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avitant ratio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지리산야서(智異山野鼠)의 서식생태(棲息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Inhavitation of Fieldmice in Mt. Jiri)

  • 윤강복;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38-44
    • /
    • 1985
  • 국립공원(國立公園) 지리산(智異山) 야서(野鼠)의 피해방제(被害防除)에 대(對)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1983년(年) 10월(月)부터 '84년(年) 9월(月)까지 장당(壯堂)과 유평(油坪), 중산리(中山里), 세석(細石), 대성지역(大成地域)의 5개지역(個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야서(野鼠)의 서식실태(棲息實態)를 조사(調査)하여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발견(發見)된 서류(鼠類)는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와 흰넓적다리 붉은쥐(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등(等)의 3종(種)이었다. 2) 소혈(巢穴)의 유형(類型)은 3종(種)의 서류(鼠類) 모두다 근원(根元)과 도목하(倒木下), 암석(岩石)과 지면(地面)의 경계(境界), 경사지표면(傾斜地表面), 지표면(地表面) 등(等)을 이용(利用)하는 5개(個) 유형(類型)이 있었으며 그중(中)에서도 수목(樹木)의 근원부위(根元部位)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33.2%로서 가장 많았다. 3) 서식율(棲息率)은 대성지역(大成地域)이 22.6%로서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로 보면 7월(月)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4) ♀, ♂ 별(別)로 보면 ♀은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7월(月)이 6.6%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으며 ♂은 유평지역(油坪地域)에서는 7월(月),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5월(月), 대성지역(大成地域)에서는 7월(月)에 각각(各各) 5.4%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다. 5) 체중(體重)을 보면 최하(最下) 20.3g에서 57.4g였었는데 그중(中)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가 37.8g으로 가장 무거웠고 그 다음이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specio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순(順)이었고 지역별(地域別)로 보면 대성지역(大成地域)이 가장 무거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