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Parents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on Problem Behaviors)

  • 송민정;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17-12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o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36 mothers, who had children aged 5-7 in Chungbuk area.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zed using SPSS program(version 12.0) and AMOS program(version 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other's neuroticism,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directly influenced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effect of mother's neuroticism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stres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fluenced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irectly, but mother's neuroticism and young children's stress did not. The effect of mother's neuroticism on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as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청소년기 정서 및 행동문제의 성차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KOREAN ADOLESCENTS)

  • 이현지;하은혜;오경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117-12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증후군과 사회능력에 있어서의 성차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12세에서 17세 사이의 청소년 6570명(남 2549명, 여 4021명)의 K-YSR자료와 부모 2373명(남자 청소년 1173명, 여자 청소년 1200명)의 K-CBCL자료를 분석하였다. K-YSR분석 결과, 남자 청소년은 사회적 미성숙 척도와 비행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했고, 여자 청소년은 내재화 문제와 총행동문제증후군 척도에서 뿐만 아니라 위축, 신체 증상, 우울/불안, 공격성 척도에서도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였다. 또한 여자 청소년들은 사회성과 총 사회능력 척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K-CBCL에서는 부모가 남자 청소년에 대해 주의집중 문제와 비행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고 있는 반면, 여자 청소년에 대해서는 내재화 문제 뿐 아니라 위축, 신체 증상, 우울/불안, 공격성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고하였다. 부모의 보고인 K-CBCL의 사회능력 척도에서는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K-YSR과 K-CBCL 모두에서 여자 청소년들은 내재화 문제에서 일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외현화 문제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자 청소년의 경우 외현화문제에 해당하는 소척도 중 공격성 척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 PDF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통제 집단의 삶의 질과 문제행동 비교 및 부모보고와 자기보고의 차이 연구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 김민희;정경미;이명아;유철주;원성철;신윤정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483-500
    • /
    • 2011
  • 의학 발전과 함께 소아암이 치료 가능한 질병이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장기적인 심리사회적인 적응과 관련된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과 문제 행동 수준을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상태를 평가하는데 나타나는 부모와 자녀의 보고 불일치 양상이 소아암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의 아동,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PedQL의 아동 버전과 부모 버전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K-CBCL과 K-YSR을 이용하여 문제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소아암 생존자 집단은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서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고, 높은 수준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이 때의 결과는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보원간의 보고 불일치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에서 부모는 자기 보고에서보다 문제 행동은 더 낮게, 삶의 질은 더 높게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에서 나타난 부모와 자기 보고의 불일치 정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삶의 질의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재화된 문제행동 영역에서 소아암 생존자 집단이 건강 통제 집단보다 부모와 자녀의 보고 차이가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Korean Chinese'left-behind'Children in China)

  • 현미나;박지선;신동면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1호
    • /
    • pp.153-185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들이 외지에 있는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들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 조선족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실태와 원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조선족 집거지인 연변 3개 지역 학교에서 유수아동과 비유수아동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내재화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문제행동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유수아동집단과 비유수아동 집단의 주요변수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둘째,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문제행동,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간 구조적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수아동 집단은 비유수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내재화 문제행동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에서 그리고 외현화 문제행동의 비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비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문제행동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수아동 집단은 비유수아동 집단과 비교하여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요인에서 비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부정적 요인에서는 양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한부모 부재 유수아동 집단 > 비유수아동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유수아동 집단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내재화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수아동의 문제행동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 확립의 필요성과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수아동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중국의 사회적지지체계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 발달유형에 따른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양상 (Long-term sequelae of trajectories of bullying victimization in you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outcomes)

  • 박현선;김민정;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5-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걸쳐 또래괴롭힘 피해경험 정도의 변화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의 수와 그 모양을 파악하고, 각 발달유형별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수준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아동패널(Seoul Panel Study of Children)의 자료(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2학년)를 잠재계층성장모형과 공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의 변화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피해 경험이 낮은 '안정적 저수준 계층'(81.2%), 초기 높은 피해경험 후 피해경험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초기 피해후 감소 계층'(15.6%), 높은 수준의 피해경험이 발달기간 동안 지속되는 '지속적 피해계층'(3.5%)으로 세 개 유형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다. 또래괴롭힘 피해의 발달유형에 따라 내면화와 외현화 문제의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지속적 피해계층과 초기 피해 후 감소 계층 모두 안정적 저수준 계층에 비하여 3개 내면화 문제(위축성향, 우울 및 불안성향, 자살생각)의 평균추정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의 경우 내면화 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달유형에 따른 차이가 덜 명확하였으나, 피해지속 계층에 속한 청소년들은 나머지 두 가지 계층에 비하여 공격성과 지위비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또래괴롭힘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알레르기질환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유형 분석: 5~7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2차자료분석 (Identifying Trajectories of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5th to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 손미선;지은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22-83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behavioral problem trajectorie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and investigate their predictor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5th to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participants included 840 children aged 4~6 years with allergic disease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trajectories of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that is deteriorative, recovering, changing 1 (decreasing-increasing), changing 2 (increasing-decreasing), and low state persistent group. For the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predictors were temperament, father's education, family interaction, and disconnection in peer interaction. For the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predictors child's gender, temperament,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arenting environment. Conclusion: Deteriorative group has high-risk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We suggest to provide interventions considering latent problem trajectories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s for allergic children.

비빈곤가정과 빈곤가정 유아의 문제행동 발달궤적과 학습준비도 및 학교적응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rajectories of Poor- and Non Poor-Households on the Path to Learning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 이완정;김미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57-165
    • /
    • 2018
  •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roblem behaviors adjusted more poorly on the $1^{st}-grade$ than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roblem behaviors, and whether there was evidence of intra-individual stability in behavior problems over time. Data were analyzed by use of the Latent Growth Model and group differences analyses. Three findings were noteworthy. First, there was evidence of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behavior problems between poor- and non-poor household children. Second, children with higher initial level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t 4 years had lower school readiness scores at 6 years. Finally, children with lower levels of school readiness at 6 years had lower school adjustment scores in $1^{st}$ grade. The results discus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ie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mediating effect of school readiness,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s problem behavior have been found to be predictors of delayed achievements in school. The results show that interven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roblem behavior. This study also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poverty at home could have more difficulties in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한국판 유아 행동 척도-2(Korean Preschool Kindergarten Behavior Scale-2: PKBS-2) 타당화 연구 (A Study on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K-PKBS-2))

  • 유수옥;이기성;하승민;박수경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9-10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alidate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2(PKBS-2) and develop the Korean version PKBS-2(K-PKBS-2) through the phases of concept and statistical review.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PKBS-2 for teachers with 1,119 young children in Jeonbuk province. During the factor structure revie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0 items and 4 factors(social interaction, social cooperation, social compliance, and social independence) in social skills scale and 40 items and 4 sub-factors of 3 factors(internalizing behavior, externalizing behavior, and interpersonal emotional behavior) in problem behavior scale were extracted.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s of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 scales were higher than the original test and very high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produced. During external factor review,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After cultural specificity and cultural universality between PKBS-2 and K-PKBS-2 were discussed, K-PKBS-2 was presented as e scale which is very useful for the screen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plan of challenging behavior behaviors in young children in Korea.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다층성장모형의 적용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Using Multi-level Growth Modeling)

  • 이택호;이석영;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131-158
    • /
    • 2015
  • 본 연구는 체육시간이 청소년의 외현화(공격성) 및 내재화(사회적 위축, 우울)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시간의 흐름과 성별에 따라 다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차년도(2011) 데이터(N = 2,133), 3차년도(2012) 데이터(N = 2,151), 4차년도(2013)데이터(N = 1,979)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를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성별, 체육시간으로, 통제변수를 학대, 학교적응, 가구연간소득, 보호자 최종학력으로 설정한 뒤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공격성 및 우울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시간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 모두 시간에 대한 성별의 영향이 변하지 않았다. 다섯째, 시간에 대한 체육시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위축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우울에서 체육시간에 대한 성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체육시간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체육시간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연구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PDF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Mothers' Emotionalit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안라리;김희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age 3 to 5,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temperament, with that of their mothers' emotionality, and the social competence. 72 children in the early childhood age bracket were surveyed. Three major findings were established. Firstly,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 to social competence. Children's adaptability and social activity were related to their pro-social behavior and the ability to internalize/externalize problems. Secondly, children exhibited pro-social behavior only when their mother's emotional reactivity was positive. hirdl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influenced by individual variables and their mothers' emotionality. Prosocial behavior, a lower ranking domain, was influenced by children's adaptability and mothers' emotional reactivity. The children's ability to internalize problem was influenced by adaptability. In contrast, The ability to externalize problem was influenced by the range of activities they were involved in. Overal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influenced by their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