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9초

여대생의 건강상태, 건강개념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Health Concep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Women)

  • 박혜숙;김애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8-232
    • /
    • 2000
  •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Health concep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llege Women. The subjects were 275 students from a college in Kyungbuk.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ade of General characteristics (8 items), Health condition (3 item), Health concept (20 ite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40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3604. Among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 (2.9133). 2. Health condition, Heath concep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1)Perceived health condi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oard & lodging and living together (p=.040, p=.027). 2)Health concep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p=.006). 3)Health promoting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p=.005). 4)Among the subcategor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between nutrition and age / board & lodging (p=.004, p=.040), between self actualization and age(p=.006), between health responsibility and age/social economic status(p=.013, p=.000). 5. Correlations of Health condition, Health concep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s follows. 1)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health status(r=.145, p=.015). 2)Health 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r=.136, p=.032), perceived health condition(r=.148, p=.015), health promoting behavior (r=.316, p=.000). 6. Correlations of Health condition, Health concept and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s follows. 1) Perceived health status was positively correlated nutrition (r=.168, p=.006). 2) Health 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tion, stress management, self actu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r=.153 p=.011, r=.217 p=.000, r=.354 p=.000, r=.193 p=.001). 7. Health concept explained 10.1% of the varianc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 PDF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윤경;차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9-500
    • /
    • 2016
  • 본 논문은 한국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대인관계 성향 및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17세-27세 범위이며 총 247명이 편의 추출에 의해 선정되었다. 연구는 2012년 11월 1일부터 2013년 3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우울에 유의한 변수는 형제서열순위, 종교, 학교성적, 경제적 상태, 거주상태, 스트레스 해소방법이었다. 우울과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경향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형, 경제적 수준이었고, 다음으로 동정-수용적, 반항-불신적, 체형과 거주상태 순으로 모형의 수정된 결정계수(R2)는 .268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이해하고 개인간 상호관계와 우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학업스트레스가 이러닝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안의 매력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 Intention to Use e-Learning: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1-3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이러닝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안의 매력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8일부터 5월 22일까지 31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martPL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중 수업, 성적,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이러닝 이용의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며, 그 영향력은 학습자가 지각하는 대안의 매력도 수준이 클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험 스트레스는 이러닝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안에 대한 지각된 매력도의 조절효과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과 이러닝 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대학 내에서 다양하고 매력적인 이러닝이 제공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A Study on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 류은정;권영미;이건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6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well-b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were 282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Chung-ju.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 program using mean, frequenc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psychosoci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were low at 55.97, 103.5. In the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2.77),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1.49). 2. There we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Psychosocial well-be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was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3. The Psychosocial well-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Also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scal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except health responsibility. S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ychoscial well-bing and self-actualization, exercise, nutrition, interpersonal support, stress management was found. Based upon this results, health promoting behavior will be clues for developing a interventional programs and strategies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in university students

  • PDF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in local government worker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71-48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related factor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60 local officials in Gangwondo. The research comprised three questions relating to subjective oral symptom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and an oral health impact factor which was composed of questions.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in Amos. Results :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drinking frequency,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drinking frequency, smoking amount and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oral symptoms. It denoted that drinking frequency,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OHIP. The path model had an excellent goodness of fit (p=0.07, namely p>0.05). Fiv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model were all above 0.9: GFI=0.987, AGFI=0.952, NFI=0.902, IFI=0.939, CFI=0.934), and its RMSEA was 0.045.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firsthand impact on OHIP. In addition, it affected OHIP through the parameters of or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drinking frequency, drinking frequency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smoking amount. Smoking amount had a firsthand impact on oral symptoms.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oral hygiene environment through reduction in drinking and smoking also need to focus on relieving stress by improving workplace culture. In addition, due to good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conflict.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cademic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 서가원;권명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29-240
    • /
    • 2016
  • 학업장면에서 과도한 위협으로 볼 수 있는 치명적이거나 만성적인 역경을 극복해내는 개인의 역량인 학업탄력성은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심리적 능력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총 554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복감이 학업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versio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업탄력성은 학년, 주거형태, 대인관계, 성격유형과 학업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학업탄력성은 대인의사소통 능력(r=.46, p<.001, 행복감(r=.35,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학업탄력성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학년(p=.002), 주거형태(p=.001), 학업성적(p<.001), 대인의사소통 능력(p<.001), 행복감(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36.9%이었다. 본 연구결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복감은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Premenstrual Syndrome in Clinical Nurses)

  • 구정순;김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25-2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 지역에 위치한 1개의 상급 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21일 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3.35{\pm}0.63$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08{\pm}0.40$점, 월경전증후군 정도는 6점 만점에 $2.94{\pm}1.09$점이었다. 월경전증후군은 감정노동(r=.292, p<.001), 건강증진행위 하부영역인 대인관계(r=.208, p=.004)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월경전증후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beta}=.54$, p=.001), 감정노동(${\beta}=.40$, p=.001), 월경통 정도(${\beta}=.14$, p<.001)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월경전증후군의 30.0%를 설명하였다(F=9.33,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월경통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험 및 완화요인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라채린;이창진;서주연;최지희;유명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fe stressors and mitigating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st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line from one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The total of 794 samp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set. First,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among life stressors, depression and mitigating factors. Second,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different dimensions of he life stressors experienc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Finally, we used logistic regression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ub-stressors or mitigating factors, and suicide ideation. Results: Three sub-stressors were identified -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cademic stress and economic stress. All of these stress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However, none of them significantly predicted suicide ideation controlling for depression. All mitigating factors - health related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leisure activities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yet only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with suicide ide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Social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may affect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융합연구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정성원;황라일;이영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65-27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두 개 시도에 위치하고 있는 3년제 대학의 간호과 학생과 4년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총 81명의 설문 응답에 대해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남자 대학생보다 높았으며, 간호학이라는 전공에 만족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경우 대학생활에 만족한다고 한 학생들이 불만족한 학생들보다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스트레스원은 주로 의료인, 환자, 보호자들의 태도와 실습환경, 정신적 요인 이었다. 실습 중 타 직종 및 대상자와 가족과 지속적인 응대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융합적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습 전에 중재가 시행되어야 한다.

좌절된 소속감의 개념분석 (Thwarted belongingness: Concept Analysis)

  • 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21
  • 본 연구는 좌절된 소속감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좌절된 소속감의 속성은 왜곡된 신념, 소속욕구 불충족, 소외감, 상호교류와 애정욕구의 불충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에서 배제 또는 갈등 경험, 완벽주의적 성향, 거부민감성이며, 결과는 자살생각, 행복 및 삶의 만족 감소와 거부에 대한 불안, 우울, 수치심, 외로움, 스트레스 또는 분노, 공격성, 적대감 같은 부정적 정서 및 자기비난, 절망감, 자포자기, 정서표현 억제, 무기력, 관계에서 스스로 배제, 정체성 혼란이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의 정신적 건강 및 자살생각과 관련된 예방 가능한 간호중재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향후 좌절된 소속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및 현장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속성을 검증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