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tones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37초

저장 온도와 시간이 신선한 돈육 삼겹 부위로부터 추출한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Times o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Fresh Pork Belly)

  • 박성용;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6
    • /
    • 2006
  • 신선한 돈육 삼겹살로부터 방향족(6), 알데하이드(6), 카르복시산(5), 알코올(4), 케톤(4), 알칸(4), 알켄(1)및 아민류(1)가 동정되었다. 이중 11개 화합물(1-butanol, propane, 2-butanol, 3-hydroxy-2-butanonl, acetic acid, 3-methyl-1-butanol, 1-pentanol, phenol, 2-pentyl-furan, indole, 2-dodecanone)만이 저장기간과 저장 온도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p<0.05). 삼겹살에 있어서 $4^{\circ}C$ 저장시 hexanal과 hexadecanal과 같은 알데하이드 계통의 화합물이 주로 발생되었고 반면에 $20^{\circ}C$ 저장시에는 phenol과 indole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과 1-butanol과 2-butanol과 같은 알콜류 화합물이 주로 생성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중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phenol, indole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인 화합물들이며, 1-butanol, 2-butanol, 3-hydroxy-2-butanone, acetic acid, indole 그리고 2-dodecanone과 같은 휘발성 화합물들은 모두 $20^{\circ}C$에서 저장된 삼겹살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돈육의 삼겹 부위가 $20^{\circ}C$의 저장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이, $4^{\circ}C$의 저장에서는 알데하이드류가 주로 생성된 것처럼 저장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이 차이가 있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달라짐을 시사한다.

전통장류 유래 Bacillus sp.를 이용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 이선영;엄정선;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56-762
    • /
    • 2014
  • 전통 장류 유래 효소 활성 및 항균 활성 우수 Bacillus sp.를 스타터로 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균수는 HJ5-2를 접종한 시료가 $3.00{\times}10^9CFU/mL$로 가장 높았으며, 유산균은 스타터 첨가 콩 발효물에서 $2.50{\times}10^2{\sim}7.30{\times}10^4CFU/mL$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접종된 균주가 우점종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 활성은 RD7-7(20.82 unit/mL)과 HJ18-4(18.45 unit/mL), protease 활성은 RD7-7(647.92 unit/mL)을 접종한 콩 발효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HJ18-4(2.35%),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RD7-7(227.96 mg%) 접종 콩 발효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arginine 순으로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36.51~63.57 mg/100 g)가 모든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600.15~429.49 mg/100 g)는 control과 RD7-7 접종 콩 발효물에서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8종(esters 3종, ketones 6종, aldehydes 2종, alcohols 4종, hydrocarbons 2종, pyrazines 2종, acids 4종, 기타 4종)이 검출되었으며, RD7-7과 HJ18-4를 접종한 콩 발효물에서 23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고품질 장류용 스타터 개발을 위한 단일균 접종 콩 적용 시험으로 향후 혼합배양 스타터 개발 및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P&T법에 의한 닭고기의 방사선 유래 휘발성 조사물질 구명 (Irradiation-induced Volatile Compounds in Irradiated Chicken by P&T Method)

  • 김훈;조우진;정연정;이영미;정은정;유영재;변명우;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8-964
    • /
    • 2002
  • 방사선 조사된 닭고기에서 휘발성 조사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각 선량별(0,1,3,5,10 kGy)로 조사된 닭고기를 시료로 하여 P&T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LLCE법의 단점을 보완한 상보적인 분석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T/GC/MS법에 의해 총 119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알데히드류(7종), 케톤류(22종), 알콜류(8종), 에스테르화합물류(30종), 탄화수소류(36종), 방향족화합물류(8종) 및 기타 화합물류(8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21종의 화합물이 LLCE법과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나머지 98종은 P&T법 에 의해서만 검출됨으로서 LLCE법과 P&T법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더욱 폭넓은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P&T법에 의해 추출된 휘발성 향기 성분중 방사선 조사선량과 함량간의 회귀분석 및 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hexene, propanol 및 1,3 bis(1,1-dimethylethy)benzene 등 3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유의적인(p<0.01 또는 p<0.05) 양의 상관성 (r)0.90)을 나타내어 P&T법에 의한 닭고기의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표지물질로 선정되었다.

Iron(III)-p-toluenesulfonate로 합성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의 전하전달현상에 미치는 유기용매의 영향 (Solvent Effects on the Charge Transport Behavior in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Synthesized with Iron (III) -p-toluenesulfonate)

  • 박창모;김태영;김원중;김윤상;서광석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363-367
    • /
    • 2005
  • Iron(III)p-toluenesulfonate를 개시제로 한 3,4-ethylenedioxyaiophene(EDOT)의 중합과정시 여러 가지 유기용매를 첨가했을 때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EDOT)의 전하이동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첨가한 유기용매의 종류는 MeOH, EtOH등의 알콜류와 Acetone, MEK등의 케톤류였으며, 직류 전기전도도 측정시 280 K에서 전도도는 MeOH를 첨가한 시료가 19.5 S/cm로 가장 높았으며, MEK를 첨가한 시료는 $2.2{\times}10^{-9}$S/cm로 각기 다른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유기용매 첨가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X-ray diffraction(XRD)를 통한 PEDOT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알콜류를 첨가했을 경우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반면, 케톤류의 유기용매를 첨가했을 경우에는 무정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X-ray photoelectron spectoscopyocpy(XPS)를 이용하여 S(2p) 피크를 분석한 결과 케톤류를 첨가한 시료의 경우 다른 시료에 비해 도핑레벨이 매우 낮음을 관찰하였다. 이는 유기용매와 PEDOT의 상대이온인 p-toluenesulfonate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중합시 유기용매의 첨가에 따라 PEDOT의 도핑효율 및 구조가 변화하고 결과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추(Allium tuberosum R.)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 변화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Leek (Allium tuberosum R.))

  • 한병재;양숙영;김준형;심성례;;이성진;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13-5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부추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사되지 않은 부추와 20 kGy의 선량으로 조사된 부추를 SDE방법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한 후 정유를 GC/MS로 분석하였다. 비조사 시료와 조사시료에서 각각 56종 ,54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과 함황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부추에 함유된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은 조사되지 않은 부추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그 농도에 있어서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두 시료 모두에서 함황화합물이 다량 검출되어 주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성분들 중에서 다량의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1-propenyl trisulfide가 함황화합물의 상대적 농도에 크게 기여하고 그 외 dimethyl disulfide, 3-ethyl-1,2-dithi-1,2-ene, methyl allyl disulfide와 (E)-2-hexanal도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중 주된 화합물로 확인된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propenyl trisulfide는 조사된 후 크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E)-2-hexanal과 3-ethyl-1,2-dithi-5-ene, diallyl trisulfide 역시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dimethyl disulfide는 조사 후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앞의 화합물들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이외에도 diallyl sulfide와 allyl methyl sulfide, pyridine 등도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산 양파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Allium cepa) during Storage)

  • 이희영;정은정;전선영;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12-1717
    • /
    • 2008
  • 국내 주요 양파 생산지인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북 안동 및 경남 창녕의 3개 지역(유어, 장마, 성산)에서 수거된 양파 6종을 $0.5^{\circ}C$에 저장하면서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동정된 총 45종의 화합물에서 함황화합물류(21종)이 가장 많았고, 양적으로도 $66.9{\sim}86.9%$를 차지하였다(저장 0일경). 함량면에서는 유어(7,582.4 ng/g)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산(5,933.3 ng/g), 무안(4,043.5 ng/g), 장마(2,374.7 ng/g), 부안(2,233.3 ng/g) 및 안동( 1,516.7 ng/g) 순이었다. 저장 60일경에는 지역에 관계없이 상당량 감소하였으며, 무안(2,445.0 ng/g), 유어(2,401.7 ng/g), 성산(1,536.4 ng/g), 안동(1,306.5 ng/g), 장마(1,188.2 ng/g) 및 부안(1,183.5 ng/g) 순이었다 항산화효과가 있는 6종의 함황화합물류(2,4-,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3,5-diethyl-1,2,4-trithiolane 및 isomer)는 저장 0일경에는 유어, 성산, 무안순으로 많았으나, 저장 60일경에는 유어, 무안, 성산, 안동, 장마, 부안의 순이었다. 항암효과가 있는 함황화합물류 5종((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enyl disulfide)은 저장0일에는 유어, 성산 및 무안이 가장 높았으나, 저장 60일 경에는 무안, 유어, 성산, 부안 및 장마 순이었다.

제조 조건과 저장기간에 의한 유채유의 휘발성 화합물의 변화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 and Storage Time on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in Rapeseed Oils)

  • 임채란;홍은정;손희진;김지은;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91-302
    • /
    • 2011
  • 제조 조건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유채유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자코로 유채유의 향기패턴을 분석하였고 GC및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된 유채유는 $17^{\circ}C$ 암소에 저장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GC-MS 분석 결과 hydrocarbon류 4종, furan 및 그 유도체류 1종, ketone류 3종, acid류 1종, benzene류 3종, aldehyde류 12종이 분리 동정되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산패에 의한 화합물인 hexanal, 2-heptenal, 2,4-heptadienal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배전조건에 따른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전자코 분석 결과는 판별함수분석(DFA)을 이용하여 나타내었고 이는 DF1값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품질 변화가 많이 일어날수록 DF1값이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배전 온도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50-240^{\circ}C$에서 20분간 볶은 후 착유한 유채유의 경우 고온일수록 DF1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신선한 유채유뿐 아니라 저장 한 시료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배전 시간에 따른 유채유의 향기 변화를 알아보고자 $240^{\circ}C$에서 10-30분간 열처리 하였을 경우 배전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F1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DF1값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0일과 2일, 20일과 24일에DF1값의 변화량이 컸다.

초고압처리 시간과 pH 변화에 의한 마늘의 이취성분 저감화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pH on the Reduction of Garlic Off-flavor)

  • 임채란;홍은정;노봉수;최원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3-540
    • /
    • 2010
  • 마늘의 사용 확대와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고자 마늘의 독특한 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액의 pH와 초고압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실험하였으며, 마늘향의 변화를 GC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90분간 완충용액(pH 1.8-10.2)에 침지 시킨 뒤 500 MPa의 압력으로 56초-15분4초 초고압처리를 하였다. GC 분석 결과 19개의 함황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고 알데하이드, 알콜, 퓨란, 탄화수소, 케톤류 역시 검출되었다. 전자코 분석으로 얻은 데이터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고압처리한 시료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이취가 많이 감소하였고, 초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마늘의 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강산성 및 강알카리 조건에서도 마늘의 향은 감소하였다. pH는 마늘 향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강산의 경우 마늘향의 저감화에 더 효과적이었다. 초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sulfide 화합물의 양이 감소하였고 pH 6의 용액에 침지 후 15분 4초간 초고압처리한 시료의 경우 생마늘에 비하여 향이 약 70% 감소하였다. 전자코와 GC-MS 결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R^2$ 값이 0.9620로 나타나 두 실험결과가 유사함을 입증해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침지액의 pH와 초고압처리시간의 조절로 마늘 이취의 저감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더덕의 향기 성분 (Flavor Components of Mideoduck (Styela clava))

  • 최병대;오봉세;강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8-1655
    • /
    • 2010
  • 미더덕 육과 체액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를 위하여 본래의 향과 가열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보기 위하여 SDE법과 SPME법으로 미더덕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서는 hexanal $371.3\;{\mu}g/g$, 1-tridecanol $80.1\;{\mu}g/g$, (Z)-4,5-dimethyhex02-en-4-ol $72.1\;{\mu}g/g$ 등이 있었고, 그 외 다량의 alcohol, aldehydes 및 acids가 얻어졌다. SDE 추출법으로 얻어진 alcohol은 농도도 높았지만 미더덕 육향기성분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ME 추출법으로 얻어진 미더덕 육에는 9종의 alcohols, 1종의 acid, 1종의 aldehyde, 1종의 hydrocarbon, 1종의 ester, 1종의 amine 및 2종의 ketones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1-nonanol, 1-decanol 및 1-tridecanol이 주성분이었다.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 중 1-nonanol $31.6\;{\mu}g/g$, (E)-2-butanoic acid dibutylester $20.3\;{\mu}g/g$ 및 heptadecanoic acid $26.7\;{\mu}g/g$으로 전체 향기성분 추출물의 62.1%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SPME법으로 얻어진 향기성분이 SDE법보다 추출효율은 낮았지만 원래 향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종 배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ultivars of Pear (Pyrus pyrifolia N.))

  • 박은령;최진호;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0-185
    • /
    • 2002
  • SDE 추출법과 GC/MS 분석방법으로 재래품종인 봉리, 황실리, 영목리 배를 시료로 하여 각각 72종, 59종, 6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ethyl acetate가 주요한 ester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다량의 ethanol과 acet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황실리와 영목리에서 다량 확인된 nonanoic acid는 봉리에 소량 함유되었으며, 봉리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 butyl acetate가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으나,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단지 $4{\sim}5$개의 ester류가 전체 향기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관능기로 분류하여 볼 때, 분리 동정된 성분들 중에서 봉리는 ester와 alcohol류, 황실리에서는 alcohol류 그리고 영목리에서는 ester, acid, alcohol류가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세 가지 재래품 종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서양배와 개량품종 배와도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봉리, 황실리, 영목리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069, 4.285, 6.552mg/kg을 차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