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ion to have a social welfare job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의 효과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Commit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on the Intention to have a Social welfare Job)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93-40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이 졸업 후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4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442명의 설문조사를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전공만족은 일반 만족과 교과 만족으로, 전공몰입은 정서적 몰입, 행동적 몰입, 지적 몰입 및 시간적 몰입으로 구성하였으며, 사회복지직 취업의도는 예/아니오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자의 62.3%가 졸업 후 사회복지직으로 취업하고자 하였으며, 21.6%는 미결정, 16.1%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은 2.98, 전공몰입은 2.63으로 4점 리커트척도에서 중간값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와 소속 대학에 따라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에 차이가 있으며, 넷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의 두 하위요인 모두, 그리고 전공몰입의 정서적 몰입과 시간적 몰입이 졸업 후 사회복지직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직무 및 조직특성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Social Welf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 강길현;손재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AMOS 16.0)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는지 또는 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을 포함한 시 도에서 민간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총 297부 중 이직의도가 확인된 설문지 25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특성인 직무자율성과 조직특성인 승진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성과 직무불안정, 임금수준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와 사회복지업무의 시스템화, 인적관리의 체계화, 의사소통의 활성화가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anagement of Worker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 Kim, Ky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7-113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anagement of worker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affects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verifie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429 workers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The study shows following results. First, compensation scheme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o conclude, its findings will help to present referenc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 이은진;남석인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233-266
    • /
    • 2017
  • 사회복지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과 높은 이직률 문제는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으나, 의료사회복지사의 이직 문제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의료사회복지사 중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188명의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직무만족을 거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 개선을 위한 대한 조직적, 제도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Individual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multiple commitment)

  • 문영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93-523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심리적 동기, 직무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다중몰입(직무몰입, 경력몰입,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둔 연구로, 자기결정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예측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이용시설, 생활시설, 보건의료 기관, 기타 사회복지 관련 재단 및 협회, 각종 센터, 기관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1,91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671부를 검토하여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97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동기와 직무 특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역할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충동적 경로 모형이 심리적 동기와 직무 특성에 한해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동기와 직무 동기는 다중몰입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반영적 경로 모형이 경력몰입, 직무몰입, 조직몰입 모두에서 지지됨을 알 수 있었다. 다중몰입 요인 중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수는 경력몰입이며 그 다음이 직무몰입, 조직몰입 순으로 나타나, 향후 경력몰입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어야 함을 보여 주었다. 이상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경력관리 방안과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of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Fusion Age)

  • 김정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5-50
    • /
    • 2018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강화와 조직효과성 향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개발역량의 태도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지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가치와 기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와 지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태도와 기술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태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인 가치, 태도, 기술, 지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할 경우, 직무만족이 낮아지거나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정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 아직까지 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이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직무불안, 직무만족, 고객과의 관계가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Assessing the Impacts of Job insecurity, Job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on Intention of Retention of Employees in Social Enterprises)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35-843
    • /
    • 2013
  •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미션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경제적 성과 목표에도 응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인적자원관리 전략이 중요한 역할을 지님을 의미한다. 특히 경쟁력있는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제는 근로자 이직을 낮추는데 달려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직 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직무불안, 직무만족, 고객과의 관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36곳의 사회적기업 여성 근로자 271명으로 삼았고, 이항로짓회귀분석(B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재직 의도는 상당히 긍정적인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직무불안정성은 재직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고객와의 관계는 재직 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근로자의 근속 유지를 위해서는 인적자원 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히고 직무 환경 개선을 위한 관리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Collectivism and Job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 Kim, Hyeong-Gi
    • 융합경영연구
    • /
    • 제4권3호
    • /
    • pp.25-32
    • /
    • 2016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actors that reduce the high turnover r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gainst the backdrop of their poor work environment including long hours, work overload and low wag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ree sub-factors of justice on the collectivistic tendency and those of the job burnou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childcare teachers of th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Total of 283 valid fema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procedural justice and interpersonal justic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llectivistic tendency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The interpersonal justice decreases the job burnout, whereas the distributive justi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job burnout. Also, the collectivistic tendency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The job burnout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ence, increasing the interpersonal justice and the collectivistic tendency could be an option for dealing with the issue.

사회복지사의 근로몰입 유형간 상호관계와 이탈의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study of interrelationships, and effects on withdrawal intention of social workers' commitment forms)

  • 강종수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267-294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근로몰입의 유형 중 직무몰입 조직몰입 경력몰입 관계몰입간의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고, 이들 근로몰입 유형간의 상호관계 그리고 제시된 네 가지 근로몰입 유형이 이직의사와 경력변경의도라는 이탈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한 것으로, 부산 경남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417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의 근로몰입 유형은 서로 구별되는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몰입유형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가 직무에 몰입할수록 근무하는 조직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 그리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몰입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몰입유형 중 직무몰입과 조직몰입 그리고 경력몰입은 이직의사에 그리고 경력몰입과 관계몰입은 경력변경의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몰입 외에 다양한 유형의 근로몰입이 존재함을 이해하고 동시에 여러 몰입유형을 높이기 위한 또는 개별적 몰입유형만을 높이기 위한 차별적 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Public Social Welfare Officers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

  • 정규형;류주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37-344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노원 구정연구단에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복지 업무 담당 인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노원구 19개 동주민센터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갈등은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다. 소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