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gamma function

검색결과 828건 처리시간 0.038초

공기 변화량 분포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버터타입 압축기 시스템 (Efficient Inverter Type Compressor System using the Distribution of the Air Flow Rate)

  • 심재용;김용철;노영빈;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396-2402
    • /
    • 2015
  • 공기압축기는 공장 및 설비 가동에 사용되는 필수 장비로써 미국 산업용 전기의 약 30%를 소비하고 있으며, 소비전력 절감을 위해 고급화된 기술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압축공기 변화량의 진폭변동이 작을 경우 시스템 안정성이 증가하며, 소비전력을 절감시켜 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통계적 분석에서는 데이터의 분포를 정규분포, 로그정규분포, 감마분포 등을 이용하여 나타내지만, 압축공기 변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처럼 긴 꼬리를 가지는 경우, 한 가지의 분포를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압축공기의 변화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눈 혼합분포함수를 적용하여 평균전력 절감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압축공기 변화량이 충분히 큰 수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가우시안 분포보다는 일반 파레토 분포가 더 정확한 퀀타일 값을 추정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가토충양돌기세포(家兎蟲樣突起細胞)의 특이항원(特異抗原) 및 Mitogen에 대(對)한 반응(反應) (Response of Rabbit Appendix Cells to Specific Antigen and Mitogen)

  • 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1975
  • Despite a number of recent studies on appendix its function appears to remain unknown.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in order to extend and confirm the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role of appendix in immune response. An early hemagglutinin response of mercaptoethanol sensitive antibody(IgM antibody) in rabbit injected intravenously(i.v.) with 200mcg of bovine gamma globulin(BGG) was abolished by lethal whole body irradiation(900 r), but preserved in animals whose appendix and bone marrow were shielded during irradiation. Late formation of mercaptoethanol resistant antibody(IgG antibody) and the development of memory in bone marrow shielded animals were not affected by irradiation of the appendix. Formation of either IgM or IgG antibody to sheep red blood cells(SRBC) injected i.v. as determined by direct plaque forming cell(DPFC) technique in spleen were effectively abolished by appendectomy, thymectomy, or both followed by irradiation. When bone marrow was shielded in combination with autologous appendix reconstitution, DPFC response was about 5 times greater than the sum of two. Lysed appendix cells failed to restore the response. Lethally irradiated rabbits restored with combination of autologous appendix and thymus cells showed DPFC responses which were essentially normal. Three pools of appendix were obtained by manual separation technique and were stimulated with soluble concanavalin A(Con A), phytohemagglutinin-P(PHA) and pokeweed mitogen(PWM). Rabbit appendix cells responded to Con A, PHA and PWM. Cells of thymus dependent area(TDA) of the appendix were relatively enriched in their response to T cell mitogens compared to dome and follicle cells. The PHA/Con A responsive ratio of appenix TDA subpopulation was high, indicating that Con A responsive cells have a wider distribution among appendix. This finding showed that interfollicular area of the appendix is thymus-dependent. The present studies confirmed other evidence that the rabbit appendix cells itself are unable to form antibody and T lymphocytes in appendix TDA may be heterogenous, and that the appendix cells are synergistic with either bone marrow or thymus cells in the early hemagglutinin on splenic antibody response to BGG or SRBC.

  • PDF

Function identification of bovine Nramp1 promoter and intron 1

  • Hao, Linlin;Zhang, Libo;Li, Mingtang;Nan, Wang;Liu, Songcai;Zhong, Jife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227-233
    • /
    • 2011
  • The Nramp1/Slc11a1 locus encodes a proton-coupled divalent cation transporter, expressed in late endosomes/lysosomes of macrophages, that constitutes a component of the innate immune response to combat intracellular pathogens and it was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inherent immunity. The previously identified Z-DNA forming polymorphic repeat(GT)n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human Nramp1 gene does act as a functional polymorphism influencing gene expression. Research has shown that INF-${\gamma}$, TNF-${\alpha}$, IL-$1{\beta}$ and bacteria LPS increase the level of Nramp1 expression.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for Nramp1 gene regulation is unclear. In this research, bovine Nramp1 5'-flanking region (-1748~+769) was cloned and analyzed by bioinformatics. Then to find the core promoter and the cis-acting elements, deletion analysis of promoter was performed using a set of luciferase reporter gene constructs containing successive deletions of the bovine Nramp1 5'-flanking regions. Promoter activity analysis by the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showed that the core promoter of Nramp1 was located at +58~-89 bp. Some positive regulatory elements are located at -89~-205 bp and -278~-1495 bp. And the repressor elements were in region -205~-278 bp, intron1 and -1495~-1748 bp. LPS-responsive regions were located at -1495~-1748 bp and -278~-205 bp.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initial effort to explore the molecular mechanism of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bovine Nramp1 gene and should facilitate further studies to decode the complex regulatory process and for molecular breeding for disease resistance in bovines.

Effects of topical application of Phospholipid derivatives on the secretion of sebum on the skin of the fuzzy rats

  • Y. A. Hwang;Park, W. K.;Park, C. Y.;Kim, J. W.;Park, C. 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578-589
    • /
    • 2003
  • The fuzzy rat that expresses hypersecretion of sebum and hyperplastic sebaceous glands is a genetic mutant for the study of many pharmacological aspects especially human acne. Through this model, we examined the effects of several phospholipids on the secretion of sebum after topical application. The phospholipid derivatives were phosphatidylcholine (PC), 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HPC), phosphati dylserine (PS) and hydrogenated phosphatidylserine(HPS). All agents were dissolved into the vehicle (1, 3-Butanediol, ethanol and water) at 0.5% weight volume and applied on the dorsal area of the fuzzy rat. To observe histological changes, the skin biopsie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and the size and morphology of sebaceous gland was observed under microscope. Topical treatment with PC and/or HPC showed a marked decrease in sebum excretion. Especially hydrogenated PC (HPC) appeared to have more predominant sebosuppressive function than any other treatment. The other agents such as PS and HPS showed a marginal effect on sebum secretion. With the sebosuppressive activity, HPC and PC seem to have a good potential application on acne treatment. In order to obtain more insights into possible mechanisms behind the above observations, effects of each phospholipid on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genes were investigated. Recent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PPAR subtypes appear to modulate the accumulation of cytoplasmic fat droplets that characterizes the sebocyte differentiation(1). It was also previously suggested that PPAR${\gamma}$ antagonist would seem possible to interfere sebum production without side effects (2).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verse effects of the tested phospholipids on the expression of several PPAR genes based on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rom the topically treated skin of fuzzy rats. The results and possible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R&D 및 불완전경쟁과 경제성장 (R&D Activities, Imperfect Competition and Economic Growth)

  • 김병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72
    • /
    • 2007
  • 아이디어는 소멸하지 않으며 지식생산과정에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적측면만을 고려하는 단순한 내생적 성장모형에서는 지속적 경제성장이 달성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지식자본의 비전유성을 고려하여 이를 공적자본으로 간주하게 되면 지속적 경제성장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우리 경제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가 지식의 공적자본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뒷받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품혁신 생산함수에 대한 모든 함수형태에서 지식자본이 사적재화라는 귀무가설을 모두 기각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리 경제는 제품혁신을 통해 지속적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PDF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청국장의 항비만 및 항염증 효과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Cheonggukjang in C57Bl/6 mice with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 김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57-13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의 항비만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고자 C57BL/6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를 13주감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한 후에 고지방 식이에 청국장을 10% 첨가하여 항비만과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이 유도된 mice (HFD)에 고지방식이와 함께 청국장을 첨가하여 섭취한 그룹(CGJ)의 체중 증가율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하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상식이군보다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TG, TC, glucose, insulin, AST와 ALT 분비는 감소하였고 adiponectin의 수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H&E와 Oil red O staining을 통해 13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통해 유도된 지방 간의 심각정도가 청국장의 섭취로 인하여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p<0.05). 간세포는 대식세포, T세포와 같은 면역시스템의 세포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비만으로 유도된 간 조직의 염증반응에 청국장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CGJ군은 HFD군에 비하여 T cell의 침윤과 대식세포의 축적, 호중구의 유입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으로 침윤된 면역세포의 증가가 간 조직 내 염증반응을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염증성 cytokine의 수준을 조사한 결과 간과 지방 조직에서 염증성 cytokine인 MCP-1과 $TNF-{\alpha}$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PPAR-{\gamma}$, SREBP-1와 $CEBP/{\alpha}$의 mRNA 발현 역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청국장이 면역 시스템과 지방생성 전사 인자들의 발현에 관여함으로써 adipogenesis를 조절함과 동시에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직무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Workers in the Private Study of the Job Function)

  • 강천구;오기백;박훈희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3-12
    • /
    • 2011
  •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직무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1년간 조사 관리된 5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서별, 선량영역구간별, 근무기간별, 직무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의 부서별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4.57 mSv로 가장 높았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2.09 mSv, 마취통증의학과 1.42 mSv, 영상의학과 1.10 mSv, 구강악안면 방사선과 0.59 mSv, 방사선종양학과 0.50 mS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량영역별 분포는 핵의학과, 심장혈관중재술실에서 5.01~19.05 mSv의 높은 선량영역분포를 보였으며, 부서별 방사선사의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7.14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이고 있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1.46 mSv로 높았고, 영상의학과 0.97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0.66 mSv, 방사선종양학과 0.54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17.47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Gamma camera 영상실 7.24 mSv, PET/CT 영상실 업무가 7.60 mSv로 높게 나타났고, 인터벤션 2.04 mSv, 심혈관중재술실 1.46 mSv, 일반촬영 1.21 mSv, Primart 치료실 0.90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일반촬영 0.66 mSv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별, 선량영역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는 10~14년 종사자가 1.01~3.00 mSv로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방사선종양학과는 모든 근무기간에 따라 0.00~1.00 mSv 의 낮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심혈관중재술실은 10~14년, 15~19년 근무에 따라 각각 1.01~3.00 mSv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하였으며, 영상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1.01~8.00 mSv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고, 핵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3.01~19.05 mSv 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10~14년, 15~19년 종사자에서도 각각 3.01~15.00 mSv의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인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의료기관 핵의학 종사자의 직무 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of Medical Facility Nuclear Workers by Job)

  • 강천구;오기백;박훈희;오신현;박민수;김정열;이진규;나수경;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9-16
    • /
    • 2010
  •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직무 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 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3년 간 조사 관리된 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종 별, 영상실 별, 연령 별, 선량구간 별, 직무 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3년 간 영상실 별 연간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영상실이 11.06~12.62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고,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로 높았으며, 직종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임상병리사가 8.92 mSv로 가장 높았고, 방사선사 7.50 mSv, 간호사 2.61 mSv, 연구원 0.69 mSv, 접수 0.48 mSv, 의사 0.35 mSv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업무가 12.09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8.92 mSv, 감마카메라 영상업무 4.92 mSv, 치료 및 안전관리 2.98 mSv, 간호사 업무 2.96 mSv, 관리 업무 1.72 mSv, 영상분석 업무 0.92 mSv, 판독업무 0.54 mSv, 접수업무 0.51 mSv, 연구업무 0.29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선량구간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연구대상자의 15명(37.5%)이 1 mSv이하의 선량분포와 5명(12.5%)이 1.01~5.0 mSv이하의 선량분포를 가지고 있었고, 5.01~10.0mSv에서 14명(35.0%), 10.01~20.0 mSv에서 6명(15.0%)의 분포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는 25~34세 종사자가 8.69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근무기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 5~9년 종사자가 9.5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나타냈다. 고용형태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정규직 임상병리사 8.92 mSv, 방사선사 7.82 mSv, 계약직 방사선사 7.55 mSv, 인턴직 방사선사 5.62 mSv, 계약직 간호사 2.61 mSv, 정규직 연구원 0.69 mSv, 접수 0.55 mSv, 의사 0.35mSv 순으로 피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Synthetic Cannabinoid-Induced Immunosuppression Augments Cerebellar Dysfunction in Tetanus-Toxin Treated Mice

  • Yun, Jaesuk;Gu, Sun Mi;Lee, Tac-hyung;Song, Yun Jeong;Seong, Seonhwa;Kim, Young-Hoon;Cha, Hye Jin;Han, Kyoung Moon;Shin, Jisoon;Oh, Hokyung;Jung, Kikyung;Ahn, Chiyoung;Park, Hye-Kyung;Kim, Hyung 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3호
    • /
    • pp.266-271
    • /
    • 2017
  • Synthetic cannabinoids are one of most abused new psychoactive substances. The recreational use of abused drug has aroused serious concerns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se drugs on infection. However, the effects of synthetic cannabinoid on resistance to tetanus toxin are not fully understood yet.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termine if the administration of synthetic cannabinoids increase the susceptibility to tetanus toxin-induced motor behavioral deficit and functional changes in cerebellar neurons in mice. Furthermore, we measured T lymphocytes marker levels, such as CD8 and CD4 which against tetanus toxin. JWH-210 administration decreased expression levels of T cell activators including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 $3{\varepsilon}$, $CD3{\gamma}$, CD74p31, and CD74p41.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JWH-210 induced motor impairment and decrement of vesicle-associated membrane proteins 2 levels in the cerebellum of mice treated with tetanus toxin. Furthermore, cerebellar glutamatergic neuronal homeostasis was hampered by JWH-210 administration, as evidenced by increased glutamate concentration levels in the cerebell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JWH-210 may increase the vulnerability to tetanus toxin via the regulation of immune function.

한국원자력연구원 파이로 안전조치 기술개발 현황 (Status of Development of Pyroprocessing Safeguards at KAERI)

  • 박세환;안성규;장홍래;한보영;김봉영;김동선;김호동;이채훈;오종명;서희;신희성;원병희;구정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1-197
    • /
    • 2017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IAEA에서 권고하고 있는 안전조치기반설계(SBD)에 입각하여 파이로 안전조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파이로 안전조치접근방안 개발을 위한 IAEA 회원국지원프로그램(MSSP)을 수행하였다. IAEA 회원국 지원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준파이로시설(REPF) 개념을 설계하고, 이 시설에 대한 안전조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근에 기준파이로시설은 용량이 증대된 REPF+로 업데이트 되고 있다. 핵물질계량관리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하여 전산코드 PYMUS를 개발하였으며, PYMUS는 전용탐지획률 통계평가 방안을 포함하여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파이로 입력물질 계량을 위한 비파괴분석장비로 ASNC가 개발되고 있으며, 파이로 출력물질인 U/TRU 잉곳을 계량하기위한 비파괴분석장비로 HIPAI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컴프톤 억제 감마선분광기술, LIBS 기술, 균질화 공정의 샘플링 오차에 대한 평가도 진행 중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국내에서 선진핵주기기술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