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drainag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하계망패턴의 특색으로 구분한 중국의 자연지역 (The Physical Region of China Divi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Drainage Patterns.)

  • 황상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1-164
    • /
    • 1996
  • 하계망은 유역분지의 지질, 지형, 기후 등의 영향을 예민하게 반영하면서 발달하므로, 하계망 패턴의 특징에 따른 지역구분은 자연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연구는 자연환경이 매우 다양한 중국을 대상으로 하계망특색을 통하여 자연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중국의 하계망은 크게 내륙하천유역분지와 의류하천유역분지로 나누어 지며, 내륙하천유역분지는 (1)난맥상(亂脈狀) 하폐망(deranged pattern)과 (2)구심상 하계 망으로, 의류하천유역분지는 (1)수지상 하재망, (2)평행상 하계망, (3)선상 하재망, (4)망상 하계망으로 나누어 진다. 내륙하천유역분지의 하계망형성에는 지형과 기후가 함께 영향을 미치고, 의류하천유역분지에서 나타나는 평행상 하계망은 주로 지반운동에 결과된 지질구조선, 선상 하계망은 황하의 범람으로 인한 유로변경, 망상 하계망은 인간의 활동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한 것이다. 이들의 지역적 분포는 난맥상 하계망은 짱베이(장북(藏北))고원지역, 구심상 하계망은 건조분지지역, 평행상 하계망은 양쯔대지와 인도판 사이의 구조운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횡단산맥지역, 양쯔강 상류지역, 칭짱(청장(靑藏))고원 이남의 갠지즈(Ganges River)강 상류유역분지지역이며, 선상 하계망은 황하하류 선상지지역인 하이허(해하(海河)) 화이허(회하(淮河)강 유역분지지역이고, 망상 하계망은 양쯔강삼각주, 장쑤성북부해안 및 주장강(주강(珠江)) 삼각주지역이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가장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수지상 하계망을 하고 있다.

  • PDF

도시유역의 내수배제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출특성분석 -SWMM의 적용-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Interior Drainage Systems in Urban Basin -Application of SWMM-)

  • 최윤영;이영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3-199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the interior drainage systems by SWMM in urbanization basin. The basin analyzed in this study is Bumuh-chun basin which is located in Susung-gu of Taegu city. Huff method is used for rainfall distribution analysis. The optimal rainfall duration in Bumuh-chun basin is analyzed as about 90 minutes decided from comparison of arrival time and critical duration. Flood flow variation pattern is propo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eak flow and peak time analyzed by SWMM about pre-urbanization and post-urbanization of Bumuh-chun basin. It is known that the variation of arrival time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avement rate in the upper area shows about 20∼25 minutes faster than pre- urbaniz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surface water for design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channel alteration has to considered the variation of ge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urbanization.

  • PDF

도시유역의 내수배제를 위한 도시유출모델의 비교 (Comparison of Urban Runoff Models for Interior Drainage in Urban Basin)

  • 최윤영;이영화;지홍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1-259
    • /
    • 2000
  • In this study, the urban runoff models, ILLUDAS model and SWMM, are analyzed the probable peak discharge and discharge using rainfall distribution by Huff's method at Bum-uh chun area in Taegu city. The probability rainfall and intensity is analyzed by Pearson-III type. The rainfall duration, 90 minutes, is determined by the critical duration computed the maximun peak discharge for some rainfall durations. The peak discharge according to Huff's rainfall distribution types compute in order of type 3, type 4, type2, and type 1, so Huff's 3 type is selected as an adequate rainfall distribution in Bum-uh chun basin. ILLUDAS model and SWMM are shown as good models in Bum-uh chun, but SWMM is computed higher peak discharge than ILLUDAS model, so SWMM is shown as the adequate urban runoff model for the design of interior drainage in urban basin.

  • PDF

자화장치의 배열별 스케일 생성 억제 효과 (The Anti-scale Effect according to Array of Magnetic Device)

  • 남중우;한윤수;이종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3-17
    • /
    • 2013
  • 배수공의 막힘 현상은 노후화된 터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수 책 공법이 시급한 실정이며 장기적으로 보아 상승된 지하수위는 터널의 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유지 관리 방식은 Water Jet Cleaning과 배수공 내 초고압수를 분사하는 방식 등으로 배수공 내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법은 비용이 비싸고 주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반영구적으로 배수공 내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중 자화장치를 사용하였다. 자화장치를 상하 내부(CASE I), 상내부 하외부(CASE II), 좌우 내부 배열(CASE III)로 배치하여 무게 분석과 육안 분석을 통하여 각 배열별 스케일 생성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내부 하외부 배열에서 가장 스케일이 적게 생성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좌우 내부 배열, 상하 내부 배열 순으로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모형토조실험에 의한 손상도별 수평배수공 유출량 측정을 통한 배수성능 평가 기준 제안 (A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Drainage Performance by Measurement of Horizontal Drainage Flow Rate by Damage Degree by Interior Model Construction Experiment)

  • 최수환;이동혁;심정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45-50
    • /
    • 2023
  • 강우에 의한 비탈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히 강우를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경제성과 시공성이 뛰어나고, 배수 성능이 좋은 수평배수공을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시공되는 수평배수공의 경우 다른 용수의 유무나 지반의 조건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지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수평배수공의 배수 성능을 기대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형토조를 이용해 인공지반을 조성하여 수평배수공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평배수공 배수 면적을 일정량 통제해 통제면적 0%, 25%, 50%, 75% 상태의 수평배수공 유출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값과 설계 도서 등을 바탕으로 수평배수공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안)를 제안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기초자료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간 자료지향형 예측을 활용한 내배수 시설 운영기법 연구 (A Study on Real-Time Operation Method of Urban Drainage System using Data-Driven Estimation)

  • 손아롱;김병현;한건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949-963
    • /
    • 2017
  • 본 연구는 도시홍수 피해저감을 위한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 배수펌프장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배수펌프장 내의 수위를 뉴로-퍼지모형을 통하여 예측하고 예측되는 내수위에 따라 유전자 알고리즘 기법을 적용하여 배수펌프장의 운영룰을 결정하고자 한다. 뉴로-퍼지모형 구축시 배수구역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공간적 매개변수를 고려한 GeoANFIS모형을 개발하였고 배수펌프장 내 최고수위를 저하시키면서 반복적인 정지와 운영이 발생하지 않도록 벌칙유형의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마포 배수구역 내 5개의 배수펌프장(마포, 합정, 상수, 봉인, 당인)에 대하여 개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운영룰의 개발로 효과적으로 내배수 시설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거주자 평가 (POE)를 통한 아파트 주호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 - 대구 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Apartment Interior Plans by POE of Residents - Focusing on Residents in Daegu -)

  • 최정원;하미경;제해성;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59-171
    • /
    • 2006
  • As the increase in quantity of apartments has been stable, consumers' needs in housing quality become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endency of residents, construction companies has developed brands of apartment buildings with the concepts of LOHAS, well-being, ergonomics, ubiquitous. However, these trends has been focusing on the Capital area, and becoming fixed and typical in the way of delux quality, large-sized houses and a healthful residence.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is about survey on the needs of the local apartment residents, especially in Daegu. This analysis of their preferences will furnish basic data and offer possible interior plans to building companies making inroads into the Daegu apartment marke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orms which had been collected for two months(in Aug.-Oct.) of 2005 in Daegu and the amount of the samples is 135. All of them are the residents of the apartments where they moved in after 2000.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evaluation of plane composition and practicality, interior finishing and design, and spaces for item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interior design and finishing materials of apartments in Daegu should be improved and the drainage and uncleanness of bathroom also need to be considered, much like the results of Seoul area. However, regarding the higher age range and life stage, the bedroom 2 needs to be planned for a study and the design of livingroom is prefered to be widely open. Besides, comparing with those in Seoul, the residents in Daegu demand that spaces for things (especially those in secondary kitchen and dress room) be more organized and convenient.

여가전용 주택형 숙박시설의 내부공간계획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Housing type Accomodations for Leisure)

  • 김국선;이윤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05
  • In accordance with recent highly advanced economic growth, the demand of leisure life is quite increasing, and also the increase of nature-friendly leisure with health-pursuing concept where human -being enjoys pleasant environment, is to me said as one of recent social traits. Accordingly, it is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popularized housing-type accommodating facility, and then this study has discussed on the method how to plan the interior space of such facility to meet with environmental -friendly peculiarity and the object for health enhancement. At first, the program which applied the sustainable design techniques should be preceded, and when planning of interior space, the management method and space planning on the facility and the system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health. So to speak, in order to keep and promote the space user's health, those proposing methods such as the followings have been suggested likely as, consideration regarding to air-ventilation and lighting, usage of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 use of life drainage, custom-typed plane planning, utilization of balcony space, storing furniture and systemization of kitchen space, themed bathroom, inducement of indoor-gardening, and so on.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applied very usefully to the space plan of the small-scaled housing-type accommodation under planning to develop or renovation.

  • PDF

실내에서 관수주기, 토양처리, 배수층이 자생 도깨비고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rrigation Times, Soil Treatment and Drainage in Indoor on the Growth Response of Cyrtomium falcatum Ferns Korea Native)

  • 주진희;방광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3-78
    • /
    • 2005
  • 본 연구는 실내에서의 관수주기, 토양처리, 배수층에 따른 생육과 생리적 반응을 살펴봄으로 써 실내에서 도깨비고비의 적정 생육환경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실험구의 관수주기는 2회/주와 7회/주로 하였으며 각 실험구의 세부처리로서 토양처리와 배수층처리는 배수층-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 : 펄라이트=1 : 1 : 1(D-PVP), 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 : 펄라이트=1 : 1 : 1(PVP), 배수층-부엽토 : 마사토=1 : 1(D-SL) 그리고 부엽토 : 마사토=1 : 1(SL)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환경에서 도깨비고비는 주 2회 관수처리보다 주 7회 관수처리에서 지상부의 생육은 촉진되었으나 낙엽수 증가로 인해 실내적응성은 감소될 뿐 아니라 황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2. 토양에 있어서는 마사토 : 부엽토=1 : 1처리가 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 : 펄라이트=1 : 1 : 1처리보다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엽수의 증가로 인해 실내적응성은 감소하였다. 3. 배수층에 유 무에 따른 생육에 있어서는, 관수주기와 토양에 관계없이 배수층이 없을 경우 초장과 소엽장이 촉진되나, 실내적응성, 포자엽수, 신엽수는 배수층이 있을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생리적 변화에 있어 광합성률은 관수주기, 배수층, 토양처리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주 2회 관수처리구에서는 배수층이 있는 피트모스 : 버미큘라이트 : 펄라이트=1 : 1 : 1처리에서 가장 높게, 주 7회 관수처리구에서는 배수층이 없는 마사토 : 부엽토=1 : 1처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 I. 제내지 침수해석에의 적용 (Method for Flood Runoff Analysis of Main Channel Connected with Interior Floodplain : I. Application for Analysis of Inundation Area in Interior Floodplain)

  • 장수형;윤재영;윤용남;김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79-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하천변 저지대를 저류지역(Storage Area)으로 구성하고 자연배수시설과 배수펌프장을 모의할 수 있는 기능에 의해 하도와 연결한 후 부정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역에서 저지대로 유입한 홍수량과 저지대에서 하천으로 배제되는 홍수량의 차이를 산정하여 내수침수를 유발하는 저류량과 침수위을 결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하도와 저류지간에 측방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상단부에 위어를 설치하여 하도의 홍수위가 제방고 보다 높을 경우 발생하는 외수월류를 모의하며, 여기에 제방파괴(Levee Breach) 기능을 추가하여 파제 상황에서의 외수범람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시간대별 침수위를 저지대의 표고와 비교함으로써 침수지역을 식별하고 침수심별로 상이한 형태의 시각정보로 변환하여 시간대별, 침수심별 예상침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모형의 적용 결과 시간대별로 하천의 홍수위와 유역에서 하도로 유입하는 홍수량 및 외수월류와 제방파괴에 의해 제내지로 역류하는 홍수량, 그리고 하천변 저지대의 침수심과 침수면적 및 침수량 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치수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모형을 삽교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실제 발생한 홍수사상의 특성을 잘 재현하여 상기한 정보들이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