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rnel hardnes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7초

분쇄 방법이 품종이 다른 쌀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nding Method on Flour Quality in Different Rice Cultivars)

  • 한혜민;조준현;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96-1602
    • /
    • 2012
  • 국내에서 육종된 8가지 품종의 쌀을 습식과 건식제분하여 제분 방법에 따른 쌀가루의 품질변화를 품종별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분 방법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고 일정한 품질의 가루를 생산할 수 있는 국내산 쌀 품종을 찾고자 하였다. 건식제분은 예상한 바와 같이 낟알의 경도가 높은 품종이 전분 손상도가 높았으나 습식제분에서는 Chenmaai와 같이 불린 쌀의 경도가 높더라도 전분의 손상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건식제분에 따른 손상 전분 함량의 증가는 쌀가루의 수분 흡수력을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습식제분은 낟알의 경도보다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서 수분 흡수력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루의 수분 흡수력과 반비례하여 반죽의 질척한 정도가 나타나지만 고 아밀로오스 함량의 Suweon 517과 Milyang261은 제분 방법에 관계없이 수분 흡수력이 매우 높아서 빵이나 국수 등의 제품을 생산할 때 반죽에 더 많은 양의 물을 첨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건식제분된 가루가 습식제분된 가루에 비하여 수분 흡수력이 크기 때문에 반죽 과정에서 수분 첨가량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건식제분은 품종 모두에서 최고 점도에 이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점도 붕괴가 증가하므로 습식 가루에 비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호화 후 점도 조절이 필요하다. Hanareumbyeo, Manmibyeo, J insumi, Goamibyeo 등은 건식제분과 습식제분에 따른 호화 특성의 변화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크며, Suweon517과 Milyang261은 건식제분하면 setback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건식제분된 가루를 이용한 제품의 노화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서 Chenmaai는 건식과 습식제분 모두에서 손상 전분의 함량이 낮고, 건식제분에 따른 수분 흡수율 증가가 적으며 제분에 따른 호화 점도 특성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제분에 유리한 품종이다. 반면 Seolgaeng와 Suweon517은 낟알의 경도가 부드러운 분상질일지라도 건식과 습식제분 모두에서 손상전분 함량이 높고 수분 흡수력과 호화 점도의 특성 변화가 심하여 쌀가루로 분쇄하는 제분 적성이 좋지 않았다.

초당옥수수 등숙시기에 따른 종실특성 변화와 발아율 (Kerne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Rate during . the Grain Filling in Super Sweet Corn)

  • 정태욱;김선림;차선우;김달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76-180
    • /
    • 2000
  • 초당옥수수의 등숙시기에 따른 종실의 형태적 특성 및 당, 전분, 단백질함량 등 종실 저장양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들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들을 분석하여 양질의 종지생산을 위한 적절한 종자 수확시기를 구명하여 초당옥수수의 가장 큰 문제점인 저조한 발아율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F$_1$종자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초당옥 1호를 공시재료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수분후 2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분함량은 수분 후 25일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건물중은 전분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이므로 수분후 25일경에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거의 완료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종실의 수분함량과 종실에서 배유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수분후 25일부터 급격한 감소추세이고 수분함량은 종실경도, 전분함량, 발아율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3. 종실의 총당함량은 수분후 39일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변화의 정도가 미미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유묘의 길이는 종실경도, 전분함량 및 발아율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의 수분함량, 배유비율 및 총당함량 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5. 초당옥수수의 흑색층은 종자 수확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부정확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6. 수분후 39-46일에 수확된 종실은 7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특히 수분후 39일경에 발아율이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때의 종실의 수분함량은 46.6%, 종실에서의 배유비율은 64.2%, 총당함량은 5.9%이고 전분함량은 24.2%였던 것으로 볼 때 양질의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숙종의 경우 종실의 수분함량 등을 고려하며 수분후 39일경에 종자수확을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쌀 바구미와 곰팡이가 저장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Weevil and mold on Quality of Stored Rice)

  • 김영배;한원남;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99-402
    • /
    • 1985
  • $28^{\circ}{\pm}2^{\circ}C$에서 24주 동안 저장한 쌀은 대조구및 곰팡이를 접종한 경우에는 수분항량이 각각 13.7%$\sim$14.1%로서 곰팡이의 생장은 보이지 않았다. 바구미가 존재할 경우에는 , n-hexanal 함량도 대조구및 곰팡이구에 비하여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며 변화하였다.

  • PDF

Quality of Frozen Pork from Pigs Fed Diets Containing Palm Kernel Meal as an Alternative to Corn Meal

  • An, Jeong Yeon;Yong, Hae In;Kim, So Yeon;Yoo, Han Bit;Kim, Yoo Yong;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1-19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palm kernel meal (PKM), an alternative to corn, on the quality of pork. A total of 72 crossbred pigs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were assign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s (PKM level of 0, 4, 8, or 12%). After 12 wk, one pig of median weight in each pen was selected and slaughtered to analyze meat quality. The col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pid oxidation, textur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sensory qualities of pork loin were evaluated post slaughter. When the levels of PKM in the diet increased, the $L^*$-value of pork loin decreased, whereas $a^*$-value and total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of pork loin were lower in groups treated with 8 and 12% PKM than in the control group at day 0; this difference, however, was not observed at day 3 and 7. The results of texture analysis showed that increasing the PKM ratio de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at day 7. The sensory test, however, indicat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These findings show that finisher pigs could tolerate PKM as a replacement for corn; PKM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pork, indicating that it can be utilized as fe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physical and cooking characteristics of common types of rice collected from the market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 Evan Butrus Ilia;Mahmood Fadhil Saleem;Hamed Hassanzadeh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2-616
    • /
    • 2023
  • Fifteen types of rice collected from Kurdistan region-Iraq were investiga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and cooking characteristics. The dimensions of evaluated grains correspond to 5.05-8.75 mm for length, 1.54-2.47 mm for width, and 1.37-1.95 for thickness. The equivalent diameter was in the range of 5.23-10.03 mm, and the area took 13.30-28.25 mm2. The sphericity analysis values varied from 0.32 to 0.56, the aspect ratio from 0.17 to 0.39, and the volume of the grain was measured in the range from 4.48 to 17.74 mm3, hectoliter weight values were 730-820 kg/m3, and true density from 0.6 to 0.96 g/cm3. The broken grain ratio was 1.5-18.3%, thousand kernel weight corresponded to 15.88 to 22.42 g. The water uptake ratios for 30 min of soaking were increased at 60℃ compared to 30 and 45℃. The PCA was used to study the correlation of the most effective factors. Results of PCA showed that the first (PC1) and second (PC2) components retained 63.4% and 34.8% of the total variance, which PC1 was mostly related to hectoliter, broken ratio, and moisture content characteristics while PC2 was mostly concerned with hardness and true density. For cooking properties, the PC1 and PC2 retained 88.5% and 9.3% of the total variance, respectively. PC1 was mostly related to viscosity, spring value, and hardness after cooking, while PC2 was mostly concerned with spring value, hardness before cooking, and hardness after cooking.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특성 (Major Characteristics Affecting Popping Volume of Popcorn)

  • 김선림;박승의;차선우;서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7-174
    • /
    • 1995
  •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특성을 조사하여 양질의 튀김옥수수 교잡종육성에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AS의 Stepwise/Maxr에 의하여 선정된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독립변수는 수분함량, 종실경도, 과피두께, 배/배유 비율 및 연질/경질녹말 비율이었으며 이들 변수로 산출된 튀김옥수수 교잡종들의 예측 튀김부피의 평균은 29.2$cm^3$/g이었다. 2. 수분함량에 따는 튀김부피는 본 시험의 범위에서 (12.2-14.4%)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튀김부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대 튀김부피를 나타내는 종실의 최적 수분함량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3. 종실의 경도는 55-60kg/kernel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100립종과 정의 상관을 배/배유 비율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4. 과피의 두께는 80-9$\mu3$m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종실의 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과피/종실중 비율은 종실경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배/배아 비율은 낮은 것이 좋았으며 10-11%일 때튀김부피가 가장 낮고 100립종, 종실경도, 수분함량 및 튀김부피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는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연질/경질녹말 비율은 45-50%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튀김부피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쌀보리쌀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 (Hydration Rates and Changes of Hardness during Soaking of Polished Naked Barleys)

  • 윤영진;김관;김성곤;김동연;박양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21-25
    • /
    • 1988
  • 쌀보리(무안보리, 송학, 새쌀보리 및 늘쌀보리)의 주된 입자(7mesh)를 도정수율 65%로 도정하고 $40^{\circ}C$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보리쌀은 침지 시간 7시간에 평형 수분 함량에 도달하였으며, 확산계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3{\sim}4$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부피 증가량은 수분 증가량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쌀보리쌀의 부피 증가 속도 상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약 2.2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경도 변화는 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 상수 값은 송학이 가장 컸으며 무안보리쌀이 가장 작았다.

  • PDF

찰옥수수 자식계통 식미관련 특성 및 계통 분류 (Major Characteristics Related on Eating Quality and Classification of Inbred Lines of Waxy Corn)

  • 정태욱;김선림;문현귀;손범영;김시주;김순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61-166
    • /
    • 2005
  •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 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64개 자식계통에 대해서 옥수수 낱알형태를 조사한 결과 백립중은 $11.7\~37.3g$,과 피두께 $11\~77mm$, 립장 $5.8\~9.6mm$, 립폭 $6.5\~10.0mm$, 립두께 $4.1\~6.8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은 $8.7\~15.8\%$, 지방 $2.3\~5.8\%$, 유리당 $1.1\~11.0\%$, 아밀로펙틴 $78.5\~93.8\%$의 다양한 변이분포를 보였다. 3. 아밀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초기호화온도는 $64.5\~79.1^{\circ}C$, 최고점도 $14.8\~221.8$ RVU, 최저점도 $12.2\~109.6$ RVU, 최종점도 $20.1\~212.6$ RVU였으며 강하점도는 $2.0\~l12.2$ RVU, 치반점도 $-81.3\~85.3$ RVU, 응집점도 $7.9\~105.0$ RVU로 나타났다. 4. Texture 분석을 한 결과 껌성 $91\~383$, 경도 $181\~394$, 씹힘성 $73\~370$의 범위에 속하였다. 5. 64개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단백질 등 14개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제 1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로 저식미 계통군으로 분류되며 백립중과 립장이 부의 값이어서 소립의 형태를 보였으며 제2주성분은 립장, 립폭, 백립중 등이 정의 값을 나타내어 대립의 계통군들이 포함되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여 식미가 양호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6.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한 결과 8개 자식계통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catter diagram에서 제1주성분이 작아지고 제2주성분이 커지는 좌측 상단부에 분포한 VII, VIII군에 속한 계통들이 주로 식미가 높으며 조숙종보다는 중, 만숙종들이 대부분 이였다.

도복된 쌀의 텍스처, 호화 및 열적 특성 (Texture, Pasting and Thermal Properties of Lodged Rice)

  • 황태정;이원종;신진철;김영준;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2-297
    • /
    • 2010
  • 도복 현미와 백미 곡립의 경도는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도복 현미와 백미의 DSC 열적 성질($T_o$, $T_p$, $T_c$, ${\Delta}H$)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현미 백미 곡립의 경도와 DSC 열적 성질, 특히 ${\Delta}H$$T_p$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복 현미와 백미의 RVA 호화 특성(최대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breakdown, consistency)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와 백미의 경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만 setback의 경우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도복 현미밥과 백미밥의 경도, 응집성, 검성, 씹음성, 부착성, 탄성은 도복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도복 현미밥과 백미밥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다만 응집성과 부착성은 백미가 현미보다 높았다.

건식 보리 제분공정에 관한 연구 (Dry Milling Process of Barley Kernels)

  • 목철균;이상효;이현유;남영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15-123
    • /
    • 1985
  • 보리의 건식제분공정을 확립키 위하여 수분함량 별 보리의 제분특성을 Brabender Grain Hardness Teste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말의 입자크기 별 적정 GHT간극은 -10+12mesh는 $1/0{\sim}1/10$, -12+18mesh는 $0/5{\sim}0/15$, -18mesh는 0/-15이었다. 수분함량에 따른 파쇄성은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곡립경도는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제분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GHT간극이 작을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큰값을 보였고 수분함량 14.04%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건조 소요에너지를 감안할 때 보리의 최적 건식제분조건은 수분함량 12.80%에서 GHT간극 0/-5일 때이었고 이때 1,000kg의 -18mesh 입자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는 92.41kwh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