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chujang powd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식 핫소스의 제조기술 개발 (Technical Development of Korean Type Hot sauce)

  • 권동진;이성;윤기도;한남수;유진영;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14-1020
    • /
    • 1996
  • 한국식 핫소스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Tabasco등 11종의 수입핫소스를 수집하여 원료조성 및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핫소스의 주원료는 chili, 식염 및 식초이며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44.73{\sim}95.66%$, 총질소는 $0.11{\sim}1.06%$. 환원당은 $0.03{\sim}3.18%$, 조섬유는 $0.42{\sim}2.51%$, 염도는 $0.87{\sim}10.44%$, pH는 $3.22{\sim}4.05%$, 적정산소는 $1.18{\sim}3.62%$, capsanthin은 $0.44{\sim}1.06%$, capsaicin은 $2.40{\sim}4.28mg%$이었다. 고추가루 및 고추장을 이용하여 20종의 한국식 핫소스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한 결과 수분은 $53.07{\sim}78.30%$, 총질소는 $0.34{\sim}0.68%$, 환원당은 $1.60{\sim}4.34%$, 조섬유는 $1.31{\sim}2.54%$, 염도는 $4.07{\sim}5.56%$, pH는 $3.37{\sim}2.54%$, 적정산도는 $1.15{\sim}3.06%$, capsanthin은 $0.67{\sim}1.36%$, capsaicin은 $0.51{\sim}1.42mg%$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입 핫소스의 이화학적 성분과 유사하였으나 매운 맛인 capsaicin이 약간 떨어지고 있었다. 제조된 20종의 한국식 핫소스 중에서 우리 입맛에 적합한 한국식 핫소스를 선발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고추가루를 이용하여 제조한 핫소스(제품번호 G), 고추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핫스(제품번호 I), 고추가루와 고추장을 혼합하여 제조한 핫소스 (제품번호 Q)등 3종의 한국식 핫소스가 선정되었으며 수입 핫소스인 Sriracha hot sauce와 관능검사를 비교한 결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경선;박재복;김선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59-765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의 화학적 품질을 분석하여 매운맛과 색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의 제품화를 위해 고추장에 응용함으로써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YW213은 ASTA 색상값이 $212.71{\pm}2.38$, YW211은 매운맛 함량이 $271.67{\pm}25.10mg/100g$으로 매우 높은 특성을 보였다. YW211과 YW213을 첨가하여 매운맛과 색상을 조절한 고춧가루로 제조한 고추장의 발효에 따른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YY는 색상이 우수하나 매운 맛 함량이 $3.98{\pm}0.24mg/100g$으로 매우 낮은 특성으로 YW211을 비율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 YY+30% YW211 는 매운맛 $52.61{\pm}8.62mg/100g$으로 매운맛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줬다. ASTA 색상값은 YY+20% YW211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색상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GR 시료는 매운맛 함량이 높고 색택 또한 우수한 시료로 고추장 제조에 적합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W213을 첨가하여 성분특성을 분석한 결과, ASTA 색상값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R+30% YW213 첨가구에서 $130.01{\pm}1.31$로 높은 색소함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운맛 함량은 GR에 YW21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YW211, YW213 첨가 고추장의 pH는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반면,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YW211, YW213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pH는 높았으며 90일 경과후의 pH는 $4.7{\sim}4.9$로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YW211, YW213 첨가 고추장 모두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90일에는 소량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숙성초기에 YY에 YW211을 첨가한 고추장이 급격히 증가하여 30일경까지 최고수준에 달하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통조리에서 고추의 활용 (Using the Red Pepper in Korean Traditonal Cuisine)

  • 한복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3-186
    • /
    • 2002
  • Red pepper have affected traditional cuisines through various ways since they were first introduced in Korea over 400 years. But we on easily determine that red pepper powder and red pepper paste were not used daily dishes until 1940 as we look into traditional cookbooks. Chinese pepper and black pepper were used for hot spices before red pepper was introduced in Korea. It is estimated that red pepper was introduced during the last of 1500s the Japanese invasion of Chosun dynasty, but it was first used to make Sunchang red pepper paste in $\boxDr$Sumunsasul(수문사설)$\boxUl$(1740), and to make Kimchi in $\boxDr$Jeungbo Sanlimkungje(증보 산림경제)$\boxUl$(1766), and it became a general spice for vegetables in the middle of the 1800s. Pepper is mostly used to make Kochujang(red pepper paste), Kimchi, Jutkal(salted flesh) and Jangaji(salited very.) etc as fermentable cuisines. The attribute of using pepper was developed fur fermentable spices, and to give spicy flavor to cuisines. The types of peppers using traditional cuisines are various such as unripened pepper, red pepper, red pepper powder, red pepper paste, and pepper leaves. Traditional dishes with vegetables mostly use red peppers. Fish dishes(soup, stew, bracing, roasting, steaming) also use red peppers. Soup '||'&'||' stew with meat item partly use red pepper but steaming, roasting dishes with meat item not use pepper. roasted pork, pork ribs, steamed chicken of spicy meat cuisines in the 1930s did not use pepper. Kochujangbokkum(고추장볶음) is one of the oldest cuisines for using red pepper paste in the 1800s. Sliced red peppers and red pepper powder are mostly used for garnishing of cuisines.

  • PDF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 조정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Koch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 배태진;최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5-254
    • /
    • 2001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의 관능성 및 기능성을 더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분질원료인 찹쌀무게에 대하여 2%. 4%, 6%, 및 8%의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후 대조구와 함께 3$0^{\circ}C$에서 12일간 숙성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 acl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숙정 중 대조고추장과 다시마고추장 모두에서 아미노질소는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미노질소의 경우 대조고추장에 비해 다시마 고추장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숙성 30일째의 아미노질소량은 각각 171.31mg%, 172.10mg%, 174.18mg%, 185.60mg 및 161.70mg%로 최고값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숙성 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arginine, aspartic acid, proline, serine, leucine, lysine 도 비교적 높은 함량을 가졌다. 고추장에서 분리 확인된 지방산은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고, 이들 중 oleic acid의 조성비율이 가장 높았고 palmitic acid가 다음으로 높았으며 stea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의 경우 숙성 후기로 갈수록 산화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 60일과 120일에 실시한 관능검사의 결과 8% 다시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고추장과 비교하여 다시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고추장과 비교하여 다시마 첨가가 고추장의 관능적 특서엥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시마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추장에 다시마를 6% 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 PDF

고추씨 함량이 고추장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Red Pepper Seed Content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chujang)

  • 이석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3-298
    • /
    • 1984
  • 고추씨와 고추피의 비율(A=0 : 10, B=1 : 9, C=2 : 8, D=4 : 6, E=5 : 5)을 달리하여 담금한 고추장의 성분과 품질은 다음과 같다. 1. 아미노질소, 환원당, ethyl alcohol함량은 B와 A고추장이 높았고 고추씨의 함량이 높은 C, D, E 고추장은 낮았다. 2. 수분. 조단백. 조섬유, 식염은 각 시험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pH와 조지방은 D와 E고추장이 높았다. 3. 산성 protease와 당화 amylase역가는 B와 A 고추장이 높았다. 4. 3개월 숙성 고추장의 맛, 향, 색은 전반적으로 A와 B의 고추장이 좋았고 D와 E고추장은 나빴다. 특히 D와 E고추장은 색이 불량하였다.

  • PDF

A Determination of the Salicylate Content of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Suggested for Allergic Patients

  • Myung, Choonok;Lee, Kiwan;Nam, Haewon;Hong, Chein-Soo;Lee-Kim, Yang-Ch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5호
    • /
    • pp.949-956
    • /
    • 1998
  • Salicylate from plant foods and histamine from animal foods have been suggested to cause various food allergic symptoms. Salicylate regarded as one of the inducing agents f3r chronic urticaria and asthma in allergic patients was studied. There is much interest about the effects of salicylate in food allergy. It it recently suggested that the intake of salicylate from foods may have contributed to chronic urticaria and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licylate content in various foods. 153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were analyzed by HPLC. Among the vegetables, chard(8.22$\mu\textrm{g}$/g), soybean sprout(5.13$\mu\textrm{g}$/g), perilla lean3.03$\mu\textrm{g}$/g), Chinese cabbage(2.25$\mu\textrm{g}$/g), carrot(2.16$\mu\textrm{g}$/g), and squash(1.33$\mu\textrm{g}$/g) con-rained higher amounts of salicylate as compared to other vegetables. Among fruits, oranges(5.13$\mu\textrm{g}$/g), grapefruits(2.90$\mu\textrm{g}$/g), and plums(1.65$\mu\textrm{g}$/g) contained the most. In animal foods, almost no salicylate was found except in chocolate milk(0.32$\mu\textrm{g}$/g). It was also found in black pepper(8.2$\mu\textrm{g}$/g), coffee(can)(5.00$\mu\textrm{g}$/g), mustard(4.16$\mu\textrm{g}$/g), curry powder(3.24$\mu\textrm{g}$/g), kochujang(2.37$\mu\textrm{g}$/g), cream powder(1.19$\mu\textrm{g}$/g), brown rice(1.04$\mu\textrm{g}$/g) and sesame oil(1.00$\mu\textrm{g}$/g). All information foun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in potentially allergic people for a prudent diet plan and can also provide proper dietary guidelines for these allergic patients. (Korean J Nutrition 31(5) 949-956, 1998)

  • PDF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 식품의 비타민 E함량 분석 (Analysis of Vitamin E in Some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 이선미;이희봉;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64-10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응 식품의 비타민 E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들의 비타민 E는 검화벙법 또는 직접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를 순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육류에선 장조림이 1.08 $\alpha-TE$가장 높았으며, 어패류는 마른 오징어가 4.69 $\alpha-TE$로 높게 분석되었다. 해조류는 조미김이 $5.70\;\alpha-TE$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제품은 분유에서 $3.17\;\alpha-TE$, 두류에선 서리태가 $1.52\;\alpha-TE$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견과류에선 해바라기씨가 $17.99\;\alpha-TE$노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조리가공식품류는 라면이 $1.96\;\alpha-TE$로 가장 높았으며, 전통가공 식품류에서는 고추장이 $3.48\;\alpha-TE$로 가장 높은 분석치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자료는 식품 내 비타민 E 함량 분석을 통한 표준화된 영양성분표의 기반확립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서울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남녀(男女) 기숙사생(寄宿舍生)의 영양섭취(營養攝取) 조사(調査) (A survey on the nutrient intake and food consumption of the students at the dormitories,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모수미;한인규;김재욱;이춘영;김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92-104
    • /
    • 1966
  • 서울대학교농과대학남녀기숙사생(大學校農科大學男女寄宿舍生) 552명(名)을 위(爲)한 영양관리향상(營養管理向上)과 영양교육(營養敎育)의 중요성(重要性)을 강조(强調)하기 위(爲)해서 위양조사(爲養調査)를 남자기숙사(男子寄宿舍)에 대(對)하여 1966년(年) 3월(月) 7일(日)부터 13일(日)까지 또 여학생기숙사(女學生寄宿舍)에 대(對)하여 동년(同年) 3월(月) 14일(日)부터 20일(日)까지 1주간(週間) 실시(實施)하였다. 상록사급식(常綠舍給食)은 한인(韓人) 25(歲男子營養勸?量)에 비교(比較)하면 Riboflavin 섭취량(攝取量)의 약간(若干)의 부족(不足)이 있는 이외(以外)는 칼로리 및 모-든 영양섭취량(營養攝取量)을 훨씬 능가(凌駕)하였다. 녹원사(鹿苑舍)의 급식(給食)은 한인(韓人) 25세여자권장량(歲女子勸?量)에 비교(比較)해서 칼로리 섭취량부족(攝取量不足)을 보였으나 생활양식(生活樣式)이 유사(類似)한 숙명여자대학교(淑明女子大學校) 기숙사생(寄宿舍生)을 대상(對象)으로 실측(實測)한 1 일평균(日平均)칼로리소비량(消費量)에 비(比)하면 150 칼로리만 부족(不足)하였다. 녹원사(鹿苑舍)는 철분(鐵分)과 Ascorbic acid를 제외(除外)한 모든 무기질(無機質)과 비타민류섭취량(類攝取量)이 약간(若干)식 부족(不足)하였다. 양기숙사(兩寄宿舍)의 P.cal%는 12.8% 내지(乃至) 12.8% 이었고, 단백가(蛋白價)는 상록사(常綠舍)에 있어서는 70, 녹원사(鹿苑舍)에 있어서는 79, NDp Cal%는 상록사(常綠舍)가 7 녹원사(鹿苑舍)가 8, Reference protein은 상록사(常綠舍) 55.8g, 녹원사(鹿苑舍)가 36.9g 임이 밝혀졌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단백질(蛋白質)은 최소한도(最小限度) 1/3은 동물원(動物源)에서 섭취(攝取)할것을 영양학적(營養學的)으로 권장(勸?)하고 있으나 이연구조사(硏究調査)에서 얻은 결과(結果)와 Reference protein 및 NDp Cal%의 권장치(勸?値)를 비교(比較)하므로서 동식물성단백질(動植物性蛋白質)을 1 : 5의 비율(比率)로 섭취(攝取)하여도 질적(質的)으로 우수(優秀)한 다종류(多種類)의 식물성단백질(植物性蛋白質)의 합리적(合理的)인 혼식(混食)으로 말미암아 만족(滿足)스러운 결과(結果)를 나타낼수가 있음을 명백(明白)히 알게되었다. 조미료소비량(調味料消費量)에 있어서는 남녀사생간(男女舍生間)에 현저(顯著)한 차(差)를 보게 되었다. 남자사생(男子舍生)은 고춧가루에 있어서는 1.5g로서 여자사생(女子舍生)의 15 배(倍)를 소비(消費)하였으며, 고추장은 13g로서 여자사생(女子舍生)의 약 21 배(倍)를 소비(消費)하였다. 소금의 섭취소(攝取消)은 남자사생(男子舍生)이 34g를 소비(消費)하였고 여자사생(女子舍生)은 23g 를 소비(消費)하였으며 남자사생(男子舍生)이 여학생(女學生)보다 매웁고 짠것을 더 즐기는것을 알게 되었다. 상록사(常綠舍)에게는 단배질(蛋白質)의 량(量)을 다소감(多少減)하고 질(質)을 높이며 지방섭취량(脂肪攝取量)을 증가(增加)시켜, 급식(給食)의 부피를 줄일 것을 권하며 Riboflavin 의 증가(增加)도 필요(必要)하다. 녹원사(鹿苑舍)는 칼로리 및 비타민 B군(群)의 섭취량증가(攝取量增加)를 위(爲)하여 더많은 곡류(穀類), 특(特)히 보리를 취(取)하여야 할것이다. 또 녹황색채소(綠黃色菜蔬)의 증가(增加)시킬 필요(必要)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