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information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초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roject Learning that Integrates Formal Education with Informal Learning)

  • 조미헌;허희옥;강의성;류숙희;김용대;서정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1-304
    • /
    • 2013
  •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 환경과 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식 교육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 학습 경험의 통합과 각종 스마트 기기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활동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한 후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프로젝트 과정, 과정별 교수 학습 활동 및 관련 지원 자료들을 개발하고 이를 패키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젝트학습 활동과 지원 자료는 서울시 소재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용을 하였다. 시범적용 결과는 관찰, 면담, 학습 과정 및 결과물 평가를 통하여 분석되었고, '프로젝트 활동 전반', '학습 자료와 도구' 그리고 '비형식 학습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적 경험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을 도입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웹 정보의 자동 의미연계를 통한 학술정보서비스의 확대 방안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he Expansion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Automatic Semantic Linking Between Academic Web Resources and Information Services)

  • 정도헌;유소영;김환민;김혜선;김용광;한희준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1호
    • /
    • pp.133-15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KISTI NDSL의 학술논문 정보를 웹 학술자원과 연계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KISTI의 정보 유통 서비스의 확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웹 학술자원을 수집하여 STEAK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의미 연계를 생성하고 이를 학술논문 검색결과와 결합하였다. 시스템의 검색 정확률을 평가한 결과 매크로 정확률은 62.6%, 마이크로 정확률은 66.9%를 보였으며, 자동연계 성능에 대한 전문가 평가는 76.7점을 보였다. 주제 범주별 전문가 평가는 본 연구를 통해 의미연계를 잘 수행하는 경우에 높게 측정되어 시스템적 성능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웹 학술자원의 서비스 연계를 위하여 논문정보로부터 생성한 언어자원을 의미색인에 사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지속적인 웹 자원의 학술적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관 전시공간 형태의 변화에 따른 관람자의 작품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s Perception on Accordance with Change of Exhibition Space in an Art museum)

  • 이정아;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84-92
    • /
    • 2008
  •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art work in museum, new paradigm has being presented from 1990' s as a turning point. Even if the formal exhibition space that emphasizes itself as a background has currently being continued, the informal exhibition space is coming to the new art museums, especially after 1990'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advent of informal form of space in an exhibition of art museum makes a new paradigm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and art work in conjunction with public's perception after 1990' s that is identified to the time of Pluralism. To do this, the study raised a question on how the public perceive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art work through photographs that contain the information on relation between space and art work. And the questionnaire performed through the curators who are working for art museum, students who studies fine art, students who studies design and public who comes to art museum. After survey through this questionnaire, it is made clear that the informal form of space simply has played a role of background since the beginning of art museum. In other hands, the informal form of space that is mainly presented after 1990' s begins to interrupt the public's perception of art work, changing it's meaning through a spatiality.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도메인 명세화 컴포넌트(DSC)의 설계 (Domain Specification Component Design to Improve Software Reusability)

  • 권영희;조은경;이권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61-164
    • /
    • 2002
  • The in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lacks abstraction and preciseness. On the other hand, the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makes the developer difficult to express and understand the software specification, because it contains mathematical expression. This paper proposes DSC(Domain Specification Component) to solves these problems. DSC supports the understanding of problem domain and improves reusability with selecting the strong point of informal and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We applied the proposed DSC to CMIP-based network management manager software. A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reusability and confirmed the increase of the reusability.

  • PDF

한국 생물과학자들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I) (Informal Communication among Korean Biological Scientists)

  • 조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101
    • /
    • 1987
  • 본 조사는 한국 생물과학분야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근거한 사회적 조직을 규명하며, 그들의 정보교환 행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계량적 조사방법을 사용한 결과, 74%의 과학자들이 한개의 큰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생산성이 높고 의사 소통량이 많은 대부분의 과학자가 이에 포함되었다. 많은 접촉을 받은 중심인물들은 정보유통의 중앙 지점에 위치하며, 중요 정보원들임과 동시에 정보 생산자들이다.

  • PDF

한국 생물과학자들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II) (Informal Communication among Korean Biological Scientists)

  • 조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83
    • /
    • 1987
  • 본 조사는 한국 생물과학분야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근거한 사회적 조직을 규명하며, 그들의 정보교환 행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계량적 조사방법을 사용한 결과, 74%의 과학자들이 한개의 큰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생산성이 높고 의사 소통량이 많은 대부분의 과학자가 이에 포함되었다. 많은 접촉을 받은 중심인물들은 정보유통의 중앙 지점에 위치하며, 중요 정보원들임과 동시에 정보 생산자들이다.

  • PDF

아동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 미국 보스턴주변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관찰조사를 중심으로 (Roles of the Public Library for Children Education : Observation Survey on the Public Libraries in Boston and its Vicinity)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3-414
    • /
    • 2004
  • 전통적으로 도서관의 역할은 자료보존기능과 자료제공기능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학습의 장으로서 그들의 문화적 교육적 활동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일생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형식적 학습이 필요하며 그 기능에 대한 도서관의 비중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관찰대상이 된 미국 공공도서관의 특징은 아동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역할이었다. 이들 공공도서관은 아동교육의 주체자로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교육의 장으로서 스스로 주도해가고 있었다. 앞으로 공공도서관은 교육의 장으로서 지역사회와 일체감 있는 공동체기능이 더욱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A Critical Analysis of Learning Technologies and Informal Learning in Online Social Networks Using Learning Analytics

  • Audu Kafwa Dodo;Ezekiel Uzor OKik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71-84
    • /
    • 2024
  • This paper presen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application of big data in higher education and how Learning Analytics (LA), and Educational Data Mining (EDM) are helping to shap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at have applied the concepts successfull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Learning Analytics, Educational Data Min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formal Learning and Online Social Networks are presented to understand their usage and trends in higher education pedagogy taking advantage of 21st century educational technologies and platforms. The roles of and benefits of these technologies in teaching and learning are critically examined. Imperatively, this study provides vital information for education stakeholders on the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a teaching and learning agenda that takes advantage of today's educational relevant technologies to promote teaching and learning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difficulties of 21st-century learning. Aside from the roles and benefits of these technologies, the review highlights major challenges and research needs apparent in the use and application of these technologies. It appears that there is lack of research understanding in the challenges and utilization of data effectively for learning analytics, despite the massive educational data generated by high institutions. Also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LA, there appears to be a serious lack of academic research that explore the application and impact of LA in high institu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informal online social network learning. In addition, high institution managers seem not to understand the emerging trends of LA which could be useful in the running of higher education. Though LA is viewed as a complex and expensive technology that will culturally change the future of high institution, the question that comes to mind is whether the use of LA in relation to informal learning in online social network is really what is expected? A stud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lements that influence high usage of OSN is also needed in the African context. It is high time African Universities paid attention to the application and use of these technologies to create a simplified learning approach occasioned by the use of thes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