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problem typ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교 기하와 벡터 과목에서 풀이과정 서술의 오류 분석 (An Analysis of Errors in Describing Solving Process for High School Geometry and Vectors)

  • 황재우;부덕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63-80
    • /
    • 2017
  • By analysing the examination papers from thi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 classified the errors occurr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high school 'Geometry and Vectors' into several types. There are five main types - (A)Insufficient Content Knowledge, (B)Wrong Method, (C)Logical Invalidity, (D)Unskilled Expression and (E)Interference.. Type A and B lead to an incorrect answer, and type C and D cannot be distinguished by multiple-choice or closed answer questions. Some of these types are classified into subtypes - (B1)Incompletion, (B2)Omitted Condition, (B3)Incorrect Calculation, (C1)Non-reasoning, (C2)Insufficient Reasoning, (C3)Illogical Process, (D1)Arbitrary Symbol, (D2)Using a Character Without Explanation, (D3) Visual Dependence, (D4)Symbol Incorrectly Used, (D5)Ambiguous Expression. Based on the these types of errors, answers of each problem was analysed in detail, and proper ways to correct or prevent these errors were suggested case by case. When problems that were used in the periodical test were given again in descriptive forms, 67% of the students tried to answer, and 14% described flawlessly, despite tha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ere higher than 40% when given in multiple-choice form. 34% of the students who tried to answer have failed to have logical validity. 37% of the students who tried to answer didn't have enough skill to express. In lessons on curves of secondary degree, teachers should be aware of several issues. Students are easily confused between 'focus' and 'vertex', and between 'components of a vector' and 'coordinates of a point'. Students often use an undefined expression when mentioning a parallel translation. When using a character, students have to make sure to define it precisely, to prevent the students from making errors and to make them express in correct ways.

지구과학 문제 풀이에서 활용되는 통합 사고 유형 (Types of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in Solving Earth Science Items)

  • 권수지;신동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3호
    • /
    • pp.322-3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학습 배경을 가진 학습자가 지구과학 문제 풀이에서 활용하는 통합 사고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4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과학 학습 관련 배경을 묻는 사전 설문조사지,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상황적 통합 영역의 문항이 포함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검사지는 총 200문항으로, 10회에 걸쳐 시행되었다. 통합적 사고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은 40문항이었고 일반 문항이 160문항이었다. 학생들마다 일반 문항 정답율과 통합 문항 정답율에 있어 일관된 연관성을 드러내지 않았다. 각 연구 대상자의 통합 사고력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검사 문항 풀이 후, 유형별 정답률을 분석했고, 각 문항 풀이에 활용한 사고의 특징 파악을 위하여 연구 대상자를 면담하고 그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문제 풀이에 사용한 통합 사고 유형을 지식 연계형, 실생활 연계형, 통합 탐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과학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기하 증명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ypes of Errors Found in the Proofs for Geometric Problems - Based on Middle School Course)

  • 황재우;부덕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1호
    • /
    • pp.83-98
    • /
    • 2015
  • By analysing the examination papers for geometry, we classified the errors occured in the proofs for geometric problems into 5 main types - logical invalidity, lack of inferential ability or knowledge, ambiguity on communication, incorrect description, and misunderstanding the question - and each types were classified into 2 or 5 subtypes. Based on the types of errors, answers of each problem was analysed in detail. The errors were classified, causes were described, and teaching plans to prevent the error were suggested case by case.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the proof of geometric problems, followings are needed on school education. First, proof learning should be customized for each types of errors in school mathematics. Second, logical thinking process must be emphasized in the class of mathematics. Third, to prevent and correct the errors found in the proofs for geometric problems, further research on the types of such errors are needed.

PBL 기반 <토의> 수업 모형의 구현과 평가: 부산대학교 수업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Course: A Case Study of PBL Clas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88-96
    • /
    • 2011
  •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learning contents of PBL based program and analyze the result of evaluation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students' thought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PBL course and their satisfaction. 'Discussi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municative types, especially requesting both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eamwork among team memb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8 junior and senior students taking lectures of ${\ll}$Presentation and Debate Skills${\gg}$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effects of PBL such as (1) self-directed learning, (2) cooperative learning, (3) problem solving skills, etc. Students pointed out also as merits of PBL course, (1) knowledge acquisi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students, (2)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3) amelioration of teamwork, (4) progress of the problem solving skills.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difficulties and problems during PBL process, implications for ameliorating PBL based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in detail.

지식베이스 확장을 위한 멀티소스 비정형 문서에서의 정보 추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from Multi Source Unstructured Documents for Knowledge Base Expansion)

  • 최현승;김민태;김우주;신동욱;이용훈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1-136
    • /
    • 2018
  •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작업은 도메인 전문가가 온톨로지 스키마를 이해한 뒤, 직접 지식을 정제하는 수작업이 요구되는 만큼 비용이 많이 드는 활동이다. 이에, 도메인 전문가 없이 다양한 웹 환경으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정보 추출 관련 연구들은 웹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서 중 학습데이터와 상이한 형태의 문서에서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계 독해와 관련된 연구들은 문서에 정답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질의에 대한 답변정보를 추출하는 경우로서, 문서의 정답포함 여부를 보장할 수 없는 실제 웹의 비정형 문서로부터의 정보추출에서는 낮은 성능을 보인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베이스 확장을 위하여 웹에 존재하는 멀티소스 비정형 문서로부터 질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주어(Subject)-서술어(Predicate)"로 구분된 질의에 대하여 위키피디아,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뉴스 3개 웹 소스로부터 수집된 비정형 문서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출하며,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한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Wu and Weld(2007)의 모델을 베이스라인 모델로 선정하여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모델이 베이스라인 모델에 비해, 위키피디아,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뉴스 등 다양한 형태의 문서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강건한 모델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업 지식베이스 관리자에게 지식베이스 확장을 위한 웹에서 질의에 대한 답변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의 지침서로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추후 다양한 형태의 질의응답 시스템 및 정보추출 연구로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학생의 비례와 보상 논리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related to Proportional or Compensational Reasoning)

  • 김영준;김선자;최미화;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87-99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인지 수준 및 정보 처리 유형에 따른 비례, 보상 문제 해결 정도를 알아보고, 문제 해결 전략 및 해결 과정에서의 주요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 수준이 구체적 조작 중기 이상이면 곤란도가 낮거나 높은 비례 문제와 곤란도가 낮은 보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고, 곤란도가 높은 보상 문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실패하였다. 정보 처리 능력이 높을수록 문제 해결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비례, 보상 문제를 해결할 때는 변화 요인, building-up과 같은 직관적인 전략과 곱하기 연산과 같은 형식적인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비례, 보상 문제를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오류는 스키마 지식, 절차지식, 전략 지식에서 나타났으며, 스키마 지식의 결여로 기존에 사용했던 비례 전략을 적용하려는 Einstellung 현상이 뚜렷하였다. 특히 동일한 스키마 지식이 적용되는 문항에서 곤란도가 높아지면 스키마 지식의 오류로 인하여 문제 해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비례, 보상 논리 문제 해결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동일한 스키마 지식이 요구되는 구조와 곤란도가 다양한 문제 해결 경험의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The Role of Firm Size and IT Capabilities in Open and Closed Innovation

  • Byounggu Cho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690-716
    • /
    • 2019
  • Open innovation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both academics and practitioners. Howeve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rs disagree on how open innovation improves firm performance. The inconsistent results reported in the literature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y failed to provide an integrative view of how to make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to enhance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although the adoption value of innovation approaches varies depending on firm size and IT capabilities, their impacts have not been adequately taken into consideration. Drawing on complementarity theory, this study revisits the research problem and develops eight hypotheses. Surveys collected from 339 Korean firms were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es using the supermodularity func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 internal knowledge-oriented innovation approach has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regardless of firm size. However, an external knowledge-oriented innovation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large firms while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Results also confirme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oriented innovation approaches in large firms, whereas substitutable relationships were confirmed in SME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open innovation by identifying the role of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 approaches, firm size, and IT capabilities.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화된 수업 모형과 비구조화된 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on the Application of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struction Model for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 이향민;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2호
    • /
    • pp.1-15
    • /
    • 2007
  •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model is an instructional strategy to accomplish th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sues of the commun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instructional effect of the structured model with the unstructured model of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tructured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nstructured instruction. There did not appear to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regard to knowledge but in regard to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groups in attitude. In regard to investigating skill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regard to environmental action skills. To foster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a number of methodologies must be considered and learners must be trained to become problem-solving citizens. It was noted that the structu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unstructured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where environmental issues were not taught as an independent subject. We conclud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and taught in a manner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its go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learners. We conclud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and taught in a manner which takes into account both its internal goals and the situations within which various types of learners explore environmental issues and solutions.

  • PDF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 강영란;조정수;김진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01-316
    • /
    • 2012
  • Ball, Thames, Phelps(2008)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에게는 특별히 수학 가르침을 위한 지식(MTK)이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면서 그 하위 영역으로 학생들이 분수의 나눗셈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하는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유일하게 제시된, 문장제 만들기, 즉 분수 나눗셈 $9/10{\div}2/5$에 알맞은 문장제 문제를 만들게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답의 유형을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대표적인 유형의 답들을 선택하여 초등 6학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들에게 제공하였고, 이 답들에 대한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분수 나눗셈에 대한 문장제의 의미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의 지지도와 정치의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upport for Scientific Research and Political Orientations: The Case of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 박희제;김명심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107-137
    • /
    • 2016
  •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연구에 대한 한국인의 지지도가 어떠하며, 어떤 집단이 이러한 지지를 견인하고 있는지를 순수 기초 연구, 산업발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 일반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회적 정치적 가치 지향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포함한 연구 유형별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다른 유형의 연구들에 비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보수적일수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지향에 가까울수록 응용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지나친 응용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대두된 반면, 일반시민들은 이를 응용연구보다 기초연구와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전문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반면, 과학자의 권위와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지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