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oluble dietary fiber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1초

보리가루에서 분리한 ${\beta}-Glucan$의 생리적 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Glucan$ Isolated from Barley)

  • 오희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89-695
    • /
    • 1996
  •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추출, 정제하여 그의 소화관내 생리적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투막을 이용한 in vitro실험을 수행하였다. 보리가루로부터 ${\beta}-Glucan$을 6.2%의 수율로 정제하였으며 그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총 식이섬유 81.6%, 수용성 식이섬유 72.9%, 불용성 식이섬유 8.7%, 수분 8.5%, 단백질 2.5%, 회분 7.4%였다. ${\beta}-Glucan$ 제품의 수분보유력은 1g의 건조물당 6g이었다. 투석막을 이용하여 ${\beta}-Glucan$ 제품의 glucose 흡수 지연효과를 살펴 본 결과 ${\beta}-Glucan$을 3% 첨가한 경우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glucose retardation index가 13.5%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감소하여 투석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ile acid 흡수 지연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투석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bile acid retardation index는 ${\beta}-Glucan$이 1, 3, 5% 첨가된 경우 각각 3, 12, 18% 수준으로 같은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glucose 흡수 지연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 PDF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 정현철;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7-1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유색보리와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 및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9.35%, 조단백은 9.37%, 조지방은 1.64%, 조회분은 2.96%로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21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4.91 g/100 g, 총 식이섬유 함량은 8.12 g/100 g으로 나타났고, ${\beta}$-glucan 함량은 49.31 mg/g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56.76%로 나타났고, 총 페놀 함량은 234.34 mg/100g으로 나타났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lveogram 측정 결과 overpressure P값, extensibility L값, swelling index G값, deformation energy W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breakdown P-H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 L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색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texture 경도,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호도는 맛, 부드러움, 씹힘성은 10%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10% 첨가군이 5.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색(紫色) 고구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Ipomoea batata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9-825
    • /
    • 1995
  • 고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색고구마의 식량자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히고자 엷은 황색고구마와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2.01%, 무질소물이 25.73%였으며, 조지방이 0.25%로 엷은 황색 고구마보다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구성은 2품종 모두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val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자색고구마일 경우 함유황 아미노산이 제1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지방산의 조성은 2품종 모두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80%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더 높았다. 2품종의 고구마 모두 탄수화물 함량은 75%이상이었고 자색고구마의 중성당 함량은 67.22%로 이중 대부분은 glucose였다. 그리고 uronic acid는 11.88%, starch 59.42%였으며, 특히 자색고구마의 유리당은 엷은 황색고구마의 1/3 정도로서 고구마 고유의 단맛이 적었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함량은 2품종 모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은 자색고구마가 63.4mg%, 엷은 황색고구마가 48.7mg%였다. 다음 무기질 구성원소로는 자색고구마일 경우 K, Mg, Ca, Na 등이 주성분이었고, 그외 Fe, Mn, Zn, Cu, Al 등이 확인되었다. 총식이섬유는 자색고구마가 13.43%로서, 이중 수용성식이섬유가 7.74%, 불용성식이섬유는 5.69%였으며 또 엷은 황색 고구마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9.79%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비슷하였다.

  • PDF

꾸지뽕나무 열매의 숙기별 식품학적 특성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 정기태;주인옥;최소라;유동현;노재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0-335
    • /
    • 2013
  •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 열매의 숙기에 따른 식품학적 가치를 분석하여 가공이용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과즙 pH는 4.2~5.1이고 총산은 1.4~2.0%이며 환원당은 5.4~8.6%이었다. 숙기가 진전됨에 따라 총산과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다. 꾸지뽕나무 열매의 일반성분을 보면 수분은 76.0~80.1%, 조단백질 2.2~3.5%, 조지방 1.7~2.9%, 회분 0.8~1.2%, 탄수화물 14.5~16.4% 이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적숙과와 과숙과에서 fructose가 glucose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malic acid와 succinic acid가 성숙시기에 관계없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은 Ca, Fe, K, Mg, Na, P 등이 검출되었고 K 함량이 836~1207 mg%로 가장 높았다. 비타민 C함량은 127.5~149.2 mg%이었으며 총 식이섬유함량은 22.7~38.7%이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월등히 많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9~19.7mg%와 40.9~48.2mg%이었다.

Comparative energy content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arley obtained from diverse sources fed to growing pigs

  • Wang, Hong Liang;Shi, Meng;Xu, Xiao;Ma, Xiao Kang;Liu, Ling;Piao, Xiang Sh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99-1005
    • /
    • 2017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as well as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in barley grains obtained from Australia, France or Canada. Methods: In Exp. 1, 18 growing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31.5{\pm}3.2kg$) were individually placed in stainless-steel metabolism crates ($1.4{\times}0.7{\times}0.6m$) and randomly allotted to 1 of 3 test diets. In Exp. 2, eight crossbred pigs ($30.9{\pm}1.8kg$) were allotted to a replicate $3{\times}4$ Youden Square designed experiment with three periods and four diets. Two pigs received each diet during each test period. The diets included one nitrogen-free diet and three test diets. Results: The relative amounts of gross energy (GE), CP, and all AA in the Canadian barley were higher than those in Australian and French barley while higher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total dietary fiber, insoluble dietary fiber and ${\beta}-glucan$ as well as lower concentrations of GE and ether extract were observed in the French barley compared with the other two barley sources. The DE and ME as well as the SID of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in Canadian barley were higher (p<0.05) than those in French barley but did not differ from Australian barley. Conclusion: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content and the SID and AID of AA were observed among barley sources obtained from three countries. The feeding value of barley from Canada and Australia was superior to barley obtained from France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in developing feeding systems for growing pigs where imported grains are used.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Medicines on Bacterial Species from Soybean Curd Residue

  • Kim, Seong-Sun;Jin, Yu-Mi;Jeon, Yong-Deok;Jin, Jong-Si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2-102
    • /
    • 2019
  • Soybean curd residue (SCR), known as a major waste product of soybean processing, is the water-insoluble fraction which is removed by filtration during soymilk production. For these reasons, SCR was usually considered as food waste. SCR might have a good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value-added processing and utilization. SCR contains high-quality protein and consists of a good source of nutrients, including protein, oil, dietary fiber, minerals, along with un-specified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Also, SCR might be a potential source of low cost protein for human consumption. However, SCR could be a source of bacterial contamination when during food processing.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capacity of natural product through detecting relationship between SCR and microbial. We isolated five bacterial strains from SCR and elucidated antibacterial activity of nature medicines to extend storage capacity of food made with SCR. Thus, the extract which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in Corynebacterium calloonae and Raoultella amithinolytica is a combination of seven kinds of extracts: Glycyrrhiza uralensis, Cudrania tricuspidata, Salvia miltiorrhiza Bunge, blueberry, Acorus gramineus, Ginkgo biloba L., Camellia sinen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es could be used for extension of storage capacity in SCR-contained food.

  • PDF

품종별 감피의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 김숙경;임정현;김영찬;김미연;이병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0-76
    • /
    • 2005
  • 곶감 원료용 떫은감(상주둥시, 고종시, 월하시, 청도반시, 함안수시, 평핵무, 횡야)의 과피로부터 유용성분 및 카로티노이드, 총페놀 등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피의 일반성분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품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 되었으며, $Myristic\;acid(C_{14:0}),\;palmitic\;acid(C_{16:0}),\;palmitoleic\;acid(C_{16:1})\;oleic\;acid(C_{18:1})$$linolenic\;acid(C_{18:3})$가 주된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44.84-371.45 mg/100 g이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69-28.31 mg/100 g이었다. 감피의 식이섬유중 불용성 식이섬유가 34.89-50.76 g/100 g으로 가용성 식이섬유(2.44-7.09 g/100 g)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retinol equivalent(R.E.)은 20.02-60.60 mg/100 g이었으며, 비타민 C는 24.69-106.01 mg/100 g으로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상주둥시가 340.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44.07-196.98 mg/100 g으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피는 카로티노이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 등 유용성분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Nutritive Value of Urea Treated Wheat Straw Ensiled with or without Corn Steep Liquor for Lactating Nili-ravi Buffaloes

  • Nisa, Mahr-un;Sarwar, M.;Khan, M. Ajm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6호
    • /
    • pp.825-829
    • /
    • 2004
  • Influence of different levels of corn steep liquor (CSL) on chemical composition of urea treated wheat straw (UTWS) and its dietary effect on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were studied. The 5% UTWS was ensiled with 0, 3, 6 and 9% CSL on dry matter (DM) basis. Total nitrogen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of UTWS ensiled with 0, 3, 6 and 9% CSL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CSL. Increase in NDF content was due to increased neutral detergent insoluble nitrogen content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35% UTWS ensiled without CSL (control), 45 (WS45), 55 (WS55) and 65% (WS65) UTWS ensiled with 9% CSL, respectively. Dry matt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takes by lactating buffaloes fed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UTWS ensiled with or without CSL remained similar across all treatments. However, DM, NDF and ADF intakes as a percent of body weight and digestible DM, NDF and ADF intakes were higher in animals fed WS65 diet compared to those fed other diets. Apparent DM, crude protein (CP), NDF and ADF digestibilities were higher in diets containing UTWS ensiled with CSL compared to control. These differences may be attributed to higher rates of degradability of UTWS ensiled with 9% CSL than that ensiled without CSL. The 4% fat corrected milk and CP were statistically higher with WS65 diet compared to other diets. Percent milk fat, solid not fat and total solid remained unchanged across all treatments.

분쇄도 및 로스팅 조건이 수프리모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remo Coffee according to Grinding and Brewing Conditions)

  • 강난기;민관식;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6
    • /
    • 2015
  •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한 수프리모 커피 추출물의 일반성분, pH, 당도, 색도 및 미네랄 조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감소하였고, 탄수화물은 강배전 후 감소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강배전 후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높아졌고, 당도와 총 당 함량은 배전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생두는 강배전할수록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약배전에서 높고, 강배전에서 낮아졌다. 배전도가 클수록 L값, a값, b값은 낮아지고 분쇄도가 클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 b 값은 배전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의 Ca, Fe, K, Na, P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약배전 약분쇄 시 가장 높아 다른 배전 조건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강배전 약분쇄 4.25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약배전 약분쇄 63.49 g/100 g으로 가장 높아 배전 조건에 따라 식이섬유소 함량이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 중에 특히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전도와 분쇄도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한 수프리모 커피의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다. 특히 수프리모 커피의 생두는 휘발성을 갖는 유기산인 acetic acid가 높았고, 배전강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 처리한 수프리모 커피는 fumar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커피 품종에 따라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면 다양한 이화학적인 특성을 지닌 커피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꽃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Added with Sparassis crispa Powder)

  • 장우혁;유영복;김병희;배송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88-199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한 꽃송이버섯을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꽃송이버섯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서 1~8% 수준으로 첨가하여 케이크를 제조하고 버섯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반죽의 품질특성(pH, 비중, 점도)과 케이크의 품질특성(무게, 부피, 비용적, 굽기 손실률, 색도, 물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꽃송이버섯 분말을 2% 이하로 첨가한 반죽은 대조군과 유사한 품질특성을 나타내었다. 꽃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부피, 비용적, 굽기 손실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케이크 껍질과 내부의 색상 모두 어두워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꽃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케이크의 물성 중 경도, 검성, 씹힘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중 경도 변화도 적었다. 관능검사 결과 꽃송이버섯 분말을 2% 이하로 첨가한 케이크는 꽃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케이크보다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4% 이상에서는 케이크의 기호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꽃송이버섯 분말 첨가 옐로우레이어 케이크의 제조 시 꽃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은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