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ake history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7초

춘천지역 중년과 노인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및 인지율 관련 요인: 한림노년연구(HAS)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among Middle Aged Adult and Elderly in Chuncheon : Hallym Aging Study(HAS))

  • 정진영;최용준;장숙랑;홍경순;최영호;최문기;김동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4호
    • /
    • pp.305-312
    • /
    • 2007
  • Objectives : To estimate th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 as well as to identify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for hypertension.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82 adults (men 206, women 276), aged 45 or over,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living in Chuncheon. The awareness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among those with hypertension who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by a physician. The treatment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who had us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their hypertension. The control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who kept blood pressure normal, among those who had been treated for their hypertensio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using SAS VER 8.1. Results : Th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 were 55,8% (53.4% for men; 57.6% for women), 89.6% (87,2% for men; 91.2% for women), and 34.4% (28.1 % for men; 38.6% for women), respectively.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included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odds ratio[OR], 5.63; 95% confidence interval[95% CI]=1.53-20.72), smoking([Ex; OR 0.38, 95% CI= 0.15-0.96)], [Current; OR 0.28, 95% CI=0.10-0.80]), and alcohol intake ([Ex; OR 3.22, 95% CI 1.03-10.09],[Current; OR 3.36, 95% CI=1.30-8.71]) for men, and education(OR 2.23, 95% CI=1.10-4.53), body mass index(OR 2.72, 95% CI=1.13-6.53), and self-rated health(OR 2.38, 95% CI=1.07-5.30) for women. Conclusions : The awareness rate of hypertension among the middle aged and elderly in Chuncheon was 55.8%. The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were gender specific.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putative reasons for these gender differences.

한.양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피부과치료 한약복용 환자를 중심으로- (Effects of Liver Function in Blood of Drug Users(Herbal and Western) in Koreans)

  • 이정석;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74
    • /
    • 2004
  • We have conducted questionnaire and measured serum liver function tests on 153 patients whom have received a treatment at a local Oriental medicine clinic in Seoul from Sept. 1, 2002 to Dec. 31, 2002.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groups of control(10), decoction group(41), herbal group(5), western medicine group(45), and the group taking both herbal and western medicines(55) concurrently or separate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se treatment methods can affect the liver function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le(l03 individuals) living in large urban area, with drinking habit, highly educated, and with normal marriage. For the treatment history, 45 individuals received western medicine treatment(28.85%), 46 with Oriental medicine (29.49%), and 55 patients(35.26%) experienced both forms of treatment. 2) Measuring SD of serum liver functions for all the research subjects, T-protein was 6.95(0.73)g/dl, 4.07(0.51)g/dl for albumin, 0.44(0.19)mg/dl for T-bilirubin, 23.18(18.68)U/L for ALT, 27.42(27.43)U/L for AST, and 22l.27(64.58)mg/dl for LDH. 3) Among the research subjects with the liver functions outside of normal range were 0.64% for T-protein, 3.21% for T-bilirubin and ALT, 36.62% for AST, 0.64% for LDH, and none for Albumin. 4) Confusion variables which may affect the liver functions such as age, smoking, drinking, occupation, and residence were eliminated in calcula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witness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5) In measuring affects of treatment duration on the liver function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shown in multiple regression's ,${\beta}$(SE) values. 6) The values of odd ratio in the experimen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were in the range of $0.26(0.22){\sim}0.62(1.23)$. but T-bilirubin of the group receiving bo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was 1.47(1.90) which showed statistical increase(p<0.001). 7) Factors affecting the liver functions are drinking volume per round duration of alcohol intake, western medicine treatment, gender, and age difference caused significant influences. 8) 57 individuals with serum liver functions out of normal range were mostly male, living in large urban area, median age of 38.89, with normal marriage, highly educated drinking less than once a week with less than 2 bottles per round, and with prior treatment in either western or Oriental medicine. Summarizing above results, we can carefully deduce that taking herbal medicine (both decoction and pills) or western medicine doesn't cause much affect in the liver functions. But taking two forms of medication simultaneously or altering dosage affect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bilirubin level, thus one needs to take precaution when taking both.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this field to verify this evidence.

  • PDF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Urban Development and Social Circulation of Water in Daegu)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96
    • /
    • 2013
  • 물은 단순히 자연 자체라기보다 사회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물에 관한 연구는 자연/사회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근대 과학적 접근에서 '사회적 자연'으로 이해하는 구성주의적 및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특히 도시의 물은 자연적 순환과는 다른 인위적 생산-유통-소비-배출-처리 과정, 즉 사회적 순환과정을 통해 흐른다. 도시에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도시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발전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연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고 도시 물의 사회적 순환을 개념화하고, 대구시를 사례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 즉 물의 근대화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구시의 물의 근대화 과정에 따른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4 단계, 물의 근대화 도입 시기, 물의 본격적 근대화 시기, 물의 성찰적 근대화 시기, 물의 신자유주의화 시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대구시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의 발달은 도시의 공간적 팽창과 도시적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면서 도시 인구의 증가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현재 대구의 물의 사회적 순환체계는 취수장 이전, 정수시설의 과잉, 수돗물에 대한 불신, 물 이용의 불평등, 물 요금의 현실화, 도시 내 공단 폐수, 물 환경의 창조적 파괴, 물의 민영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 PDF

Changes in the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according to high-protein snacks for diabetic patients

  • Yang, Junyoung;Park, Hae Jin;Hwang, Wonsun;Kim, Tae Ho;Kim, Hyeonmok;Oh, Jieun;Cho, Mi 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1호
    • /
    • pp.54-65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ealthy, appetizing high-protein snacks with enhanced isolated soy protein for diabetic patients and determine the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after being consumed by these patients. MATERIALS/METHODS: Thirty adult patients aged between 30 and 75 years, with a ≤ 10-year history of type 2 diabetes and hemoglobin A1c of < 7.5%,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made 3 clinical visits at one-week intervals. The control group consumed 50 g carbohydrates (white bread), whereas the test groups consumed high-protein grain (HP_G) or high-protein chocolate (HP_C) after an 8-hrs fast. Blood (2 ㎤) was drawn at 15, 30, 45, 60, 90, and 120 min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to analyze the blood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RESULTS: Compared to the commercial snacks, the developed high-protein snacks had below-average calorie, carbohydrate, and fat content and a 2.5-fold higher protein content. In diabetic patients who consumed these snacks,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d between 15 min and 2 h after consumption, which was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ime taken for the blood glucose to increase in the patients who consumed the control food product (P < 0.001).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t 45 min after consumption (P < 0.05), showing that the high-protein snacks did not increase the blood glucose levels rapidly. The 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 (iAUC), which indicated the degree of blood sugar and insulin elevation after food intake,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the groups given the 2 developed snacks (P < 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ulin secre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suggest that high-protein snacks are potential convenient sources of high-quality protein and serve as a healthier alternative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may have limited snack product choices. Such snacks may also provide balanced nutrition to pre-diabetic and obese individuals.

Bone mineral dens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ged 50 years or older in men 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 Cho, Jeong-Ran;Chung, Dong 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97-207
    • /
    • 2021
  • 2형 당뇨병환자에서 골밀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여러 역학조사 연구에 의하면 2형 당뇨병 환자에서 골밀도 상태와 무관하게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로부터 얻은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 자료를 이용하여 2형 당뇨병이 있는 50세 이상 남성 및 폐경후여성에서 골밀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약물을 사용한 경우 및 당뇨병 이외에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및 악성질환 등이 있는 대상은 제외하였다. 신체계측, 설문조사, 혈액검사 등과 함께 이중에너지흡수방사선을 이용하여 요추 및 대퇴골에서 측정한 골밀도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령, 체질량지수, 월 가구수입, 교육수준, 신체활동, 1일 칼슘섭취량,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포함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2형 당뇨병이 있는 50세 이상 남성 및 폐경후여성 모두에서 당뇨병이 없는 군과 비교하여 요추골밀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subjects aged 50 years or older in men 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 Cho, J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209-220
    • /
    • 2021
  • 지방제외체질량(lean mass) 및 지방량(fat mass)과 같은 체성분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로부터 얻은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 자료를 이용하여 50세 이상 남성(N=2,139) 및 폐경후여성(N=2,193)에서 체성분과 골밀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약물을 사용한 경우 및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및 악성질환 등이 있는 대상은 제외하였다. 신체계측, 설문조사, 혈액검사 등과 함께 이중에너지흡수방사선을 이용하여 요추 및 대퇴골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총지방제외체질량(TLM; total lean mass), 총지방량(TFM; total fat mass), 몸통지방량(TrFM; truncal fat mass) 등을 측정하였다. 체성분 지표들과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령, 체질량지수, 월 가구수입, 교육수준, 신체활동, 1일 칼슘섭취량,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포함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TLM이 증가할수록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LM의 가장 낮은 사분위수에 해당하는 군에서 요추 및 대퇴골 골밀도는 남녀 모두에서 다른 사분위수에 해당하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TrFM은 위의 교란요인들을 보정한 이후 남성에서는 대퇴골전체 골밀도와 여성에서는 대퇴골경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TLM은 50세 이상 남성 및 폐경후여성에서 골밀도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lancing Bleeding Risk and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in Elderly Chronic Subdural Hematoma Patients Undergoing Burr Hole Trephination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 Jin Eun;Stephen Ahn;Min Ho Lee;Jin-Gyu Choi;Jae-Sung Park;Chul Bum Cho;Young Il K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726-734
    • /
    • 2023
  • Objective :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patients using antithrombotic agents (AT) at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re increasing. The authors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utcome by targeting patients using AT and to establish a desirable treatment strategy.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462 patients who underwent burr hole trephination (BHT) surgery for CSDH at five hospitals from March 2010 to June 2021. Outcomes included incidence of postoperative acute bleeding, recurrence rate, and morbidity or mortality rat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based on their history of AT use : no AT. Only antiplatelet agents (AP), only anticoagulants (AC), both of AP and AC. In addition, a concurren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longside our cohort study. Results : Of 462 patients, 119 (119/462, 25.76%) were using AT. AP prescription did not significantly delay surgery (p=0.318), but AC prescription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ime interval from admission to operation (p=0.048). After BHT, AP or AC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iod required for an in-dwelling drain (p=0.026 and p=0.037). The use of AC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cute bleeding (p=0.044), while the use of AP was not (p=0.808). Use of AP or AC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SDH recurrence (p=0.517 and p=1.000) or reoperation (p=0.924 and p=1.000). Morbidity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use of either AP or AC (p=0.795 and p=0.557,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rtality for use of these medications (p=0.470 and p=1.000). Conclusion : Elderly CSDH patients may benefit from maintenance of AT therapy during BHT due to reduced thromboembolic risk. However, the use of AC necessitates individualized due to potential postoperative bleeding. Careful post-operative monitoring could mitigate prognosis and recurrence impacts.

드론 Photogrammetry 기반 댐 시설물 안전점검 적용성 연구 (A Research on Applicability of Drone Photogrammetry for Dam Safety Inspection)

  • 박동순;유진일;유호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0-39
    • /
    • 2023
  • 국가의 중요 방재시설인 대형 댐 시설물은 노후화와 홍수, 지진 등의 위험으로 디지털 전환 기술을 적용한 보다 나은 댐 안전점검 및 진단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인력에 의한 육안 안전점검 방식은 인력 접근의 어려움과 고소작업의 위험성, 노하우 중심의 점검에서 오는 데이터의 신뢰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개 대규모 댐 시설물을 대상으로 드론 photogrammetry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기반 댐 안전점검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지속적 활용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댐 높이 42 m 및 99.9 m의 댐들에 대해 수면 및 전자기장 간섭, 심한 고저차에도 불구하고 평면적 더블그리드 및 수동 촬영 방식으로 GSD 2.5 cm/pixel 이내의 양호한 3D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3D 메쉬 모델, 정사영상, 수치표면모형으로 as-built 조건의 종단 및 횡단 선형을 손쉽게 추출하여 댐의 변형 모니터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댐 여수로 등 콘크리트 시설물에 대한 디지털 3D 모델로부터 균열 및 손상부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시각화하였으며, 이는 고소작업의 위험성 및 접근 제약 시설의 안전점검에 활용가능하다. 또한 댐의 안전점검 시 외관 조사망도를 3D 디지털 모델 상에서 매핑하는 방법과 손상 정보 이력 관리를 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SYG댐 여수로 안전점검에 대한 투입 노동력과 시간을 실측한 결과, 드론 photogrammetry 방법은 기존 인력 육안점검에 비해 48%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다. 드론 photogrammetry 기반 댐 안전점검 디지털 전환은 업무의 생산성과 데이터 신뢰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통천에 서식하는 갈문망둑 Rhinogobius giurinu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Rhinogobius giurinus in Botongcheon Stream)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0-229
    • /
    • 2024
  • 본 연구는 보통천에 서식하는 갈문망둑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근연종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난의 크기(장경×단경)는 평균 3.46×1.17 mm (n=30)였다. 수온 22.5±1℃에서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213시간 30분이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2.34±0.05 mm (n=30)로 입과 항문이 열리지 않았고 근절 수는 23~25개였다. 부화 후 3일째 전기자어는 2.70±0.09 mm (n=30)로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먹이 섭취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22일째 중기자어는 5.26±0.16 mm (n=30)로 척추 말단 끝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져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48일째 후기자어는 11.1±0.53 mm (n=30)로 척추 말단 끝부분이 위쪽 45°로 완전히 휘어져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60일째 치어는 14.9±0.69 mm (n=30)로 각 지느러미별 기조 수는 제1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8~10개, 뒷지느러미 9개, 꼬리지느러미 15개, 배지느러미 5개로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가 되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후기자어 시기에 흑색소포는 아가미 뚜껑 위쪽, 등 쪽과 몸통에 침착한 점, 황색소포는 머리와 몸통에 침착한 점에서 다른 망둑어과 어류의 후기자어들과 차이를 보였다.

대구 S병원 뇌졸중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Attitude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in Daegu S Medical Center)

  • 이승아;전선민;김혜진;도경민;정유미;최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445
    • /
    • 2008
  • 뇌졸중은 그 발병 자체가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과 후유증을 야기하여 환자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남기고 장기적인 재활치료를 요구하며 환자 가족들에게까지 정신적 경제적 고통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대구 S병원의 뇌졸중 환자들의 생활 패턴 및 식행동 특성을 분석하고 뇌졸중을 일으키는 생활 습관 및 식생활 관련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지역민의 뇌졸중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 특성, 생활 습관 및 식태도 등의 내용을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와 직접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005년 2월부터 8월까지 뇌졸중으로 대구 S병원의 신경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신경외과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를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환자군의 선별은 임상적 증상에 의해 신경외과 의사의 진단을 받은 30세 이상의 경우로 국한하였다. 환자군 36명에 대한 정상 대조군은 동일병원에 뇌졸중 질환이 없고, 환자와 유사한 조건의 건강한 환자 보호자 및 원내 직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군에서 체질량 질수(BMI)는 건강인과 비슷하였으나 WHR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뇌졸중 환자의 동반질병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위장질환 순으로 높게 나타나, 고혈압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여주는 위험요인으로 사료된다. 3) 뇌졸중 환자는 과거 흡연가와 현재 흡연가의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흡연이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위험 요인으로 사료된다. 4) 주당 음주 횟수에 관한 조사 결과,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음주횟수 및 음주량 증가가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사료된다. 5) 뇌졸중 환자군의 식욕을 돋우는 입맛으로 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뇌졸중 동반 질병인 고혈압과 짜게 먹는 식습관이 뇌졸중 발병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위험요인은 복부 비만, 흡연, 음주, 운동 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올바른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을 유지하고 다양한 식품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뇌졸중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뇌졸중의 위험인자 관리를 위한 식이요법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식이요법 교육 프로그램과 실천이 절실히 필요하다. 뇌졸중은 발병 후 치료하기보다는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여러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뇌졸중은 다른 질환과 달리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고, 위험인자를 관리하느냐에 따라 예방이 가능하며, 또 이미 발병한 환자의 경우 재발 방지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범국민적 교육을 통해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한국인 사망률의 수위를 차지하는 뇌졸중의 인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획일적 영양교육보다 환자 개인에 적합한 개별적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