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do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에 서식하는 연산호 일종,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 패턴 (Mortality and Growth of the Soft Coral, Dendronephthya gigantea in Jejudo Island, Korea)

  • 최용우;김정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42-347
    • /
    • 2008
  •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률에 관한 연구를 제주도 문섬에서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진행하였다. 수심 15 m에 서식하는 큰수지맨드라미 48개체를 형광 플래깅 테이프로 표시했으며, 이들을 1년 6개월 동안 약2개월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2개월 단위의 평균 사망률은 50.4%로 나타났으며, 여름 태풍 발생시점인 2003년 8-10월에는 84.6%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개체크기에 따른 사망률 양상에서는 등급 I(${\leq}$10 cm) 개체들의 사망률이 등급 II(10 cm-20 cm)와 등급 III(>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계절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가을-겨울시기의 길이 성장률이 다른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 길이성장률은 2개월 동안 3 cm씩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2003년 8-10월에는 6.4 cm로 최대치를 보였다. 한편 직경의 성장은 2개월 동안 평균 0.3 cm가 증가하였으며, 2004년 4-6월에 1.4 cm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제주도의 큰수지맨드라미 개체군은 매년 여름 태풍에 큰 영향을 받아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이후 어린개체들의 높은 가입률과 빠른 성장을 통하여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New Records of Three Hydroids (Cnidaria: Hydrozoa) in Korea

  • Park, J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79-183
    • /
    • 2008
  • Some hydroid specimens were collected by SCUBA diving from 10-25 m deep at Uljin (Nagok) and Jejudo Island (Munseom, Beomseom, Supseom). Among the identified species, three species Eudendrium racemosum (Gmelin, 1791), Sertularella diaphana(Allman, 1886) and Schizotricha divergens Naumov, 1960 are new to the Korean fauna.

김녕해수욕장의 공간배치 및 관리현황 조사 연구 (A Research on Management and Layout of Gimnyeong Beach, Jejudo)

  • 변경화;이정림;조원석;김규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9-68
    • /
    • 2013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uture plan and research management of a beach and the relation between spatial structure of a village and layout of the beach focusing on Gimnyeong beach among the 12 general beaches in Jejudo.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Gimnyeong beach had the relation to primary industries of residents in the village in times past and was the space for everyday lives of residents. However, at present it has the relation to tertiary industries and is more important in community activities. Second, the entry part and the sandy beach of Gimnyeong beach were crucial in location and function in times past but total size of the beach has expanded for campground nowa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location of entry part to center part of the beach. In addition, convenient and safe facilities are need to be built more to corresponding to expanding area of the beach. Finally, in order to maintain clean sea, residents in the Gimnyeong have agreed to not make sea farms in the vicinity of Gimnyeong Beach which pollute the sea. Their roles have influenced on positive effect to community of the village, management of the beach, and maintenance of clean sea.

제주도 한라산 노루에 관한 시스템적 접근 (A systemic approach for Roe Deer in Jesudo)

  • 김도훈;홍영교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7권2호
    • /
    • pp.191-213
    • /
    • 2006
  • Increasing of the number of Roe Deer in Jesudo is regarded as an direct cause of the damages of Roe Deer - i.e. damages of crops and trees by Roe Deer and traffic accidents between human and Roe Deer. But, no study of the number of Roe Deer in Jejudo has been found and never has been progressed it and nobody convinces about the total number of Roe Deer in Jejudo. In this paper, we focus at the moving pressure which enforces Roe Deer to move the other places. Moving pressure is appeared when the habitat environment destruction of Roe Deer and it forces Roe Deer in hilly section to move the middle mountains section and the low section. This moving pressure promotes the moving of Roe Deer to the other places and then the total number of Roe Deer in new places are increasing. High density of Roe Deer makes the habitat environment bad and increases the competition of Roe Deer. These patterns are repeated continuously. The habitat environment of Roe Deer is related with human life area very closely. We should keep and preserve our nature and environment, and if we develop our nature then we must consider our ecosystem in all aspects. It'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us and Roe Deer and other living things.

  • PDF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Caranx melampygus (First Record of the Bluefin Travelly, Caranx melampygus(Perciformes: Carangidae) from Korea)

  • 김준상;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0-174
    • /
    • 2018
  •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Caranx melampygus 1개체(표준체장 113 mm)가 2010년 8월 13일 제주도 서귀포시 대포동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줄전갱이(C. sexfasiatus)와 유사하지만 주둥이 끝이 눈의 말단을 이르지 않는 점과 주새개골의 상단에 검은 반점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미기록종의 종명은 줄전갱이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입을 가지고 있어서 "작은입줄전갱이"로 제안한다.

팥꽃나무속(팥꽃나무과)의 신종: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 (A new species of Daphne (Thymelaeaceae): D. jejudoensis M. Kim)

  • 이정심;이강협;소순구;최창학;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4-98
    • /
    • 2013
  • 제주도 선흘에서 팥꽃나무속의 신종인 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 Kim)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제주백서향은 꽃이 백색이고 잎은 상록성이며 긴 꽃받침 통을 가져 백서향(D. kiusiana)과 유사하다. 그러나 제주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없고 장타원형(점첨두) 잎을 가지며 제주도의 중산간지역에서 자라는 반면에, 백서향은 꽃받침 통과 열편에 털이 있고 도피침형(급첨두) 잎을 가지며 거제도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청줄돔과 어류 1미기록종, Chaetodontoplus melanosoma (New Record of the Black-Velvet Angelfish, Chaetodontoplus melanosoma (Pomacanthidae, Perciformes) from Korea)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9-252
    • /
    • 2015
  • 농어목 청줄돔과에 속하는 Chaetodontoplus melanosoma 1개체 (표준 체장 123.1 mm)가 2010년 2월 24일 제주도 사계연안의 삼중자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체측에 파란색 줄무늬가 없는 대신 멜라닌 색소가 잘 발달되어 있는 점, 눈 뒤에 반점이 없는 점, 그리고 가슴지느러미 기부에 검은색 반점을 가지는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청줄돔이 가지는 체측의 파란줄무늬가 이 종의 등지느러미에 희미하게 남아있으며 형태적으로도 유사하기 때문에 이 미기록종의 국명을 "검은청줄돔"으로 제안한다.

제주 김녕-월정 사구의 발달과정에 관하여 (Development of Coastal Sanddunes at Kimnyong-Wolchung Beach in Jejudo)

  • 박경;손일;장은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51-864
    • /
    • 2004
  • 제수도 김녕-월정 해안에 위치한 해안사구는 약 4km의 해안을 따라 내륙으로 약 6km 연장되는 대형 사구이다. 사구의 경계선을 확정하기 위해 항공사진과 랜드샛 영상을 이용한 상세한 지형적인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질감분석이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또한 두 개의 측선을 따라 해안에서부터 내륙으로 샘플을 습득하고 물리 화학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현지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고토양층은 사구의 발달이 단속적이었음을 말해준다. 제주도의 협재사구에서 이루어진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경과는 해안사구가 석회질 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홀로세 후기에 형성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IEC 61400 풍력표준을 적용한 제주도 김녕 난류강도 특성분석 (Analysis on Turbulence Intensity Characteristics at Gimnyeong, Jejudo by Applying IEC 61400 Wind Turbine Standards)

  • 김현구;정태윤;장문석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59-65
    • /
    • 2010
  • Analysis on turbulence intensity profile depending on wind speed is an important process to set up design condition of wind turbine in terms of fatigue load. This paper tests goodness of fit of turbulence intensity empirical equations suggested by the IEC 61400 Standards with Jejudo Gimnyeong met-tower measurement, which is erected at a seashore. Therefore sea breeze and land breeze coexist. Sea breeze case showed apparent increasing trend of turbulence intensity in a high wind speed regime due to increase of sea surface roughness. However, neither inland wind turbine standard IEC 61400-1 nor offshore wind turbine standard IEC 61400-3 fit such a trend adequately. On the other hand, the modified empirical equation of turbulence intensity of IEC 61400-3 derived from Germany FINO1 application study by considering turbulence intensity behavior in a high wind speed regime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 Therefore, we can reconfirm and conclude that IEC 61400-3 Ed.1 legislated in 2009 needs to be mod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