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er-directednes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여성의 가치관 변화에 관한 연구 -화장품과 의류상품 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lue Changes for the Korean Women in 1977~1998 -A Content Analysis of Print Ads-)

  • 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73-782
    • /
    • 200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changes in Korean women by analyzing the ads of womens magazines. The contents of ad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values: general and consumption values. The general values, composed of inner-directedness and outer-directrdness, might predict consumer behavior in general. The consumption values, utilitarians and hedonic, were expected to affect the consumer purchasing attitude to a specific product. Factors affecting the cultural values were per capita income and womens social status. Total 2969 illustrated ads with verbal theme from 32 Korean womens magazines were used. The content analysis,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were done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ner-directedness was dominant general value in Korean womens culture and increased over time. Younger consumers were more inner-directed than older ones were, and inner-directed values increased with income growth. For the consumption values, utilitarian values were higher than hedonic ones and went up over time. For the product types, utilitarian ads were frequent in cosmetics while hedonic ads were high for apparels. Those results implied that Korean womens culture became more inner-directed with increased income. Also consumption values were likely to differ between product groups. Per capita income was shown to increase inner-directedness while womens social status was to increase outer-directedness.

  • PDF

노래기반 지지적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Song-Based Supportive Music Psychotherapy to Improve Resil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Adolescents)

  • 이지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50
    • /
    • 2020
  • 본 연구는 노래기반 지지적 음악심리치료를 경험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 변화 및 그 내용을 탐구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3명의 북한이탈청소년을 대상으로 주 2회, 회기 당 60분씩 총 7회기의 프로그램이 그룹세션으로 시행되었다. 노래기반 지지적 음악심리치료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의 내적 하위요인인 '강인성'과 '목표 의식' 강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 변화 확인을 위해 사전·사후검사에 북한이탈청소년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했다. 또한 적응유연성에 있어 경험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중재 동안 나타난 참여자들의 음악적·비음악적 반응을 기록하고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적응유연성 점수는 모두 증가하였고, 중재 내에서 적응유연성과 관련한 참여자들의 긍정적인 음악적·비음악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래기반 지지적 접근의 음악심리치료가 북한이탈청소년이 지각하지 못했던 지지자원의 인식을 도움으로써 심리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남한적응을 위한 적응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