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burs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돗물 공급 안정화를 위한 광역상수도 관로 안정화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Multi-regional Transmission Main Stabilization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 이재범;이충성;정관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5-404
    • /
    • 2013
  • The risk of pipe-bursting in multi-regional transmission mains consisting of 89 % of singled pipeline is so high that pipeline stabilization project is required such as renewal and replacement, pipe paralleling, emergency ties. Pipeline stabilization projects could be postponed at the step of initial decision-making because effect of this project is intangible benefit like activation of economic, improvement of welfare related to water. This study is to suggest quantified economical feasibility model for intangible benefit presumption to solve above problem. Cost reduction of emergency water supply, leakage, burst restore and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was altered and applied. As a result of economic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estimated benefit and cost under discount rate 5.5 %, service life 40 years,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analyzed with B/C 2.45, NPV 317,700 million won, IRR 9.09 %.

다층구조로 된 고분자 제형의 약물 방출에 대한 모델링 (Modeling for Multilayered Polymer Matrix Drug Delivery Device)

  • 변영로;정서영;김영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9권2호
    • /
    • pp.87-92
    • /
    • 1989
  • The multilayered monolithic type transdermal delivery device has been designed and analyzed by a numerical analysis. The device consists of three layered polymer matrices which posess the different diffusion parameters,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 ideal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which is capable of initial burst and zero order release later on. Numerical modelings were simulated for a dispersed and a dissolved multilayered monolithic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persed multilayered monolithic system could meet the requirements for an ideal transdermal delivery device.

  • PDF

Strategies of Caffeine Loading into Silk Fibroin Film for Weight Loss Patch

  • Yun, Na Kyong;Lee, Ki 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312-316
    • /
    • 2013
  • Caffeine is a thermogenic agent that can be used in weight loss products. In order to achieve a sustained release of caffeine, silk fibroin (SF) film was uses as carri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loading method of caffeine into SF film affected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affeine in the SF film. When caffeine was added directly into SF solution, gelation has been occurred immediately and prevented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affeine. On the other hand, caffeine was dissolved in methanol in order to load the caffeine in SF film and crystallize the SF film at the same time. However, due to the fast evaporation of methanol, caffeine was recrystallized on the surface of SF film rather than penetrating into the film. Finally, caffeine was loaded into pre-crystallized SF film and uniform distribution of caffeine could be achieved. There was an initial burst of caffeine during the first 15 min, but after that a sustained release was achieved.

Controlled Release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rom EGF-loaded Polymeric Nanoparticles Composed of Polystyrene as Core and Poly(methacrylic acid) as Corona in vitro

  • Park, In-Kyu;Seo, Seog-Jin;Akashi, Mitsuru;Akaike, Toshihiro;Cho, Chong-Su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49-652
    • /
    • 2003
  • Polymeric nanoparticles composed of polystyrene (PS) as core and poly(methacrylic acid) (PMA) as corona were prepared by the dispersion copolymerization. The potential of the nanoparticles as carriers for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was investigated. The nanoparticles showed monodispersity and good water-dispersibility. The loading content of EGF to the nanoparticles was very high due to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EGF and nanoparticles. EGF was released as a pseudo-zero order pattern after initial burst effect. The nanoparticles were sufficient for A431 cells proliferation.

폭발하중을 받는 강구조 중층 건물의 응답 및 해석 (Three Dimensional Responses of Middle Rise Steel Building under Blast Loads)

  • 황영서;이완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29-636
    • /
    • 2011
  • 최근 들어 여러 테러에 의한 폭발사건에서 유발된 위험상황에서 보듯이 폭발에 의한 인명피해나 시설물의 손상은 우리가 고려하는 재해수준을 넘는 비참한 결과를 항상 수반한다. 하지만 폭발에 대한 구조물의 설계는 그 연구나 대책이 상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미국건물설계기준(UBC94)을 바탕으로 내진설계(Welded Moment Resistant Frame)된 10층 건물의 폭발에 대한 해석적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폭발하중의 정량적인 결과는 미국 육군(U.S.Department of Army)에서 개발된 경험적 방법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을 통해 폭간거리에 따른 하중의 크기와 분포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폭원의 성격은 반구형 표면 폭발(Hemispherical Surface Burst)의 경우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선형 및 비선형 시간 이력해석을 통해 건물의 변위, 상대변위, 요구/수행비 및 비선형 거동에 대한 해석적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내진기준(FEMA356)에 적용하여 소성힌지의 거동을 통해 폭발에 대한 건물의 성능수준을 예상하였다.

산화전분 코팅이 골판지 원지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tings of Oxidized Starch on Properties of Linerboard)

  • 안병국;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71-79
    • /
    • 2000
  • 산화전분을 골판지 구성원지인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에 각각 코팅하고 물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산화전분 코팅에 의해 골판지 믈성과 관련된 각 라이너지의 물성이 개선되었고 링 크러시 강도의 경우 표면라이너지보다 이면라이너지에서 개선의 효과가 더욱 컸으며 도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19.7%의 증가를 보였다. 비교적 낮은 도공량으로도 파열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일정 수준의 도공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열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링 크러시 강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면라이너지, 이면라이너지 각각 1.41g/$m^2$, 1.58g/$m^2$의 도공량에 이를 때까지 TEA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인장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링 크러시 강도도 대체적으로 증가되었다. 낮은 도공량에서 stiffness가 증가하였으며 도공처리로 라이너지의 투기도는 감소하였지만 원지 간 결합에 장애를 일으킬 만큼의 염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이식형 단백질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알부민의 방출 거동 (Synthesis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b-poly($\varepsilon$-caprolactone) Diblock Copolymers and Release Behavior of Albumin for Implantable Protein Carriers)

  • 서광수;전세강;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32-238
    • /
    • 2004
  • 약물 전달체로서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MPEG, methoxypolyethylene glycol)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카프로탁톤 ($\varepsilon$-CL, $\varepsilon$-caprolactone)으로 구성된 MPEG-PCL 블록 공중합체를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의 결정성과 열적특성은 X선 굴절계와 시사주차열량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단백질로서 알부민 (FITC-BSA, albumin bovine-fluorescein isothiocyanate)과 블록 공중합체를 동결 제분 후, 직접압축 성형방법에 의해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은 pH 7.4 인산염완충액을 사용하여 37$^{\circ}C$에서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양은 형광분광기를 통하여 FITC의 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웨이퍼의 형태학적 관찰은 디지털 카메라와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알부민의 방출 속도와 초기 burst는 MPEG-PCL 블록 공중합체의 분절 내에서 폴리(에틸렌 글리롤)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또한 폴리카프로락톤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많은 초기방출과 단축된 방출기간을 보였다.

Elution of amikacin and vancomycin from a calcium sulfate/chitosan bone scaffold

  • Doty, Heather A.;Courtney, Harry S.;Jennings, Jessica A.;Haggard, Warren O.;Bumgardner, Joel D.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2권3호
    • /
    • pp.159-172
    • /
    • 2015
  • Treatment of polymicrobial infected musculoskeletal defects continues to be a challenge in orthopaedics. This research investigated single and dual-delivery of two antibiotics, vancomycin and amikacin, targeting different classes of microorganism from a biodegradable calcium sulfate-chitosan-nHA microsphere composite scaffold. The addition of chitosan-nHA was included to provide additional structure for cellular attachment and as a secondary drug-loading device. All scaffolds exhibited an initial burst of antibiotics, but groups containing chitosan reduced the burst for amikacin at 1hr by 50%, and vancomycin by 14-25% over the first 2 days. Extended elution was present in groups containing chitosan; amikacin was above MIC ($2-4{\mu}g/mL$, Pseudomonas aeruginosa) for 7-42 days and vancomycin was above MIC ($0.5-1{\mu}g/mL$ Staphylococcus aureus) for 42 days. The antibiotic activity of the eluates was tested against S. aureus and P. aeruginosa. The elution from the dual-loaded scaffold was most effective against S. aureus (bacteriostatic 34 days and bactericidal 27 days), compared to vancomycin-loaded scaffolds (bacteriostatic and bactericidal 14 days). The dual- and amikacin-loaded scaffolds were effective against P. aeruginosa, but eluates exhibited very short antibacterial properties; only 24 hours bacteriostatic and 1-5 hours bactericidal activity. For all groups, vancomycin recovery was near 100% whereas the amikacin recovery was 41%. In conclusion, in the presence of chitosan-nHA microspheres, the dual-antibiotic loaded scaffold was able to sustain an extended vancomycin elution longer than individually loaded scaffolds. The composite scaffold shows promise as a dual-drug delivery system for infected orthopaedic wounds and overcomes some deficits of other dual-delivery systems by extending the antibiotic release.

생체내 흰쥐 해마 CA1 세포에서 가바성 억제에 대한 전기생리학 특성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BAERGIC INHIBITION IN THE HIPPOCAMPAL CA1 OF THE RAT IN VIVO)

  • 최병주;조진화;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4
    • /
    • 2000
  • 가바성 억제 신경세포는 해마의 정상적인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마 병변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in vivo 실험법을 사용하여 해마 CA1 영역에서의 전기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가바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슬라이스 실험법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Fimbria-fonix 전기자극시 전형적인 population spike가 나타났고 $10{\sim}M$ bicuculline 존재하에서는 전기자극에 의해 burst 형태의 population spike가 나타났다. Population spike의 크기는 자극 강도에 비례하였으며 그 숫자도 bicuculline 전극사용시와 같이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CA1 영역의 흥분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paired-pulse 자극을 하였는데 짧은 자극 간격에서 억제성 반응을 보였고 burst형태의 afterdischarge를 나타내었다. CA1 영역에서 in vivo실험법을 사용한 가바성 신경세포반응의 결과는 추체세포의 흥분성 조절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in vitro 실험법에 비해 기능적 평가가 더욱 이상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5 kWh 복합재 플라이휠 로터의 회전 시험 (Spin Test of 5 kWh Composite Flywheel Rotor)

  • 한훈희;하성규;김재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135-3140
    • /
    • 2010
  • 본 논문은 에서는 5 kWh 복합재 플라이휠 로터를 설계/제작 하고, 회전 시 복합재 로터에 발생되는 변형률 분포와 로터의 파손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회전 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전 시험 시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복합재 로터의 반경방향과 원주방향의 변형률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로터 변형률과 미리 예측된 로터 변형률을 비교하여 초기 로터 설계를 검증하였다. 복합재 로터는 파손속도인 22,000 rpm보다 11 %낮은 19,499 rpm에서 파손 되었다. 파손은 축과 복합재 로터를 연결하는 허브에서 발생하였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로터의 성능을 검증하였고, 고속 회전하는 복합재 로터의 예상치 않은 파손 위험을 입증하였다.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 설계 시 복합재 로터 뿐 아니라 허브 설계에도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특히 높은 원심력을 받는 동안에도 작동 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개발이 앞으로 선행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