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abbages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5초

First Report of Root Rot Caused by Plectosphaerella cucumerina on Cabbage in China

  • Li, Pan-Liang;Chai, A-Li;Shi, Yan-Xia;Xie, Xue-Wen;Li, Bao-Ju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10-113
    • /
    • 2017
  • Severe root rot was observed in fields of cabbages (Brassica oleracea L.) in 2015 in China. Cardinal symptoms of this disease included root rot and wilting leaves. A fungus was isolated from diseased tissues consistently. Based on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ITS-5.8S rDNA and D1/D2 domain of the 28S rRNA gene, it was identified as Plectosphaerella cucumerin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cucumerina causing cabbage root rot in China and the world.

혼합파장의 LED를 광원으로 재배한 방울토마토와 적채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Effect of LED with Mixed Wavelengths on Bio-active Compounds in Cherry Tomato and Red Cabbage)

  • 강선아;양혜정;고병섭;김민정;김봉수;박선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5-509
    • /
    • 2015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특정 파장을 조합한 혼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를 재배할 때 식물의 성장과 각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인 리코펜과 안토시아닌의 함량 변화를 탐색하였다. 대조광으로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LED 혼합 파장은 적색, 녹황색, 청색 파장(630 nm:550 nm:450 nm=8:1:1)을 혼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에 조사하였다. 방울토마토에서는 LED을 조사하였을 때, 수확되는 방울토마토의 개수는 적었으나 수확된 방울토마토의 무게와 당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물질인 리코펜의 함량은 LED 조사 시 오히려 낮았다. 적채는 LED를 조사하였을 때, 형광등에 비해 적체의 무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작물의 색에 따라 성장에 요구하는 LED의 파장 및 혼합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과실의 색에 따라 LED 파장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의 저해 및 화학적 손상세포 생성에 있어서의 화학적 살균소독제의 효과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s in Reducing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and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Cabbage)

  • 최미란;오세욱;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37-1342
    • /
    • 2008
  • 이산화염소는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을 살균소독 하는데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효과적이므로 새로운 살균소독처리 방법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을 감소시키기 위해 액체형태의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를 농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살균소독을 실시했을 때 형성될 수 있는 화학적 손상세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업적 염소소독제보다 이산화염소에서 세 가지의 병원성미생물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200 ppm 이산화염소로 10분 동안 처리했을 때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에 대해 각각 1.98, 1.91, 1.92 log 감소수준을 나타내 모든 처리 구간 중에서 가장 높은 살균소독력을 나타냈다. 또한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 모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의 차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세 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상업적 염소소독제와 이산화염소는 화학적 손상세포를 형성하지 않았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업적 염소계소독제 처리방법에 비하여 이산화염소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이산화염소 응용 시에 처리시간보다 처리농도를 높이는 방법이 병원성 미생물을 저해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산화염소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는 미생물 및 오염된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한 Bt 배추의 토양미생물상 영향 비교평가 (Molecular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in Soils Cultivating Bt Chinese Cabbage)

  • 손수인;오영주;오성덕;김민경;류태훈;이기종;서석철;백형진;박종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3-2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Bt 배추의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미생물 조사에 앞서 토양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Bt 배추와 일반품종 배추 근권토양간 화학성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육 최대 성숙기의 토양미생물 군집밀도를 조사했을 때 Bt 배추 근권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 범위가 일반 배추 근권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DGGE 분석결과 일반품종 배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에 비해 Bt 배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의 변이는 없었다. 형질전환 벡터 유래 유전자부위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수평이동성을 조사했을 때 Bt 근권토양 유래 DNA에서는 벡터 유래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절임 방법에 따른 배추 조직 및 염도 변화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 이명기;양혜정;우하나;이영경;문성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84-1188
    • /
    • 2011
  • 낮은 염 농도로 절임배추를 제조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통적인 누름 방식, 감압처리 및 증기 투과 후 절임한 배추 처리구를 각각 제조하여 조직 강도 및 염도를 측정한 결과, 누름방식과 감압절임은 그 세기가 클수록 삼투현상이 상대적으로 활발해져 기계적 조직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 겉 표면의 뚫림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증기처리의 경우 100$^{\circ}C$에서 1분 투과 시 절임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15$^{\circ}C$ 저장환경에서 배추와 천일염 6% 염수를 1:1.5 비율로 혼합하여 6시간 절임 시 1.35 $kg{\cdot}f/cm^2$의 힘을 가하거나, 250 mmHg로 감압 또는 100$^{\circ}C$에서 1분간 증기 처리한 후 절임하면 절임배추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결과에 따라 염 첨가량과 절임시간을 낮춰 조절하면 저염 절임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배추김치의 제조 및 발효과정 중 Bifenthrin과 Metalaxyl 농약의 제거 효과 (Removal Effects of Bifenthrin and Metalaxyl Pesticides during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정지강;박소연;김소희;강정미;양지영;강순아;전혜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58-1264
    • /
    • 2009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의 재배 시에 주로 사용되는 농약인 Bifenthrin과 Metalaxyl을 배추에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배추김치를 제조, 발효하는 과정 중에 그 잔류량이 어떻게 제거되는지 살펴보았다. 농약처리 직후 초기 잔류량은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3.02$\pm$0.09 ppm과 6.79$\pm$0.17 ppm이었으며, 세척을 3회 실시한 후 농약의 잔류량은 초기 잔류량 대비 Bifenthrin 21.7$\pm$2.6%(2.37$\pm$0.40 ppm 잔존), Metalaxyl 16.1$\pm$4.9%(5.69$\pm$0.28 ppm 잔존)가 제거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절임의 과정을 거친 후에는 초기잔류량 대비 Bifenthrin 98.7$\pm$1.2%, Metalaxyl 60.8$\pm$0.5%의 농약이 제거되었고, 절임 후 세척 3회의 과정을 거쳤을 때에는 상당량의 농약이 제거되어 그 제거율이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99.7$\pm$1.2%(0.01$\pm$0.05 ppm 잔존), 73.4$\pm$ 3.8%(1.47$\pm$0.28 ppm 잔존)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이 잔류하고 있는 배추로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과정중의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4^{\circ}C$에서 3주간 숙성 후 농약의 제거율은 대조군 대비 Bifenthrin과 Metalaxyl에서 각각 57.8$\pm$10.7%(0.35$\pm$0.04 ppm 잔존)와 81.0$\pm$2.1%(0.48$\pm$0.06 ppm 잔존)였으며, 김치 제조 전 세척 횟수가 많아질수록 숙성 중에도 농약의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한 김치를 각각 $4^{\circ}C$$10^{\circ}C$에 저장, 숙성시키면서 온도에 따른 제거효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4^{\circ}C$에서 3주간 숙성시킨 경우에는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대조군 대비 57.8$\pm$10.7%, 81.0$\pm$2.1%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10^{\circ}C$에서는 Bifenthrin과 Metalaxyl 모두 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농약의 제거효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배추에 처리된 농약은 김치제조 및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초기 잔류량대비 최대 95.14$\pm$0.32%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양이 MRL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ymptom Variances in Mixed Infections of Six Turnip mosaic virus and One Ribgrass mosaic vims Isolates in Crucifers

  • Kim, Jeong-Soo;Cho, Jeom-Deog;Park, Hong-Soo;Kim, Kook-Hyung;Kim, Kyu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1-116
    • /
    • 2003
  • Turnip mosaic Potyvirus (TuMV) and Ribgrass mosaic Tobamovirus (RMV) are major viruses infecting crucifer crops in Korea. RMV-FG22 was isolated from oriental cabbage. TuMV isolates were TuMV-CA7 from oriental cabbage, TuMV-TU and TuMV-TU2 from turnip, TuMV-RA from rape, TuMV-ST from stock, and TuMV-R9 from radish. The six isolates of TuMV were classified by symptom expression in inbred lines of crucifers. TuMV-CA7 and TuMV-TU isolates infected mostly oriental cabbages; TuMV-ST, TuMV-TU2, and TuMV-R9 infected radishes; and TuMV-RA infected both oriental cabbages and radishes. Crops used in six combinations of mixed infections were 'Tambok' cultivar resistant to TuMV,'SSD63' susceptible inbred line of oriental cabbage, pure line of leaf mustard, and‘Daeburyungyeorum’cultivar of radish. External symptoms in 'Tambok' and radish by each of the six single infections of TuMV showed similar results by bioassay. Synergistic response of necrotic death occurred within 1 week after inoculation in all combinations mixed with TuMV and RMV-FG22 on leaf mustard. In oriental cabbage 'SSD63' , synergism of necrosis occurred in four TuMV isolates, but not in TuMV-ST and TuMV-R9. In oriental cabbage 'Tambok' , synergism was expressed only in two combinations of RMV-FG22+TuMV-CA7 and RMV-FG22+TuV-TU, but other combinations had the same symptoms produced by RM-FG22. In radish‘Daeburyungyeorum’, only mild mosaic symptoms were induced by combinations of RMV-FG22+TuMV-CA7, RMV-FG22+TuMV-TU, RMV-FG22+TuMV-RA, and RMV-FG22+TuMV-R9. Mosaic and severe mosaic were induced in combinations of RMV-FG22 +TuMV-TU2 and RMV-FG22+TuMV-ST, respectively.

녹비작물-양배추 작부체계에서 양배추 수량증대 효과 및 경영성과 분석 (The farm managem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yield increase and economic efficiency of cropping system on green manure crops - cabbage in the plastic house)

  • 박승용;황광남;조현숙;안종웅;이용환;박정화;박평식;임영택;한희석;이동철;유홍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4호
    • /
    • pp.785-79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arm management and productivity increase of cabbages growing in the plastic house based on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such as silage corn, haussolgo (Sorghum bicolar L. Moench), hairy vetch, etc. According to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 grown in summer season, the biomass amount of the silage corn was the highest; 7,630 kg per 10a, the next was haussolgo, 5,620 kg per 10a. In terms of the fertilizer ingredients, the first of forage soybean was 3.84% of nitrogen, whereas hairy vetch was 1.74% of phosphate and kalium, 4.74%. Productivity increase of cabbages was the highest in the haussolgo plot of which the yield of showed 10,090 kg per 10a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would be worth 8,053 thousand won. By growing forage crops in the winter season, the biomass amount was the highest in the mixed sowing plot with rye (50%) and hairy vetch (50%) of 3,590 kg per 10a, whereas the productivity in the mixed seeding with rye (70%) and hairy vetch (30%) was highest, 6,249 kg per 10a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would be worth 7,387 thousand won. Judging from these results, more practical on-farm research on applying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as a basal fertilizer with cabbage in the plastic house should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farm management and the farm household income at different sites.

'춘광' 배추의 준고랭지 여름철 재배 방법에 따른 생육과 저장 특성 (Effect of Cultivation Method on Growth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Kimchi Cabbage Cultivar 'Chun Gwang' Grown on Semi-highland in Summer)

  • 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21
  • 고온기 준고랭지에서 재배한 배추의 생육과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춘광' 배추를 홍천에서 재배 방법(노지 및 시설 재배)에 따른 생육 특성과 수확 후 저장 시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생육은 시설 재배한 배추가 생체중과 엽두께에서 노지 재배와 차이를 보였지만, 가식부인 결구 부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재배 방법에 따른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하기 어려웠다. 준고랭지에서 재배한 '춘광' 배추의 저장 시 생체중이나 정선 손실률, 수분함량 등에서 유의 차이를 보였다. 동일 지역에서 시설과 노지로 재배를 달리한 경우 생체중량이나 정선 손실률은 시설 재배가 변화폭이 더 커서 유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온기 배추의 수확 후 저장 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고, 수확 전 요인이 저장까지 영향을 미치는 유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농산물에 대한 생산성 위주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앞으로는 생산뿐만 아니라 저장 동안의 영향을 확인 할 필요가 있다.

배추 피클에서의 염과 당의 침투속도 및 저장 중 발생하는 관능변화에 대한 연구 (Permeation Rate of Salt and Sugar into Cabbage Pickles and Sensory Changes During Storage)

  • 김희진;백무열;김병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66-373
    • /
    • 2018
  • 저장 중 배추의 부위, 크기, 저장온도와 절임액의 농도에 따라 배추에 침투하는 염과 당의 침투속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그에 따른 물성변화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배추의 크기가 작을수록, 절임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배추로 침투하는 염과 당의 속도가 빨랐으며, 배추의 줄기보다 잎에서 비교적 빠른 침투속도를 보였다.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배추의 줄기로 침투하는 염과 당의 침투속도는 증가하였지만 잎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배추 줄기와 잎의 풍미, 맛, 식감, 전반적인 선호도 등의 모든 항목에서 $5^{\circ}C$ 저장온도에서 저장한 배추만이 시간에 따른 기호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3주차부터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기호도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절임액의 식초함량이 높을수록 줄기와 잎에서의 모든 항목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잎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초 6%에서 더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경도와 응집성은 모든 저장온도에서 1주차까지 급격히 감소한 이후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식초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식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경우 실험군보다 경도의 감소폭이 더 크고, 응집성의 감소폭이 더 작게 나타났다. pH의 경우 식초가 첨가된 실험군에서 식초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염 절임 배추에서 저장온도보다는 투입하는 염이나 당의 농도가 더 영향을 미쳤으며 첨가하는 식초함량이 조직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