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land in South Korea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3초

갯녹음 해역에 해중림 조성을 한 다시마의 생장과 성숙 (Growth and Maturation of Laminaria japonica Transplanted for Seaforest Construction on Barren Ground)

  • 김영대;홍정표;송홍인;전창영;김수경;손용수;한형균;김동삼;김진희;김명래;공용근;김대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23-331
    • /
    • 2007
  • Barren ground is an abnormal phenomenon in coastal ecosystems where seaweeds are destroyed and largely replaced by coralline algae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components. To restore the seaweed forest, we attempted reconstruction in an area of Samcheok, Korea, where barrenness is extensive. We developed two methods of seaforest construction underwater longline and seed transplantation for the brown seaweed Laminaria japonica, a fast-growing edible seaweed. The blade length of L. japonica attached to an underwater long line was $93.9{\pm}38.2cm$ and blade weight $7.6{\pm}2.1g$ in February 2004. Seaweed size declined after August 2004.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using the transplantation method with maxima of $179.3{\pm}40.3cm\;and\;14.9{\pm}3.2g$ for blade length and weight, respectively in July 2004. The transplanted seaweeds matured in October as did a wild pop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ansplanted seaweed acclimate to new environments.

국내 저주파수 무작위 지진잡음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ow-frequency Ambient Seismic Noise in South Korea)

  • 박이슬;김기영;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9권2호
    • /
    • pp.67-75
    • /
    • 2016
  • 저주파 (${\leq}5Hz$) 무작위 지진잡음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국내 지표 가속도 관측소에서 2014년도 1년간 기록된 자료를 저주파(< 1 Hz)와 고주파(${\geq}1Hz$) 성분으로 분리한 후, 평균제곱근 진폭과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계산하였다. 지진잡음은 주로 섬과 해안가 관측소에서 크게 기록되었으며, 고주파 성분은 내륙의 대도시 지역에서도 큰 진폭으로 관찰되었다. 고주파 성분은 야간시간대보다 주간시간대에 약 34% 크고, 일요일 및 명절연휴에는 평일보다 감소하여 인간 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저주파 성분은 일변화 및 주간변화가 뚜렷하지 않지만, 겨울철에 크게 기록되어 계절별 차이를 보인다. 유의파고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바다 등 주로 자연적 기작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저주파 성분의 진폭은 태풍 중심까지의 거리에 따라 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며, 지수 -0.76은 표면파뿐만 아니라 실체파 성분도 함께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파워 스펙트럼 밀도의 정곡 주파수는 이중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0.34 Hz 정도로, 뚜렷한 시간적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 - 상록활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Korea( I ) - Distribution of the Evergreen Broad-laved Forests and Category of Degraded Levels -)

  • 박석곤;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9-320
    • /
    • 2002
  • 대부분 훼손된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보전실태 파악 및 복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상록활엽수림 분포와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하고,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기존 문헌과 현존식생도를 토대로 파악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10,285ha이었다 난온대 지역인 남해안과 내륙일대 등의 32개 지역에서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한 결과 상록활엽수림은 26개 유형, 준상록활엽수림은 13개 유형, 낙엽활엽수림은 9개 유형, 상록침엽수림은 4개 유형, 총 52개 산림식생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난온대 수종의 상대우점치와 수종 수에따라 훼손등급을 8개 등급, 14개 세부훼손등급으로 세분하여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 정윤재;김경섭;박인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3
    • /
    • 2021
  •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aring Plant Species Diversity of Mountainous Deserts - Successes and Pitfalls

  • Van Etten, Eddie J.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79-86
    • /
    • 2004
  • An extensive study of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mersley Ranges, a mountainous desert area of north-west Australia, facilitated the comparis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measures with mountainous deserts of other parts of the world. Alpha diversity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species co-existing at local scales and was found to average 18 species per 0.1 ha for the Hamersley Ranges. This was found to be similar to seven other mountainous deser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and southern Africa. Variation in alpha diversity between these deserts was found to considerably lower than within deserts, suggesting that local processes control species richness at local scales. Beta diversity, defined here as turnover in species composition at various spatial scales, can be measured in many ways. For the Hamersley Ranges, Wilson's β ranged from 1.2 to 1.6 for five sites along a topographic gradient, whereas Whittaker's β between different plant communities was found to average 0.93. Comparable data was not found for other desert areas, but comparisons to non-desert areas suggest beta diversity within landscapes is relatively high and is likely to reflect the considerable landform heterogeneity of the Hamersley Ranges. 55∼70% of species were shared between different landscapes of the Hamersley Ranges; comparisons to other regions suggest beta diversity at this scale is relatively low. Gamma diversity, the number of species over large spatial extents, was successfully compared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the log-log species - area relationship. This revealed that the northern Sonoran desert has significantly less species than the Nama (inland) Karoo and Hamersley Ranges over medium spatial extents, but species numbers were similar at a regional scale. Several constraints to the valid comparison of species diversity were identified, including lack of standardisation of sampling techniques, the wide range of measures employed, general lack of published data,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spatial scale on most diversity measure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future comparative work are provided.

경주 골굴사 타포니의 발달 특성과 풍화 과정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Weathering Processes of Tafoni at Golgulsa Temple, Gyeongju, South Korea)

  • 신재열;추창오;이진국;박경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8-177
    • /
    • 2017
  • 본 연구는 타포니의 형성 요인 및 발달 과정을 밝히기 위해 경주시 골굴사 일대에 발달하고 있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그 분포 특징을 파악하고 광학현미경 관찰을 포함한 암석학적 분석, 함수율 측정,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무암질 응회암류에 발달하고 있는 연구지역 내의 타포니는 입구의 경사 방향이 사면향과 일치하여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풍향 및 그에 따른 수분 공급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타포니의 초기 발달 과정에 있어서는 층리 및 암석 내 균열을 따라 응회암 내 암편들이 이탈한 지점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풍향에 따라 수분 공급이 충분한 지점들을 중심으로 타포니가 성장하였다. 연구지역 내 나마에 고인 정체수의 수질 분석 결과는 다른 내륙지역에 비해 높은 Na, Cl 용해량을 보이며 이는 인접한 해안으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염류가 암석 풍화 및 타포니 발달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 대해서는 전자현미경 분석 및 지화학적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 PDF

태풍 내습 시 지상 최대풍 추정을 위한 WRF 수치모의 사례 연구 : 태풍 RUSA와 MAEMI를 대상으로 (A Case Study of WRF Simulation for Surface Maximum Wind Speed Estimation When the Typhoon Attack : Typhoons RUSA and MAEMI)

  • 정우식;박종길;김은별;이보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7-533
    • /
    • 2012
  • This study calculated wind speed at the height of 10 m using a disaster prediction model(Florida Public Hurricane Loss Model, FPHLM) that was developed and used in the United States. Using its distributions, a usable information of surface wind wa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when the typhoon attack. The advanced research version of the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as used in this study, and two domains focusing on South Korea were determined through two-way nesting. A horizontal time series and vertical profil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model provided a resonable simulation,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including potential temperature, generally showed the similar distribution with observational data. We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of observations that data taken at 700 hPa and used as input data to calculate wind speed at the height of 10 m for the actual terrain was suitable for the simulation. Using these results, the wind speed at the height of 10 m for the actual terrain was calculated and its distributions were shown. Thus, a stronger wind occurred in coastal areas compared to inland areas showing that coastal areas are more vulnerable to strong winds.

시민과학을 활용한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교란 식물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pplied by Citizen Science in the Wetland Protected Areas(Inland Wetland))

  • 여인애;조광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305-31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교란 식물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민과학연구 방법론을 제안하고 습지보호지역 3개소를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습지보호지역 3개소(광주광역시 장록, 경남 고성 마동호, 고창 운곡습지 습지보호지역)를 대상으로 (a) 일대 거주민 등 시민과학자를 모집하여 2022년 9월 1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생태계교란 식물 4종(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양미역취) 자료를 국제생태정보플랫폼(EcoBank)에 수집하고, (b) 생태계교란 식물의 위치와 밀도(3단계: 개체-개체군-군집)를 수록한 분포밀도 지도제작 후, (c) 생태계교란 식물 제거·관리주체인 환경청과 지자체에 제공하였다. 이후 자료를 제공받은 환경청과 지자체에 (d) 생태계교란 식물 분포지도의 활용처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전국단위의 생태계교란 생물 현장관리 가이드를 보완할 수 있도록 시민과학자를 활용한 모니터링이 지속되어야 하며, 수집된 결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사대상종의 확대(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식물 17종 전체) 및 변화상 파악을 위한 모니터링 시기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민참여에 의한 교란생물 조사·관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 사업 수행 시 시민과학자의 제거사업 참여로 인한 현장관리의 효율성, 시민과학연구모델을 접목한 제거 전후 변화상 추적 등 장기적 관점의 관리효과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관정 데이터와 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하수면 분포 추정 (Estimation of Ground Water Table Using Well Data and GIS Digital Map)

  • 이처경;문추연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3-139
    • /
    • 1999
  • 지하수 자원의 분포 파악과 효과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지하 환경 탐사의 통계적 방법 Kriging을 이용하여 경북 포항시 북부 지역에서 측정된 데이터로(농어촌진흥공사. 1997)부터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와 지하수면의 해발 고도 분포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GIS 사업중 해당 지역의 1:5000 수치 지도(국립지리원)를 이용하였다. 지하수면 깊이는 대체로 7-9.5 m를 나타내며 산봉우리와 농업 용수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서는 9.5 m를 상회하여 나타난다. 지하수면의 고도 분포는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최대 변화율은 동서로 6 km 당 90 m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점에서는 지하수가 하루에 수 m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의 농업기후지대별 이상일조 출현 특성 평가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Abnormal Duration of Sunshine in South Korea)

  • 심교문;김용석;정명표;최인태;민성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3-91
    • /
    • 2014
  • 1973년부터 2010년까지의 38년 동안의 순별 누적 일조시간을 평년값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법으로 이상다조와 이상과조의 출현횟수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38년 동안 이상일조의 출현횟수는 연 평균 1.24회(이상다조 0.55회, 이상과조 0.69회)로 조사되었다. 연도별로는 2001년에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2.37회로 가장 많았고, 이상과조의 출현횟수는 2010년에 1.95회로 가장 많았다. 연대별 이상다조의 연간 출현횟수는 1970년대의 1.26회에서 2000년대의 0.47회로 크게 감소한 반면에, 이상과조의 연간 출현횟수는 1980년대의 0.39회에서 2000년대의 0.98회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농업기후지대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과거 38년 동안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많았던 농업기후지대는 중부내륙지대로서 연 평균 1.35회이었고,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적었던 농업기후지대는 영남내륙산간지대로 0.21회였다. 반면에 과거 38년 동안 이상과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많았던 농업기후지대는 동해안남부지대로 연 평균 0.97회이었고, 이상과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적었던 농업기후지대는 소배산간지대(충주, 보은 등)로 연 평균 0.48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