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space

검색결과 3,129건 처리시간 0.032초

디자인 분야별 EPA.PAD 감성평가모형의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Emotion Evaluation EPA.PAD Model in Each Design Field)

  • 김지혜;이진숙
    • 감성과학
    • /
    • 제17권1호
    • /
    • pp.79-92
    • /
    • 2014
  • 본 연구는 감성분석기법이 디자인 평가에 적극 적용되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감성평가모형의 사용상의 오류를 최소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품, 실내 공간, 가로경관 디자인 분야별로 축약형 모형의 어휘 추출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발췌한 어휘로 1차적인 어휘정제작업을 수행하였다. 세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휘 19개가 나타났는데 신뢰도 분석 결과, 분야별로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어휘들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축약형 모형인 EPA모형과 추론형 모형인 PAD모형의 신뢰도 분석을 통한 어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세 분야에서 축약형 모형이 추론형 모형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계수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어휘들을 삭제하고 신뢰도 분석 한 결과 계수의 차이가 확연히 높은 신뢰도가 나타났다. 따라서 감성평가 시에는 평가대상에 적합한 어휘 선정 과정이 필요하고, 적합한 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감성평가의 객관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추후 환경 평가에 적합한 감성평가모형의 분석이 신뢰도 검증외에 다양한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되어져야 한다.

도시 주차장내 수목그늘의 경제적 이익 연구 -미국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대학 주차장을 사례로- (A Study on the Economic Benefit of Urban Parking Lot Tree Shading -In the Case of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Parking Lot-)

  • 장동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8-108
    • /
    • 2006
  • The climate of urban area is an unstable type with considerable seasonal variation in precipitation wind speed, and temperature and it grows worse. Besides, ozone is a serious air pollutant in most of large cities. So worldwide, some of large cities are investing in forestry options to offset their climate problems, but lack of information has hindered comparisons of urban un cost effectiveness to other options. This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economic benefits of tree shading of 19 parking lots in UCD campus. The economic benefits of tree shading are air conditioning savings, air quality, stormwater run-off, and other benefit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how much the economic benefit of parking lot shading has been increased from 1995 to 2003 year by aerophoto. Some data on dimensions of parking lots and the number, size, tree species, and location of trees around each parking lot was inventoried. Two aerophotos(1995,2003)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increasement of tree canopy in 19 parking lots for 8 years. However, increasing coverage of trees and managing them for healthy growth would not be sufficient for avoiding adverse impacts by future climate change. Additional measures should be followed such as an increase of energy use efficiency and development of substitute energy. For example, coverage of trees help to save cooling energy by blocking solar radiation reaching parking cars and building structures through shading, and creating cool micro-climates through evapotranspiration. They also reduce heating demand by decreasing air infiltration and heat conduction out of the interior of buildings. Proper arrangement of vegetation over the parking lots can reduce cooling and heating costs. So proper planting design around hard space paving including species selection and location can significantly save cooling and heating energy. And a reduction in car and building's heating and cooling costs results in the reduction in energy demand which causes to emissions of air pollutants. Total increased tree canopy from 1995 to 2003 is $8,470.45m^2$ and the economic benefits is US$ 5,282.10. The economic benefit of one tree has been US$ 7.21 for 8 years. And an annually increased benefit is US$ 0.9 per a tree. If this kind of study is applied to studying the economic benefits of tree canopy in parking lots of Korea, it could result in guidelines of tree planting of parking lots. Because the trees selected for planting in parking lots were not suitable for an environment, the guidelines should contain a recommended list of trees. The guidelines should propose the shading percentage of parking lot when we plan a parking lot and contain the maintenance of trees in order to maximize the economic benefits of tree canopy.

국내 구급차의 안락성 및 편의성 조사와 개선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Domestic Ambulances)

  • 유인술;신동민;정재한;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의 안락성과 편의성의 조사를 위하여 소음과 진동 및 사이즈의 타당성 등에 관하여 파악하였으며, 대상차량으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물형, 승합형 및 벤츠 구급차등을 이용하여 측정 및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의 구급차 제작기준을 살펴보면,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 특수목적을 가진 구급차에 대해 별도의 규정 없이 일반자동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구급차량에 대한 안전도, 응급처치에 대한 공간규정, 안락성 및 편의성 등에 관한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급차 환자실의 소음과 진동 측정 실험을 통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대한 비교 실험을 측정하였고, 구급차 환자실의 사이즈 및 내부의 재배치에 대하여 연구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개선이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음 측정 결과 승합형, 벤츠타입 및 화물형 타입의 구급차 순으로 소음이 큰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40 km/h 이상의 속도에서는 60~70 dB 이상의 소음측정 결과를 보여주었다. 진동의 경우는 승합형과 벤츠타입의 구급차량이 양호하고 역시 화물형 타입이 진동 또한 가장 안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사항이 필요하다고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구급차량 환자실의 내부를 살펴보면, 구조적으로 내부의 크기를 늘릴 수는 없는 구조이나, 침상의 재배치와 응급처치요원의 위치, 환자보호용 장의자의 배치 및 수납장 등의 재배치를 통하여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구급차의 사용을 보다 안락하고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애반딧불이의 발광기관 구조 (Studies on the Light Organ of the Firefly,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 이대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6
    • /
    • 1991
  • 애반닷불이 (Luciola lateraιs Mot.) 성충과 유충 발광기관의 현미경 관찰결과와 발광기관과 신경계의 관계는 다음파 같다. 유충의 발광기관은 복부 8번째 마디 좌우 등쪽 측면에 한 쌍이 존재하였으며 복부 8번째 신경 절로부터 나온 한쌍의 말초신경에 지배받는다. 발광기관의 모양은 구형 혹은 구형과 유사한 형태이며 발광기관 주변에는 과립들이 있었다. 이러한 과립들은 유충령기가 높아갈수록 많아져 용화하기 위하여 지상에 상륙한 유충의 경우, 하나의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발광기관에는 근육이 존재하며 기관과 기관소지도 발견되었다. 성층의 발광기관은 수컷의 경우 복부 5, 6째 마디에 있으며 암컷의 경우는 5째마디에만 존재했다. 성충의 발광기관은 발광세포 충(약 70$\mu m$의 두께)과 반사충(약 40$\mu m$의 두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유충의 발광기관 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관지소기관(tracheal end organ)이 존재하였다. 복부 5째 마디의 발광기관 은 복합신경절 (유층의 6째, 7째,8째 복부마디의 신경절들이 융합된) 앞쪽에서 나온 두 쌍의 말 초신경에 의해 지배되며, 복부 6째 마디(수컷)의 발광기관은 복합신경절의 뒤쪽에서 나온 한쌍 의 말초신경에 지배받는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영역별 필요도 (A study on the Need for Curriculum Contents in each Sub-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금남;김행자;안영희;이남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1996
  •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new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will include male and female students as its teaching objects, and then providing home economics teachers with useful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analized male and female the upper secondary school students’and parents’recognition and demand to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73.7%) and female students(89.8%) in the necessity for studying Home Economics(P<.001). In the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spiritual part but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functional part. In part of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95.5%) and mothers(96.4%). 2. The necessity of each part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1) In the part of fami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true nature of family,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and the laws relating to family(P<.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the true nature of family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Fathers and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true nature of family 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more than mothers and female students did. 2) In the Home management and economy par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ignificance of home management(P<.001),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P<.001), and fluctuating measures for home econom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P<.05). Fathers and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relation of family to society more than mothers and female students did. Mothers, male and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consumers. 3) In the clothes part,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role of clothes, the disign and making of clothes(P<.001),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sources of clothing and the distribution of clothes (P<.05)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4) In the part of foo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kinds and function of nutritive elements(P<.05). Parents and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good food. 5) In the part of housing, male students emphasized home planning, and arrangements and facilities of house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Female students emphasized the interior of the house(P<.05). Fathers emphasized the planning of a residential space and arrangements and facilities of a house(P<.05) more than mothers did. 6) In the parts of human development and upbringing, and upbringing, male students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being parents, family planning and the population problem(P<.001), pregnancy and delivery(P<.01), and the chracteristic of juvenile development(P<.05) more than female students did. Parents and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for diseases and the significance of being parents.

  • PDF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소나무림 벌채 후 형성된 숲 가장자리의 회복 과정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Formed by Clear-cutting Harvest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 김준수;조용찬;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1-9
    • /
    • 2017
  • 산림 벌채 후 형성되는 가장자리 효과의 발생 여부과 회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관련 주제의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 남부 지역의 소나무림 벌채 후 1, 3, 10, 16년이 경과한 장소에 형성된 벌채지 및 임내 가장자리에서 비생물 및 생물 요인의 변화 양상을 선 (20개) 및 방형구 (340개) 조사법을 병용하여 조사하였다. 벌채 후 초기(3년 이내)는 가장 자리에서 인접 숲 내부 방향으로, 15m 깊이까지 식생 피도, 풍부도, 수관 열림도, 그리고 대기 온도 및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가장자리 형성 이후, 비생물 요인 및 식물 풍부도의 안정화는 각각 10년 및 16년이 소요되었다. 교목종이 초본식물에 비하여 가장자리 환경에서 더 높은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고, 교목종의 높은 증가는 하층식생의 동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벌채에 의한 직 간접적인 서식지 변화는 최소 인접 산림의 15 m에서 20 m까지, 그리고 16년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및 서식지 패치 평가에 필수적인 가장자리 효과의 깊이에 대한 첫 국내 첫 실증 연구자료로 친환경벌채 기준제시 등 활용성이 높다.

LED 조명기구의 조도.휘도분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Illuminance and Luminance Distribution of LED Luminaires)

  • 이진숙;김원도;김병수;한원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형광등조명기구와 LED 조명기구와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LED조명기구의 기본적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여기서 두가지 조명기구의 균제도 및 휘도분포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LED조명기구를 건축실내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를 작성하였다. 연구는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의 조명기구와 비교한 LED조명광원의 이론적인 검토를 하였다. 둘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실험변인을 조절할 수 있는 실물대모형(Mock-up)을 제작하였다. 셋째, 설치된 실물대의형을 이용하여 조명기구별 균제도 휘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존의 형광등기구와 LED조명기구간의 균제도 휘도분포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ED조명기구가 균제도 0.569로 기존 형광등조명기구의 균제도 0.522보다 높아 균일한 조도분포 특성을 보이고 전반확산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휘도분포를 측정한 결과 LED조명기구가 보다 균일한 휘도분포 특성을 보였고, 벽면의 휘도분포는 형광등조명기구에 의한 최대휘도가 $180.6[cd/m^2]$, LED조명기구는 $155.26[cd/m^2]$로 형광등이 높고, 평균휘도는 형광등조명기구가 $44.32[cd/m^2]$, LED조명기구가 $58.65[cd/m^2]$로 LED조명기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LED조명기구가 형광등조명기구보다 재실자에게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조명이라 판단된다.

잣나무열처리재의 흡방습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ygroscopic Performance of Thermally Treated Pinus koraiensis Wood)

  • 장윤성;한연중;엄창득;박주생;박문재;최인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0-18
    • /
    • 2012
  •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거주공간은 단열성능 향상을 통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더욱 기밀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수분의 인위적인 배출과 외부공기의 인위적인 유입이 줄어듦에 따라 건축내장재의 자연조습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잣나무의 흡 방습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평형함수율과 흡 방습률을 측정하였고, 조도(거칠기)와 미시적 표면형상, 그리고 FT-IR spectrum과 흡방습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거주공간의 조습성능 정량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감귤박을 첨가한 기능성 한지제조 기술개발(제1보) - 한국산 감귤박 첨가 한지 - (Development of Functional Hanji Added Citrus Peel(I) - Hanji added Korean citrus peel -)

  • 김해곤;임현아;김소영;강술생;이효연;윤필용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1호
    • /
    • pp.38-47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new application field and obtain the basic data of citrus peel as waste in Jeju island and traditional Hanji for producing functional Hanji. The results measuring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water vapor permeance and antibacterial activity are as follows. It was revealed that apparent density go as down but bulk raise up in the structural view of Hanji with increasing of the addition various Korean citrus peel (citrus unshiu, cheonggyun and hanrabong peel, and citrus unshiu peel powder) percentages, and that the density of Hanji added citrus unshiu peel was higher, but bulk was lower in compared with Hanji added other kinds of peel. Those Hanji added citrus unshiu peel, cheonggyun peel, hanrabong peel and citrus unshiu powder were very great not only in the strength (breaking length, burst index, tear index and folding endurance) but also in water vapor permeant rate in comparison with Hanji. The pHs of Hanji were neutrality (7 to 8). The brightness of the Hanji added various citrus peel percentages was low in compared to Hanji, and the 40% addition of hanrabong peel was the lowest. When 40% hanrabong peel was added to Hanji, it was very yellow in the color degree. When cheonggyun peel was added to Hanji manufacture, water vapor permeant rate was highly effective. It is known that vacant space of intrafiber was reduced by image analysis of Hanji and the additions of peel of citrus unshiu, cheonggyun and hanrabong were distributed equally in the interior of Hanji.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anji added citrus unshiu peel is more than 98%. After all, it would be able to increase utilization of Hanji, extensively. Namely, production of high quality Hanji added functional materials is expected for new valuable industry of citrus peel and Hanji.

병원 외주부 디자인에 따른 병실모듈 연구 (A Study on the Ward Module according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Hospital)

  • 이현진;박원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71-78
    • /
    • 2021
  • Purpose: It is important to plan the ward module at a time when the size of beds, the floor area, and the construction budget are all set prior to the hospital desig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1) to deriv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ward module, and (2) to analyze the appropriate room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Methods: Design factors related to hospital modules are derived through precedential studies, and the types of ward elevation are classified by reviewing the drawings of 18 case hospitals. And the detailed dimensions and area of the derived elements are analyzed. Results: The X-axis modules of the ward are switched to long span structural columns of 9.9 m, 12.6 m and 13.2 m, but the ward modules still represent 6.6 m. The Y-axis module of the ward shows a dimension of 9 to 9.9m in the process of changing a multi-person room into a four-person room. Type A of curtain wall with columns located on the wall of the room and type B of curtain wal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om are analyzed due to their variations. The square window type, which forms the elevation of the square window by exposing the columns to the elevation, and the outframe type, which protrudes from the structural columns and beams, have elevation designs limited. There are, however, no obstacle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spital room, so the wall composition and furniture arrangement are expected to be free. The ward area of Curtain Wall Type A, which can secure an effective area of 5.9m*5.0m, are 52.1m2. The Curtain Wall Type A, Square window type, and the outframe type are 49.8m2. Implications: As part of the hospital standard module plan for economical and reasonable hospital building planning, a type was proposed in this study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design. It is hoped that it be a base for standard module research linked together to the Central Treatment department, Outpatient department and underground parking 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