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cellular spac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고압맥동 평류자극이 가토 상처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Voltage Pulsed Galvanic Current on Wound Healing in Rabbits)

  • 김식현;박래준;권혁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67-81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high voltage pulsed galvanic current for the healing of wounds in rabbits. Skin wounds were created laterally on the flank of 12 domestic rabbits($3{\times}3cm$). The wounds of each group were treated with an intensity of 170 V at a frequency of 70 pulses per second, which was applied for 30 minutes a day for 10 day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 I (n=3), EXP II(n=3), EXP III(n=3) or control(n=3). Each group was stimula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1) EXP I (Negative polarity), 2) EXP II (Change in polarity, negative electrode stimulation during the first 3 days and then positive electrode stimulation from 4 to 10 days), 3) EXP III(Positive polarity), 4) control(No stimulation). An active electrode was placed over the wound and a dispersive electrode on the buttock. The rate of wound closure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wound size, evaluated by a tracing film in each measurement period. Finally, on the wound in each group, skin tissue was excised for histological evaluation after treatment for 10 day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complete remodeling of epitherial layer and had a chronic inflammatory response. Judging from the irregularity of intercellular space and the loose alignment of connective tissue, these findings show that wound healing was delayed. 2) EXP I showed a significant bactericidal effect, but a moderate response of vasodilation. The rate of wound closure was slower when compared with EXP II, III. 3) EXP II showed a complete remodeling of epitherial layer and a positive repair of connective tissue. Its rate of wound closure was best when compared with the others. 4) EXP III had a slower rate of wound closure than EXP II, but judging from the greater proliferation of collagen fibers and the dense alignment of connective tissue, this positive electrode was very effective in the formation of neo - connective tissue.

  • PDF

간흡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환관 상피세포의 미세구조에 대한 Aflatoxin $B_1$의 영향 (Effect of Aflatoxin $B_1$ on Ultrastructural Changes of Biliary Epithelial Cells in Mic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 민홍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99-109
    • /
    • 198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a calcinogen, aflatoxin B1 on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ciliary epithelial cells in mice infected with Clonerchis sinensis. A total of 93 male albino mice(BALB/c strain) was divided into 3 groups; group I, treated with 1.0 ppm aflatoxin Bl for 12 weeks; group II, given 50 C. sinensis n;etacercariae, and group III, given 50 metacercariae and treated with 1.0 ppm aflatoxin Bl for 12 weeks. Three mice served for untreated-uninfected controls. From 4 weeks after the treatsment and/or in(ection, three mice from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4 week intervals up to the 40th week, and their hepatobiliary tissues were prepared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most prominent ultrastructural changes in group I were remarkable enlargement of nuclear size, separation of nucleolus, dispersed chromatin granules in nuclei and increased dense granules along the inner membrane of nuclei. In the cytoplasm there was slight proliferation of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um (ER) at earlier stage. At the 12th week separation of fibrillar and granular components of the nucleolus was a characteristic finding. As the time elapsed, epithelial cells showed fiattened-cuboidal form and a tendency of atrophy. Most of the nuclei were elongated and polygonal in shape. In group II the appearance of elaborate interwoven folds of lateral cytoplasm forming a labyrinth of interconnected intercellular space and variety in nuclear shape were the prominent fadings at earlier stage. The cytoplasm showed slight proliferation and dilatation of mitochondria and ER, and a small number of mucin droplets. In the basement membrane scanty fibrous cells were seen. With time, variety in nuclear shape, marked proliferation and dilatation of rough ER and some collagen fibrils were demonstrated. Other features of intracellular organelles and mucin droplets persisted. In group III cuboidal epithelial cells showed their remarkably enlarged and irregular nuclei, increased chromatin granules in the nuclei, separated nucleoli, proliferated and dilated rough ER. With time, sequestered mitochondria showed blob-like evaginations which lacked cristae and dense matrix, and were limited by a single membrane. Since the 20th week, microvilli were relatively scanty and poorly developed. Organelles and inclusions in the cytoplasm of metaplastic cells were poor. Nuclei were variable in shape. The nlost prominent changes at later stage were separation of nuclei from the cytoplasm, and appearance of numerous and irregularly angled electron dense granules in the nuclei.

  • PDF

오존이 기린초와 비비추의 광합성, 항산화효소, 해부학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sis, Antioxidant Enzyme, and Anatomical Difference of Sedum kamtschaticum and Hosta longipes to Ozone)

  • 정효정;우수영;이성한;백생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94-402
    • /
    • 2010
  • 이 연구의 도심 녹화 수종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린초($Sedum$ $kamtschaticum$)와 비비추($Hosta$ $longipes$)를 대상으로 오존에 의해 나타나는 광합성률, 항산화 효소활성, 해부학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존을 하루 8시간씩(08:00-16:00) $200{\mu}g{\cdot}kg^{-1}$ 처리하였다. 대조구를 설정하고 광합성률, 항산화 효소활성, 해부학적 특성(기공, 플라스토글로블리의 크기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존처리 후 측정된 순광합성량은 두 식물 종에서 감소하였고 호흡률은 증가하였다. 오존처리 후 비비추의 경우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린초와 비비추는 황화, 백화 및 반점 등의 전형적인 오존 피해 증상을 나타내었다. 오존 처리후 기린초와 비비추의 단위면적당 기공의 수는 증가하였으며, 기공크기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기오염에 피해 받은 식물에서 관찰 할 수 있는 플라스토글로블리의 수가 기린초와 비비추에 있어 유의성 있게 증가하고 그 직경도 증가하였다.

국내산 맹종죽의 죽령별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hyllostachys pubescens by Age)

  • 전우석;변희섭;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31-240
    • /
    • 2018
  • 대나무는 생장이 빠르고, 벌목주기가 짧으며, 목재와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맹종죽(Phyllostachys pubescens)의 1년생~5년생까지 죽령별로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X선회절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유관속초의 크기는 1년생이 가장 작았으며, 2년생 이후 유사하였다. 수 부분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분포밀도가 높았고, 유관속초의 발달 형태가 뚜렷하게 달랐다. 특히, 1년생 수 부분 유관속 중 세포간극에 인접한 유관속초가 발달 되지 않은 유관속이 드물게 출현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1년생이 가장 짧았으며,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가 수 부분보다 길었다. 유관속의 방사 및 접선방향 폭은 모든 년생에서 접선방향 폭이 더 컸으며, 2년생부터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관 직경 및 내층 두께는 1년생의 값이 가장 작았으며, 도관 직경은 2년생 이후, 내층 두께는 3년생 이후부터 유사한 값을 보였다. 상대결정화도는 모든 년생에서 표피부로 갈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1년생의 값이 가장 낮고, 2~5년생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산 맹종죽은 죽령별로 조직구조에 있어 정성적 및 정량적 차이가 있었으며, 2~5년생의 특성은 비슷한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1년생은 미성숙한 상태이며, 2년생 이상의 대나무는 성숙한 상태로 조직구조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반하(半夏), 생강(生薑), 소반하탕(小半夏湯)의 효과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Pinellia ternata, Zingiber officinale and Sobanhatang on Reflux Esophagitis)

  • 이슬희;백태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34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and compare the effects of Pinellia ternata, Zingiber officinale and Sobanhatang on the reflux esophagitis induced by gastric fundus and pylorus ligation in mice with esomeprazole. Methods: Antioxidant effects were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four different concentration of 0.125, 0.25, 0.5 and $1.0mg/102{\mu}{\ell}$. Zingiber officinale water extract(ZE), Pinellia ternata water extract(PE) and Sobanhatang water extract(SBE) and esomeprazole were treated orally for 14 days before gatric fundus and pylorus ligation. In the histochemistry, changes in suface mucous cells, muscle tissue and connective tissue in gastro esophageal junction(GEJ) and mast cell on the esophageal mucosa were observed. The change of Hemo oxygenase(HO)-1, ghrelin, gastrin and substance P in gastric body tissue wer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hibited concentration dependently increases in ZE, PE, SBE. Z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all concentrations than PE. The gastric surface mucous cells were more in the treated group than in the reflux esophagitis elicited group(GE) in the order of PE, SBE, ZE and esomeprazole treateded group(PT, SBT, ZT, ET). Lower esophageal sphincter muscle damage and intercellular space in the GEJ were less in the treated group than GE. In the esophageal mucosa, the mast cell distribution and the mig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lower in the treateded troup than GE in order to ZT, SBT, PT and ET. The antioxidative enzyme, HO-1 was more in the order of ZT, SBT, control group, PT, ET than in GE. Z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nd SB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T. Ghrelin was found to be higher in ZT, ET, SBT and PT than in GE, and Z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ll other groups except ET. Gastrin showed the highest positivity in GE, and was lower in the order of ET, ZT, SBT, PT, and control group. Substance P was the highest in GE, and was lower in the order of ET, ZT, SBT, PT and control group, and P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ET. Conclusion: ZT, PT and SBT showed superior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ucosal protective effects on mouse reflux esophagitis as compared with ET. In particular, ZE was more effective in antioxidant and gastric motility enhancement, while PE was more effective in mucosal protec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obanhatang is expected to be effective treatment because it has advantages of both drugs and reduces toxicity.

연초의 적심방법이 품질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pping Method on the Quality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이종두;한종구;반유선;이정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0
    • /
    • 1988
  • 본 시험은 연초의 생육작황에 따라서 적심시기와 정도를 두어 처리하였을 때 잎담배의 품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책상조직 및 발달은 적심시기에 따라 발뢰기>개화시>개화만기> 만기 순으로 적심정도에 따라서는 치엽 4매> 치엽 2매> 화뢰 적심 순으로 발달되었다. 2.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적심할 때 끽미에 관련있는 전당/니코틴의 비는 9.0, 9.7로 가강 양호하였으며, 방향성 물질인 석유에텐추출물을 9.9%,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품질에 크게 영향하는 요인은 생태조직과 건조엽중 내용성분으로 생태조직의 구성형질들이 품질에 직접 영향하는 효과를 보면 책상조직 43.2%, 해면조직 26.5%, 조직비 17.7%, 엽후 6.7%, 세포간극율 3.1 %, 엽형지수 2.8% 순이며, 내용성분 형질은 니코틴 40.6%, 전당/니코틴 35.7%, 전당 10.0%, 전질소/니코틴 7.0% 전질소 4.6%, 석유 에텔추출물 2.1% 순으로 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4. 양질엽 생산을 위해서는 수량이 10a당 250∼280kg 생산되는 A급작황에서는 개화만기에 치엽 2매 적심을, 200kg 내외 생산되는 B급작황에서는 개화시 치엽 2매를 붙여 적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내독소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 PLA2의 억제제인 Rutin의 효과 (Effect of PLA2 Inhibitor Rutin on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 김성은;이영만;박원학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1호
    • /
    • pp.31-42
    • /
    • 2004
  • 급성폐손상 중 가장 심한 형태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의 원형으로 사용되는 패혈증 모델에서 $PLA_2$의 억제제로 알려진 flavonoid 계열의 rutin이 폐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봄으로써 ARDS의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 결과 각 group간 폐장의 무게는 내독소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rutin을 전처리한 군은 내독소 투여군과 비교하여 폐장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또, MPO, 폐포세척액(BALF)내 단백함량과 호중구의 수를 측정한 결과, 내독소를 투여한 군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나 rutin을 전처리한 군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관찰에서도 내독소를 투여한 군에서 나타나는 혈관주위의 부종, 폐포강내의 호중구의 축적 및 무기폐, 폐포세포의 괴사와 lamellar body의 공포화 현상과 같은 전반적인 병리학적 소견이 감소하였다. 폐장내 산소기 형성의 관찰 결과, rutin 투여군에서는 내독소 군에 비해 cerrous perhydroxide granules이 감소함으로써 rutin에 의해 산소기의 형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내독소에 의한 급성폐손상은 호중구의 활성화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PLA_2$의 억제제인 rutin을 전처리함으로써 폐장의 손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점은 $PLA_2$가 호중구의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되며, 기존의 사용되어지고 있는 ARDS의 치료법은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본 실험 결과 입증되어진 rutin은 앞으로 ARDS의 효과적인 치료제로써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반면 selenium 용액을 비강점막에 직접 도포한 i.n 실험군에서는 i.p 실험군과 같이 후각점막에서 강한 AMG 반응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응이 기저막내 후각실의 주행을 따라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후각상피에서는 AMG 과립이 지지세포의 세포 상층부에서 관찰되는 분비과립에 국한되는 소견이며, 이곳에서 관찰된 AMG은 과립(silver grains)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반면 세포체 하부에서 관찰된 AMG grains은 주로 용해소체위에서 밀집되어 관찰되었으며, 핵주변부 및 세포사이공간(intercellular space)에서는 AMG grains이 낱개로 구분, 관찰되었다. 한편 i.n 실험군에서 관찰된 후각점막의 전반적인 구조가 손상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지세포의 위쪽에서는 전자밀도가 높고 간상의 crystalloid structure가 다수 관찰되었고, 이들 구조에 다수의 AMG 과립이 붙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랫드 후각점막에 존재하는 zinc는 지지세포의 분비과립과 후각세포의 축삭다발인 후각실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zinc가 후각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후각기능과 zinc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점막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과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염분에 대한 콩의 생리학적 반응지표 연구 (Parameter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Soybean (Glycine max Merr.) to Salinity)

  • 천상욱;박종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5-191
    • /
    • 2003
  • 본 연구는 "광안콩"의 20일 묘를 공시하여 $0{\sim}90\;mM$의 염분조건에서 콩의 생리학적 피해정도를 산정하고 내염성 품종선발과 육종계획에 요구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정상적인 관수를 실시한 대조구에 비해 염분 처리에서 $15{\sim}60%$ 감소하였고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염분 처리에 따른 광합성과 호흡량은 각각 $28{\sim}48%$$16{\sim}34%$ 감소하였고 $O_2$ 생산 비율보다 $O_2$ 소모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 potential은 정상 잎(-1.5 MPa)에 비해 염분처리에서는 농도별로 -2.13에서 -2.69 MPa로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개화기 염처리에서 대조구 $13.3\;{\mu}g$의 약 $17{\sim}22%$로 감소한 $11.8{\sim}10.4\;{\mu}g$이었으며 증산저항은 $1.08{\sim}1.70\;S/m$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콩 잎의 수분증산 저항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은 잎 내부의 기층저항이 가장 심한 차이를 보였고 무처리에서 45.9 S/m인 반면 염분처리에서는 $53.5{\sim}56.6\;S/m$로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기공저항과 잎 경계면의 저항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무기물 함량은 뿌리보다 앞에서 축적량이 더 많게 나타났으나 $Na^+$만이 뿌리에 더 많이 축적되었고 N, P, $K^+$, $Ca^{2+}$$Mg^{2+}$는 무처리에 비해 오히려 그 축적량이 감소하였다. 염분처리에 따른 콩 잎의 유리 proline은 무처리($10.5\;{\mu}g$) 대비 $1.8{\sim}4.2$배 ($184{\sim}434\;{\mu}g$)로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Nitrate reductase의 활성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농도가 90 mM 염분 처리에서의 증가폭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이었다. 한편 peroxidase 활성 역시 염분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재래 닭 고환 간질세포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The Ultrastructure of Leydig Cells in the Testi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장병귀;태현진;최철환;박영재;양홍현;김남수;박상열;강형섭;박병용;이영훈;안동춘;김인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1-188
    • /
    • 2006
  • 한국 재래 닭에서 부화 후부터 성숙에 이르는 시기까지 고환 발달동안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부화 후 1, 2, 4, 6, 8, 10, 12, 14, 16, 18, 21, 28, 32, 44, 52 및 64주령(n=13마리/일령)의 한국 재래 닭을 이용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재래닭의 고환은 2.5%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전신관류고정하고 조직 처리 과정을 거쳐 Epon-araldite에 포매하였다. 초박절편기를 사용하여 $1{\mu}m$로 절편한 다음 methylene blue로 염색하여 일반적인 조직의 변화상을 관찰하였고 간질세포의 미세구조는 초박 절편을 제작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간질세포내에서 테스토스테론과 연관성이 있는 미세구조인 사립체, 평활형질내세망 및 지방방울의 변화에 따라 간질세포의 발달 유형을 분류하면, 1) 간질세포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고 세포 사이의 공간이 거의 없으며 핵이 간질세포 용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기로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유형과 희박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고, 또한 세포질 내에는 많은 양의 지방방울, 소량의 사립체 및 평활형질내세망을 갖고 있는 시기, 2) 세포질 내에 큰 폭으로 확장된 평활형질내세망, 풍부한 사립체 및 감소된 지방방울을 갖고 있는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랫드 후각점막내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Histochemical Detection of Ionic Zinc in the Rat Olfactory Mucosa: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 남동우;손원재;김성주;김용국;김수진;유윤조;정영길;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2호
    • /
    • pp.145-154
    • /
    • 2003
  • 본 연구는 후각점막에 내재하는 zinc의 분포를 형태학적으로 뚜렷이 보여준 예가 없기에 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한 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이들의 분포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성숙한 수컷 랫드(SD 계통)를 사용하였다. 우선 동물은 전신마취시킨 후 만들어진 selenium 용액 $100{\mu}l$를 복강에 주사하였고(i.p 실험군), 다른 방법으로는 selenium 용액 $100{\mu}l$를 비강 깁숙히 플라스틱관을 삽입한 후 Hamilton 주사기로 한 방울씩 떨어뜨렸다(i.n 실험군). 후각점막내 zinc를 조직화학법으로 동정하기 위해서 zinc 특이성이 높은 AMG법(Danscher, 1985)을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의 동물은 주사 후 2시간에 이르러 3% Glutaraldehyde 고정액으로 관류함으로써 희생시켰다. 고정후 비중격을 포함하여 후각부위를 떼어낸 수 $30{\mu}l$ 두께의 관상절편을 만들었다. AMG 반응이 끝나면 toluene blue (TB)로 대조염색하고, 알코올과 자일렌 등을 이용한 탈수과정 및 청명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전자현미경적 절편을 만들기 위해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한 실험으로 vibratome을 사용하여, $100{\mu}m$ 두께의 가로절편을 만들었고, AMG염색이 끝나면 일반적인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Selenium 용액을 복강에 투여한 i.p 실험군에서는 $30{\mu}m$ 두께의 후각점막의 상층부와 기저부에서 강한 AMG 반응산물(silver grains)이 관찰되었으나 기저막아래 고유판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selenium 용액을 비강점막에 직접 도포한 i.n 실험군에서는 i.p 실험군과 같이 후각점막에서 강한 AMG 반응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응이 기저막내 후각실의 주행을 따라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후각상피에서는 AMG 과립이 지지세포의 세포 상층부에서 관찰되는 분비과립에 국한되는 소견이며, 이곳에서 관찰된 AMG은 과립(silver grains)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반면 세포체 하부에서 관찰된 AMG grains은 주로 용해소체위에서 밀집되어 관찰되었으며, 핵주변부 및 세포사이공간(intercellular space)에서는 AMG grains이 낱개로 구분, 관찰되었다. 한편 i.n 실험군에서 관찰된 후각점막의 전반적인 구조가 손상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지세포의 위쪽에서는 전자밀도가 높고 간상의 crystalloid structure가 다수 관찰되었고, 이들 구조에 다수의 AMG 과립이 붙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랫드 후각점막에 존재하는 zinc는 지지세포의 분비과립과 후각세포의 축삭다발인 후각실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zinc가 후각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후각기능과 zinc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점막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