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

검색결과 2,849건 처리시간 0.037초

생약 추출물의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면역증강 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 of Medicinal Herb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최인욱;박용곤;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21-1527
    • /
    • 2012
  • 본 연구에서 12종류의 생약재 중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NO 생성능이 높은 감초, 건지황, 당귀, 도라지, 목천료 5종의 생약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5종의 생약추출물의 성분을 실험한 결과 단백질, 다당 물질의 함유량이 감초(58.1%), 건지황(90.4%), 당귀(87.4%), 도라지(41.3%), 목천료(85.7%)로 대부분 고분자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약추출물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활성능 관련 지표를 측정한 결과 5종의 생약재를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자 물질인 단백질과 다당으로 이루어진 생약추출물을 섭취 시 외부로부터 침입한 항원이 들어오기 이전에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에서 임상지수, Interleukin-1, MMP-8, 치주원인균 감소에 대한 전동칫솔의 효과 (Evaluation of Sonic Toothbrush on the Reduction of Clinical Parameters, Interleukin-1, MMP-8 and Periodontal Pathogens in Incipient to Moderate Periodontitis)

  • 유호선;채경준;홍지연;최성호;김종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6권12호
    • /
    • pp.742-75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전동칫솔을 사용할 경우 임상 지수의 향상 정도와 치주원인균의 정량적 감소 효과를 12주의 연구 기간 동안 평가하는 것이다. $25{\sim}55$세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치태지수 0.5 이상, 치은지수 0.5 이상을 나타내는 대상에서 일반 칫솔 혹은 전동칫솔 ($Sonicare^{(R)}$ Elite, Philips Oral Healthcare Inc., Snoqualmie, Washington, USA) 사용 군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하루 2회, 매 회 2분 간 사용하고, 각 군의 칫솔 사용을 교육하였다. 임상지수는 치태지수 (PI; Silness & $L{\ddot{o}}e$), 치은지수 (GI; $L{\ddot{o}}e$ & Silness), 탐침 후 출혈 부위 (%), 치주낭 깊이 부착소실을 초진 1, 4, 12주에 측정하였다. Interleukin-1 (IL-1), MMP-8과 치은연하치태샘플에서 채취한 4 종류의 치주원인균 (Actinomyces visco년, Porphyromonas gingivalis, Streptococcus sanguis, Tannerella forsythensis)에 대한 16S rRNA test는 초진, 1주, 12주에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동칫솔과 일반 칫솔 모두 임상지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치은지수는 일반칫솔에 비해 전동칫솔에서 감소효과가 통계적으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p<0.001). 탐침 후 출혈의 감소는 전동칫솔에서 76.73%, 일반칫솔에서 44.57% 정도로 전동칫솔 군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치주낭 깊이 감소는 초진에 비해 전동칫솔 군에서 18.55%, 일반칫솔 군에서 14.81% 정도로 나타났으며, 초진과 비교하였을 때 부착수준의 향상 정도는 전동칫솔 25.24%, 일반 칫솔 16.94% 정도로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두 군 모두 IL-1 beta, MMP-8 농도의 감소가 있었으며, 치주원인균 중 A.viscosus, P.gingivalis, T.forsythensis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초진에 비해 12주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S.sanguis는 전동칫솔 군에서만 12주에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2주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소니케어 전동칫솔의 사용은 임상지수 및 치주 원인균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돈사 분진 함유 내독소 수준과 축사 작업자들의 세포면역력간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Endotoxin Level of in Swine Farm Dust and Cellular Immunity of Husbandry Workers)

  • 김형아;김지연;신경민;조지훈;;조광호;허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3-401
    • /
    • 2013
  • Objectives: Endotoxins in dust generated in occupational settings is known to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illness among work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ndotoxins in total dust or respirable particulates collected from swine farms and immunological markers related with respiratory allergy was evaluated among swine husbandry workers. Materials and Methods: Peripher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en workers at ten swine farms at Gyeonggi province, Korea.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were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and ionomycin for 48 hours. The levels of various cytokines produced at culture supernatants were determin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ELISA kit.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_{10}$) in the indoor air of the swine farms was evaluated using a PVC membrane filter and mini volume air sampler, and endotoxin levels in the dust were measured by Limulus Amebocyte Lysate Kinetic QCL method. Results: Levels of endotoxins in the total dust were categorized into high(geometric mean: $109.35EU/m^3$) and low concentrations (geometric mean: $0.95EU/m^3$) for five swine farms. Interleukin-4 levels were higher in the high endotoxin group than in the low endotoxin group, while interferon-${\gamma}$ levels were lower in the high endotoxin group than in the low endotoxin group. The ratio (interferon-${\gamma}$ to interleukin-4), indicating immunologic skewedness against allergic reactivities, was lower in the high endotoxin group($1.15{\pm}0.60$) than the low endotoxin group($3.09{\pm}2.38$).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leukin-13, another cytokine contributing to the occurrence of allergic respo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 the high endotoxin group($1.12{\pm}0.37ng/m{\ell}$) than in the low endotoxin group($0.37{\pm}0.04ng/m{\ell}$). Hematologic assess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cellularity in the number of total leukocytes, neutrophils, and eosinophils in the high endotoxin group than in the low endotoxin group. Conclusions: Even though a sufficient number of swine workers and farms were not investigated, this study generlly suggests that the immunological function of swine farm workers exposed to high levels of endotoxin could be modulated toward allergic reactivities.

종자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Seed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김윤숙;하상근;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1-1676
    • /
    • 2012
  • 9 종류의 종자 중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NO 생성능이 높은 메밀, 민들레, 봉선화, 해바라기 4종의 종자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4종의 종자 추출물이 RAW 264.7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 활성능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다. 4종의 종자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자 추출물을 섭취하였을 때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자극이 있기 이전에 체내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cytokine 등의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지오텐신전환효소 및 사이토카인 혈장 레벨과 재발성 우울증의 연관성 : 예비 연구 (Association of Plasma Level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Cytokines with Recurrent Depression : A Preliminary Study)

  • 손호영;이선우;김민경;이강수;이상혁;권민수;김보라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1호
    • /
    • pp.39-44
    • /
    • 2017
  • Objective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gene and plasma levels of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4 (IL-4),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0 (IL-10), have previously been determin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lasma levels of ACE and cytokines with recurrent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52 participants (14 male, 38 female, aged $43.9{\pm}14.0years$) were enroll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depression by experienced psychiatrists using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from the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CHA Bundang Medical Center. The participants completed blood sampling,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Beck Anxiety Inventory, and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Results ACE plasma levels are higher in patients with recurrent depression ($27.4{\pm}10.4U/L$) than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depression ($19.1{\pm}7.7U/L$) (p = 0.004). The levels of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4, IL-6, IL-10,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ACE plasma level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 reduction in the HAMD over six weeks (r = -0.429, p = 0.046, n = 22).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how that plasma ACE levels may be associated with recurrent depression and further suggest that the renin-angiotensin system could play a role in recurrent depression.

가와사키병 환자의 혈청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diponectin 치에 대한 연구 (Serum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nd adiponectin levels in Kawasaki disease)

  • 안정;김한규;손세정;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41-47
    • /
    • 2010
  • 목 적 : 아디포넥틴은 혈관벽의 염증 반응을 억제시켜 혈관의 remodeling을 조절하는 내인적 조절 인자이다. 그러나 가와사키병에서 아디포넥틴의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와 IL-6, $TNF-{\alpha}$, lipid profile, C 반응 단백 등 몇몇 parameter들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아디포넥틴과 심기능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방 법 : 실험군은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받은 총 22명의 환아(급성기 22명, 아급성기 환아 20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총 31명(열성 질환이 있는 환아 13명, 건강아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혈액 검사와 TDI를 실시하였다. 결 과 : C 반응 단백은 대조군에 비해 가와사키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아디포넥틴, IL-6, $TNF-{\alpha}$ 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아디포넥틴과 C 반응 단백, 혈소판 수치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TDI로 측정한 수축기 심근 속도와 A 심근 속도가 급성기에서 아급성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근 속도가 감소됨이 확인되었고, 아디포넥틴과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급성 가와사키 환아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낮을수록 염증 반응이 심하며 좌심실의 기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루킨-4를 발현하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에 의한 암성장의 억제 (Effective Antitumor Activity of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Murine Interleukin 4)

  • 윤기정;김영일;김선영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78
    • /
    • 1998
  • Vaccinia virus is the prototype orthopoxvirus that has been used as a vaccine strain for small pox. This virus has been used to express a variety of cellular and viral genes in mammalian cells at high levels. Interleukin-4 (IL-4) has been found to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and enhance the cytolytic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To test the immunotherapeutic potential of IL-4 delivered in vivo by poxvirus,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the murine IL-4 gene (RVVmIL-4) was constructed. A high level of IL-4 production was confirmed by infecting HeLa cells and measuring IL-4 in cell culture supernatant by ELISA. As a tumor model, two cell lines were used; the murine T leukemic line P388 and the murine breast cancer line TS/A. CDF1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with $1\;{\times}\;10^5$ cells of P388. Mice were injected at the same site with $5\;{\times}\;10^5\;PFU$ of recombinant vaccinia virus; first, 3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umor cells and thereafter once every week for 3 weeks.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RVVmIL-4 significantly prolonged the survival time of mice inoculated with tumor cells. All mice injected with RVVmIL-4 remained alive for 30 days after the postinoculation of tumor cells, while 100% and 70% of the animals injec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died, respectively. In another tumor model using TS/A, tumor was established by subcutaneously inoculating $2{\times}10^5$ tumor cells to BALB/c mice. After tumor formation was confirmed on day 4 in all mice, $5\;{\times}\;10^6\;PFU$ of RVVmIL-4 was inoculated subcutaneously three times, once every week for 3 weeks. The TS/A tumor was eradicated in two of the nine mice. Seven of the nine mice treated with RVVmIL-4 developed a tumor, but tumor growth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saline or wild type vaccinia vir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binant vaccinia viruses may be used as a convenient tool for delivering immunomodulator genes to a variety of tumors.

  • PDF

Acmthmoeb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silica 투여의 영향 - 대식세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ilica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canthamoeba meningoencephalitis with reference to the macrophage role in mice)

  • 이홍수;신호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4호
    • /
    • pp.259-266
    • /
    • 1994
  • CSH/HeJ 마우스에 Acanaamoeba culbertsoni영양형 $3{\;}{\times}{\;}10^5$개를 비강으로 접종하 여 실험적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킬 때 숙주의 방어기작에 대식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대식세포 억제제인 silica를 마우스 복강 내로 투여한 경우의 사망율이 60.6%로 아메바만을 접종한 마우스의 사망율이 10.0%와 비하여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하여 죽인 Toxoplasma gondii tachyzoites의 in vitro탐식능 관찰에서 기능을 억제시킨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3% 이하로써 아메바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기능의 저하로 인한 수막뇌염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A. culbertsoni에 대한 대식세포의 살해활동의 in vitro 실험에서 silica투여한 실험군의 복강대식세포의 뚜렷한 기능 저하를 관찰하였고, 효소표지 면역 검사법(ELISU)을 이용한 마우스 혈청 내의 $interleukin-1{\beta}(IL-1{\beta})$의 흡광도는 아메바 접종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silica투여를 수반한 실험군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대식세포가 억제되었을 때 실험적 수막뇌염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식세포가 A. culbertsoni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키토산이 Th1과 Th2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Production of Th1 and Th2 Cytokines in Mice)

  • 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1-4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이 마우스에서 Th1과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키토산에 의한 IL-2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FN-$\gamma$ 생성의 변화, 그리고 키토산에 의한 IL-4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L-10 생성의 변화를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LPS, Con A, PHA-P와 같은 세포자극물과 키토산이 함께 작용되었을 때 상기 사이토카인의 생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1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농도의 키토산에 의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 Con A와 같은 세포자극물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IL-2와 IFN-$\gamma$의 생성은 큰 상승을 나타냈으며 LPS의 경우 키토산에 의해서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증폭되었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IL-10의 생성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에 의한 IL-4와 IL-10의 상승이 키토산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부터 키토산이 LPS와 같은 세균독소가 존재하는 가운데 Th1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에 따른 면역반응 환경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앞으로 키토산에 대한 더 많은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되면 임상에서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용될 가능성도 있다 하겠다.

Prospective Study for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n Immune Modulator following a Cura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n Cancer

  • Boo, Yoon-Jung;Park, Joong-Min;Kim, Jin;Suh, Sung-O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54-59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evidence that the Korean red ginseng extract shows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during postoperative chemotherapy after cura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n cancer. We measured the circulating interleukin-2 (IL-2), interleukin-8 (IL-8)and interleukin-10 (IL-10) as a immune modulator to evaluate th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The mean preoperative value of IL-2 was similar in the non-RG group and the RG group (5.72 pg/ml versus 6.87 pg/ml, p>0.05). The mean value of IL-2 was compared with IL-2 from healthy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14.89 pg/ml versus 14.22 pg/ml, p>0.05). The mean preoperative value of IL-8 was higher in the non-RG group comparing with the RG group (30.92 pg/ml versus 36.25 pg/ml, p < 0.05). At postoperative 3 month, the mean values of IL-8 from non-RG and RG group down to 24.56 pg/ml and 21.46 pg/ml respectively. The IL-8 of RG group at 3 month showed no difference with that of HC group(21.46 pg/ml versus 16.31 pg/ml, p>0.05). The preoperative mean value of IL-10 of non-RG, RG and HC group was 11.56 pg/ml, 10.8 pg/ml, and 3.68 pg/ml respectively. At postoperative 3 month, the mean values of IL-10 from non-RG and RG group down to 8.45 pg/ml and 5.04 pg/ml respectively. In spite of decreasing IL-10 levels of both cancer Patients group with time, there was still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at of HC group (non-RG versus HC group, p=0.00, RC versus HC group, p=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d ginseng extract may have som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associated with IL-2, IL-8 and IL-10 activity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 during postoperative chemotherapy. We think to need the further studies and a larger sample size to fully evaluate the antitumor effect of ginseng and need to establish this mechanism of action as well as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associated with antitumor activity and immunomodula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