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ior high school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7초

현대교육과 학교도서관

  • 김두홍
    • 도서관문화
    • /
    • 제1권5호
    • /
    • pp.25-26
    • /
    • 1960
  • 원제목이 ‘중학교도서관은 학습조사의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다’ (The junior-high-school library can develop investigative skills)라고 되어 있는 이 글은, The Clearing House지에 게재되었던 것을 번역한 것이다. 저자 Fredrick R. Cyphert 씨는 미국 California주 Torrance통합교육구의 교과과정 자문위원이다. 학교도서관과 학습활동이 어떻게 연결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이제 우리의 중요 관심사로 되어있거니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많은 시준를 던져주고있다.

  • PDF

초·중·고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 분석 (A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wareness)

  • 김귀식;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05-11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차를 분석하는 것이다. 과연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성차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언제부터 성차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I 광역시 초등학생 198명(여학생 98명, 남학생 100명), 중학생 265명(여학생 166명, 남학생 99명), 고등학생 114명(여학생 58명, 남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의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성차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학령이 높아질수록 확고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든 단계에서 여학생은 아직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성이 그리 높지 않고, 차별 금지에 대한 우려가 남학생에 비해 크며, 예술 등의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인간 영역에의 진입 허용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학령과 성별의 상호 작용 효과는 안정성 및 신뢰성, 그리고 허용과 한계 범주에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공지능 교육 활동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성차가 생기지 않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양성 평등적으로 접근하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녹색건축물인증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학교시설 용도구분 개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school use classification-)

  • 이재옥;맹준호;이상민;이승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1권2호
    • /
    • pp.28-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Schoo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comparing items of domestic system with those of foreign system. Especially, we focused on school use classification. Use classific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based on Building Codes and reflect the nature of building use and size. School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reschool, school(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ect. Also they must be set up assessment method reflecting the nature of school use and size.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ing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section in the revised Junior-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 김종혜;김경훈;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9-51
    • /
    • 2008
  • 2007년 개정된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은 현 7차 컴퓨터 교육과정과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2007년 개정된 정보 교과 교육과정은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에서 벗어나 컴퓨터 과학의 원리와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에는 7차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역의 성취기준 및 경가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정된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 PDF

여중생의 성태도, 성역할 정체성 및 성허용성 관계 (Relationship of Sexual Attitude, Sexual Identity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Junior High School Girls)

  • 김경희;김수강;전미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3-360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sexual identity, sexual permissiveness in girls in junior high schoo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87 female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s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instruments were the Sexual Attitude Scale by Kim (1997), the Sexual Identity Scale by Jung (1990), and the Sexual Permissiveness Scale developed by Reiss (1964).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r=.440, p-0.000). Sexual ident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r=.180, p=.036; r=.222, p=.014) with both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but maleness was the only positive correlation (r=.258, p=.014) with sexual permissiveness, no sexual specialization was the only characteristic that had a positive correlation (r=.188, p=.046) with sexual attitud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ssessment of these factors and treatment fitted to individual needs are important for correct sexual culture. There should be repeated research on various population groups. Moreo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rry out factor-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on several variables related to sex through multilateral literature reviews.

  • PDF

대구.경북지역 남녀 중학생의 체격지수 및 생체 전기저항 측정법에 의한 비만 판정 (Indirect Assessment of Obesity by Physical Indices a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on Junior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 장현숙;차진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urban and rural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and bioelectrical impedance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boys were respectively 159.61cm 50.56kg and those of girls were respectively 155.88cm, 48.12kg. The percentage of obesity was respectively 6.20%, 10.22%, 5.47%, 17.15%, 14.60% for boys and 4.38%. 9.69%, 3.13%, 3.75%, 7.19% for girls by BMI, RI. OI, % body fat I, % body fat II. The rates of obesity were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so nutritional education on obesity for boys is especially necessary. 21.09% of boys and 7.04% of girls in urban and 7.09% of boys and 7.48% of girls in rural were obes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C(triceps skinfold thickness + calf skinfold thickness) and BMI, RI, OI, % body fat I and % body fat II were 0.66, 0.67, 0.67, 0.77, 0.70.

  • PDF

남녀 중학생의 겨울철 교실 내 한서감과 기후적응성 (Thermal Sensation in Winter Classroom and Cold Climate Adaptabil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조아름;심현섭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44-751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thermal sensation and the amount of clothing wor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winter classroom the relation with their climate adaptability. Total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467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characteristics, self awareness of body shape, climate adaptability and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in winter classroo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body type based on BMI was normal($20.1kg/m^2$ ). Females perceived their body type as thinner than males. They wore more (8.67 garment items compared to 8.14 for males). Only about 25% of students voted the thermal sensation to neutral(47% cool~very cold, 28% warm~very hot). Female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old, perceived less healthy, and wore more garments in the cold. Students felt colder in winter classroom when their cold adaptability was lower and they actively adjusted thermal insulation against the cold. It is recommended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the proper indoor temperature and for the wear behavior in classroom in the perspectives of increasing the learning efficiency and improving the students' climate adaptability.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Career Cognition, Key Competency, Vocation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 이명훈;이상민;테라다 모리키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8-8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이며, 일반대학 1개교(4개 학과)와 전문대학 1개교(2개 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373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368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로서 취직을 가장 희망하고 있었으며, 진로를 결정한 시기는 고등학교 때가 가장 많았다. 많은 대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지 않았으며, 대학 전공과정이 졸업 후 진로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많은 대학생들이 진로에 관하여 부모와 대화를 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스스로의 직업기초능력을 약간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 및 규칙 준수'에 대한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반대학 학생들이 전문대학 학생들보다 직업기초능력이 우수하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직업가치는 높았으며, '직업적 안정'에 대한 직업가치가 가장 높았고, '업무상 자유 및 도전'에 대한 직업가치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전문대학 학생이 일반대학 학생보다 '직업적 안정'과 '업무상 자유 및 도전'에 대한 직업가치가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적 안정'에 대한 직업가치가 높았다.

학교기반 또래지도자 중심의 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 신성례;오복자;윤혜경;신선화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49-65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Students (n=174) in two boys'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Korea participated with 85 being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89 for the control group. Five session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50 minute lecture to the control group. Knowledge, attitude, nonsmoking intention, and nonsmoking efficacy were measured for the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t two weeks before the program and one month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ith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overall knowledge, negative attitude toward smoking, and higher non-smoking intention and efficacy. After receiving the school 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scores for attitude toward smoking and nonsmoking efficac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needs longitudinal evaluation, but from this study, there is an indication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effectively change students' attitude toward smoking and promote nonsmoking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