battery workers were 68.8% and 72.3%, those of secondary smelting industries and other industries were 66.0% & 66.4% and 74.6 & 80.3% respectively. 2. While the mean values of blood ZPP of lead exposed wor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 those of SGOT of storage battery workers were significant higher than other work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values of other variables. 3. Smoking habit did not affect on the mean value of blood ZPP of workers in special health examination group,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lood ZPP and SGOT between drinker and non-drinker. 4. Symptom prevalence of lead exposure were higher in drinking and smoking group than non-drinking and non-smoking group. 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total lead related symptoms, blood ZPP, SGOT, and SGPT as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and age, work duration, blood ZPP, pack year and amount of alcohol drinking as independent variables, work duration, pack year, amount of alcohol drinking, age contributed to total symptoms; and age, work duration, pack year contributed to blood ZPP; and age, amount of alcohol drinking, work duration contributed to SGOT; and pack year contributed to SGPT.

  • PDF

부산지역 일부 산업장근로자들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alence Rats of Diseass in Industrial Workers in Pusan)

  • 윤병재;김광혁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7-185
    • /
    • 1997
  • 1993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부산시내 324개 사업장 16,453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업종별 유병률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비는 1.9:1.0이고 평균 연령은 남자가 43$\pm$17세, 여자는 38$\pm$15세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 16,453명 중 1,932명 (11.7%)이 질병을 앓고있는 사람이며 남자가 1,521명 (14.0%), 여자가 411명 (7.3%)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은 폐결핵, 간장질환, 소음성 난청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빈혈증, 유기용제 중독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연령별 유병률은 29세 미만과 30~39세, 40~49세에서 간장질환이 높았고 50세 이상에서 순환계 질환이 높았다 (p<0.001). 업종별 유병률은 전기 건설업, 신발 고무제조업에서 순환계 질환이 가장 높았고 1차금속, 운수 정비업, 섬유 피혁, 화학 석유제조업, 기타 제조업에서 간장질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료 및 식료품 제조업과 기계제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소음성 난청이 가장 높았다. 근무 기간별 유병률은 연중독을 제외한 모든 질환에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p<0.001).

  • PDF

질산 화학사고 사례분석 및 독성피해 영향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Nitric acid chemical accident and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 이현승;신창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88-49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질산화학사고를 바탕으로 사업장, 실험실, 병원, 용기파손, 화학물질 오 주입으로 이상반응으로 인한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여러 사례들을 바탕으로 질산의 위험성과 화학사고 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안전성에 대한 사례검토를 통해서 5년간의(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질산 화학사고 사례 대상으로 각 연도별, 사고현황, 사고유형, 사고원인, 사고 장소 등의 사례를 분석하여 안전교육과 질산화학사고 발생 시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6건의 질산 화학사고가 조사되었으며, 그중 16건의 작업자 부주의사고가 발생하였고, 8건의 운송사고와 12건의 시설괸리 부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질산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CARIS를 활용한 독성영향범위를 최악에 시나리오를 산정하여, 피해영향범위를 통해서 효과적인 사고대응 범위를 측정하였고, 질산화학사고 초기대응방법과 사고예방을 위해서 안전교육 강화와 비상조치계획과 상관관계식을 바탕으로 영향범위를 예측하여, 정량화된 자료를 파악하였다. 또한 주민대피 선정이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바탕으로 영향범위의 신뢰성을 검토하고, 실제 사업장 사고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사고 시 비상상황에 사고대응 효과와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Risk Factors for COVID-19 Infec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A First Report From a Liv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Dzinamarira, Tafadzwa;Nkambule, Sphamandla Josias;Hlongwa, Mbuzeleni;Mhango, Malizgani;Iradukunda, Patrick Gad;Chitungo, Itai;Dzobo, Mathias;Mapingure, Munyaradzi Paul;Chingombe, Innocent;Mashora, Moreblessing;Madziva, Roda;Herrera, Helena;Makanda, Pelagia;Atwine, James;Mbunge, Elliot;Musuka, Godfrey;Murewanhema, Grant;Ngara, Bernar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263-268
    • /
    • 2022
  • Health care workers (HCWs) are more than ten times more likely to be infected with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2019 (COVID-19)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us demonstrating the burden of COVID-19 among HCWs. Factors that expose HCWs to a differentially high-risk of COVID-19 acquisition are important to elucidate, enable appropriate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o mitigate against high risk and reduce adverse outcomes from the infection.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summarize and critically analyze the existing evidence on SARS-CoV-2 risk factors among HCWs. With no geographical limitation, we included studies, in any country, that reported (i) the PCR laboratory diagnosis of COVID-19 as an independent variable (ii) one or more COVID-19 risk factors among HCWs with risk estimates (relative risk, odds ratio, or hazard ratio) (iii) original, quantitative study design, and published in English or Mandarian. Our initial search resulted in 470 articles overall, however, only 10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review. Out of the 10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inadequate/lack of protective personal equipment, performing tracheal intubation, and gender were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of COVID-19. Based on the random effects adjusted pooled relative risk, HCWs who reported the use of protective personal equipment were 29% (95% CI: 16% to 41%) less likely to test positive for COVID-19.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HCWs who performed tracheal intubations were 34% (95% CI: 14% to 57%) more likely to test positive for COVID-19. Interestingly, this study showed that female HCWs are at 11% higher risk (RR 1.11 95% CI 1.01-1.21) of COVID-19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article presents initial findings from a liv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refore, did not yield many studies; however, it revealed a significant insight into better understanding COVID-19 risk factors among HCWs; insights important for devising preventive strategies that protect them from this infection.

다짐품질관리를 위한 IoT 기반 DCPT 적용 평가 (Evaluation of Compaction Quality Control applied the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 based on IoT)

  • 김지선;김진영;김남규;백성하;조진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12
    • /
    • 2022
  • 토공사에서 다짐품질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평판재하시험 및 현장밀도시험 등이 실시되며, 다짐확인을 위한 추가 분석이 동반된다.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디지털 환경이 조성되면서 스마트 다짐품질관리가 가능한 DCPT(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장비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디지털 DCPT 시스템은 실시간 다짐에 대한 위치·시간정보와 작업자의 이력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IoT 기반의 DCPT 시스템은 기존의 다짐품질시험의 시간적·비용적 단점을 개선하고 현장에서 유연하게 적용가능하게 되었으며, 현장다짐 지표인 DPI(Dynamic Cone Penetration Index)의 기록과 저장이 자동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DCPT 장비를 현장 적용하여, 현장 적용 데이터인 DPI를 통해 다짐강도의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종다짐에서 초기다짐의 DPI보다 1.4배 감소하여 지표에서 10~14cm 깊이인 노상 다짐층의 다짐강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짐결과비교를 위한 평판재하시험의 지지력 계수의 경향과 동일하게 최종 다짐시 다짐강도 증가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아날로그 DCPT의 경우가 아닌 IoT DCPT장비를 사용하므로 인원 및 시간을 저감한 시험수행이 가능하였으며 측정데이터의 스마트기기 전송을 통해 다짐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능이 추가된 IoT 기반 DCPT장비를 통해 DPI로 실시간 다짐관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PI에 대한 국내 다짐 재료 및 실내시험조건에 대한 추가연구와 평판재하시험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다짐관리 및 확인 용도로 IoT 기반 DCPT장비가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가스상 물질 측정용 스마트센서 개발과 향후과제 (Development of an IoT Smart Sensor for Detecting Gaseous Materials)

  • 김욱;김영교;유연선;정기효;최원준;이완형;강성규;함승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8-88
    • /
    • 2022
  • Objectives: To develop the smart sensor to protect worker's health from chemical exposure by adopt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echnologies. Methods: To develope real-time chemical exposure monitoring system,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 technology and regulations were reviewed. We developed and produced smart sensor. A smart sensor is a system consisting of a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platfor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smart sensors, each sensor has been certified by the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Results: Chemicals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Cl2: Chlorine, HF: Hydrogen fluoride and HCN: Hydrogen cyanide)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priority logic (KOSHA Alert, acute poisoning statistics, literature review). Notifications were set according to OEL (occupational exposure limit). Sensors were selected based on OEL and the capabilities of the sensors. Communication is designed to use LTE (Long Term Evolution) and Wi-Fi at the same time for convenience. Electronic platform were applied to build this monitoring system. Conclusions: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OEL of hazardous chemicals in workplace was developed. Smart sensor can detect chemicals to complement monitoring of traditional workplace environmental monitoring such as short term and peak expos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mprove reliability, and systematically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