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Studies on the Inhavitation of Fieldmice in Mt. Jiri

지리산야서(智異山野鼠)의 서식생태(棲息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 Yun, Kang Bok (College of Agriculture, Gyeangsang National Univ.) ;
  • Kim, Jai Saing (College of Agriculture, Gyeangsang National Univ.)
  • Received : 1985.06.08
  • Published : 1985.09.30

Abstract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undamental data of environmental ecology to save the damage of the fieldmice at the National Park of Mt. Jiri, shown especially in the 5 areas of Jang-dang, U-pyung, Jung-san-ri, Sea-seok and Dae-sung area from October, 1983 to September, 1984 during which the fieldmice were very activ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ieldmice observed were 3 species: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and Apodemus agrarius coreae. 2) Types of fieldmice hole were of 5 types; around the roots of trees, at fallen trees, between rocks and the ground, on the surface of the slope ground,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The holes were found mostly around the trees (33.2%). 3) Inhabitant ratio was the highest at Dae-sung area (22.6%). Breeding was the most active in July. 4) Females found in July at Sea-seok area were the most in the number (6.6%). Males found at U-pyung area were the most in July in the number, at Sea-seok area in May, at Dae-sung area in July (5.4%). 5) The weight ranged between 20.3g and 57.4g.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was the heaviest (37.8g), 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the next and Apodemus agrarius coreae the highest. The heaviest were those found at Dae-sung area.

국립공원(國立公園) 지리산(智異山) 야서(野鼠)의 피해방제(被害防除)에 대(對)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1983년(年) 10월(月)부터 '84년(年) 9월(月)까지 장당(壯堂)과 유평(油坪), 중산리(中山里), 세석(細石), 대성지역(大成地域)의 5개지역(個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야서(野鼠)의 서식실태(棲息實態)를 조사(調査)하여 보았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발견(發見)된 서류(鼠類)는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와 흰넓적다리 붉은쥐(Apodemus speciosus peninsulae),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등(等)의 3종(種)이었다. 2) 소혈(巢穴)의 유형(類型)은 3종(種)의 서류(鼠類) 모두다 근원(根元)과 도목하(倒木下), 암석(岩石)과 지면(地面)의 경계(境界), 경사지표면(傾斜地表面), 지표면(地表面) 등(等)을 이용(利用)하는 5개(個) 유형(類型)이 있었으며 그중(中)에서도 수목(樹木)의 근원부위(根元部位)를 이용(利用)하는 것이 33.2%로서 가장 많았다. 3) 서식율(棲息率)은 대성지역(大成地域)이 22.6%로서 가장 많았으며 월별(月別)로 보면 7월(月)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4) ♀, ♂ 별(別)로 보면 ♀은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7월(月)이 6.6%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으며 ♂은 유평지역(油坪地域)에서는 7월(月), 세석지역(細石地域)에서는 5월(月), 대성지역(大成地域)에서는 7월(月)에 각각(各各) 5.4%로서 가장 많이 서식(棲息)하였다. 5) 체중(體重)을 보면 최하(最下) 20.3g에서 57.4g였었는데 그중(中)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가 37.8g으로 가장 무거웠고 그 다음이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specious peninsulae),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순(順)이었고 지역별(地域別)로 보면 대성지역(大成地域)이 가장 무거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