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teacher

검색결과 1,249건 처리시간 0.026초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컴퓨터 관련 지식의 형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63-174
    • /
    • 2013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found that beginning teachers who had more experiences of taking computer utilization classes at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wed more interest in computer and saw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puter usage for teaching students. Teachers chose GSP the most among computer utilization knowledge learned in pre-service teachers program, and GSP is used the most in mathematics classes. However, they answered that computer is not so much available in class due to lack of hours and the relevant resources. Lastly, beginning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mputer knowledge learned in in-service teacher program was more useful than that in pre-service. Thu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utilizing computer should be improved through diversifying teacher training contents for beginning teachers as well as for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전기 회로 꾸미기' 단원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PCK 특성 (The PCK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lasses of 'Making Electric Circuit' Unit)

  • 최경숙;원정애;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315-32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s of PCK compon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chapter of electric circuit un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teachers serving as main teachers in the 5th grad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eacher A thought that science was a class to explore and study the principles of nature phenomena and scientific knowledge by themselves In addition, teacher A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nt by using strategies of analogy. The teacher B conveyed the contents of text without any reconstruction. But teacher B understood the standards of curriculum, and didn't want to teach students over the standards. Based on the analysis, we could conclude that PCK is formed on the basis of knowledge and belief about curriculum and knowledge and belief about learners.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Scienc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 정세종;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5-427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에서 '2013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이 시행된 이후에 출판된 소학교 1학년과 초급중학교 1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에서 진행되는 과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두 지도서 모두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교육과정 관한 지식'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은 내용이 현저하게 부족하였다.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에서는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모두 '개념 및 이론'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 및 탐구'의 비중도 다른 PCK 요소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았다.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학생에게 과학 개념 및 이론을 전달하거나 탐구 수업을 진행할 때 '토론'을 활동으로 제시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 흐름을 표방하고 있었다.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은 '주제-특이적 전략' 중 '활동 순서 및 방식'을 안내하는 부분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과-특이적 전략'은 극히 일부분만 제시되었다. 또한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총론과 각론 모두에서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수업 목표'가 주를 이루었고, '수직 연계'와 '수평 연계'도 일부 제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은 우리나라의 과학과 지도서와 비교했을 때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수학 교과서 과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겪는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의 변화: 한 경력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Focused on an experienced teacher)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363-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과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 변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경력의 초등교사가 교사연구공동체의 반복적인 논의에 참여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수학의 자료와 규칙성 영역 중 평균 지도를 위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과제 변형 과정에서 현실성의 반영,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절한 인지적 수준 설정,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반복된 과제 변형을 통해, 교사는 학습 내용과 학생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과제의 개발, 과제의 복잡성 및 개방성 조정을 통한 과제의 인지적 수준 조정, 학생의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고실험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과제의 특징 등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이 향상되었음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학적 모델링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교과서 과제 변형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사교육, 수학적 모델링의 이론 및 실제를 결합한 교사교육, 교사연구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eacher Efficacy a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Park, Soon-Hy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743-754
    • /
    • 2007
  • Whether This paper argues that teacher efficacy is an affective affili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based on empirical data of a study on the nature and construct of PCK. This study was a collective case study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in the U.S. Data was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classroom observation, interviews, teachers' written reflection, students' work sample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n-depth Analysis of Explicit PCK" developed by the author.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eacher efficacy played a critical role in developing PCK by facilitating the movement from PCK to the enactment of PCK.

컴퓨터 환경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가능성 (Possibility of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in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475-484
    • /
    • 1998
  • In this paper, we give descriptions that the choices made in the Knowledge modelling or representation in Computer Evironments can modify the meaning of this knowledge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the didactical transpostion. Thus, they are likely to have effects on learning. These problems and phenomena are consequences of general constraints of computer and an algorithms built-in computers. Students may not learn the knowledge intended by teacher. Teacher is always on the alert for the changable mathematical knowledge in computer-based environments. It is an important role of teachers in new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 PDF

학습자 이해에 관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사례 분석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73-492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였다.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 및 경력교사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안)을 '학습자 이해'에 관한 지식 측면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7-45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센터(KICE-TLC)에서 2005년 이래로 수행해 온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계승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들을 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차년도에 해당하는 2008년 연구에서는 수학과 PCK에 초점을 맞춘 수입건설팅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초임교사 수업 컨설팅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교사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을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자 함이다.

  • PDF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 수학 초임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369-387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하에 3개년에 걸쳐 시행되고 있는 중장기 연구로서,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내용교수지식(PCK)에 초점을 맞춘 수업컨설팅을 실행하고,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중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수업컨설팅 방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되, 내용교수지식(PCK)을 구성하는 하위 범주별, 즉 수학과 수업목표, 수학 내용 지식, 수학과 교수 방법 및 평가 지식, 수학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이해 지식, 수학과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 등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이때, 초임 및 경력 교사의 수업관찰 및 면담 자료, 연구 참여 교사를 포함한 교과 전문가 대상의 수업컨설팅 협의회 등을 통해 초임교사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아동들의 인지를 바탕으로 한 수학 교수: 미국의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의 소개 (Teaching Mathematics Based on Children's Cognition: Introduction to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in U.S.)

  • 백재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421-434
    • /
    • 2004
  •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in US. This article introduces its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based framework of addition and subtraction work, and how the program has been disseminated. Carpenter and Fennema started CGI aiming to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focused on research knowledge of children"s thinking. Their goal was. to bring a significant change in teaching by helping teachers understand how children think mathematically. This 3-year NSF funded project grew to be 11-year long, and a number of publications have reported consistent successful learning and teaching by CGI students and teachers compared to counterparts throughout US. CGI′s success by focusing on improving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thinking offers possible opportunities for teacher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eacher education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