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ced maturation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서비스혁신 패턴 분석: 온라인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Service Innovation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 Case of Korean Online Games)

  • 남영호
    • 기술혁신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9-148
    • /
    • 2009
  • 최근에 서비스산업의 혁신 구조와 유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비스혁신 모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컨텐츠산업을 분석하여서 서비스 제공자, 컨텐츠 개발자, 사용자 및 네트워크 제공자 사이의 연계성을 연구할 수 있는 혁신시스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서비스적인 면과 제조업적인 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컨텐츠산업 혁신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llouj and Weinstein(1997) 및 Gallouj(2002)이 제시한 서비스혁신시스템 모형의 바탕 위에서 디지털컨텐츠산업의 특성인 사용자 참가 및 네트워크 외부효과( network externalities) 등을 추가하여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혁신시스템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 모형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온라인게임산업의 혁신 과정 사례를 분석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지털컨텐츠산업의 혁신 유형의 분석, 서비스혁신(service innovation)과 제조혁신(manufacturing innovation)과의 관계, 정부정책의 유효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혁신시스템 모형은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역동성을 이해하는데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컨텐츠 개발자, 플랫폼 제공자 및 네트워크 제공자 사이에 일어나는 제조혁신과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서비스혁신을 분리하였으므로 양 혁신 간의 상호작용을 모형 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제조혁신과 서비스혁신의 분리를 통하여 디지털컨텐츠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 또는 촉진 정책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모형 내에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를 내생변수화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외부효과가 혁신의 선 순환을 일으키는 방식과 구조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서비스혁신의 유형은 제조혁신의 유형과 상이하며 그 효과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비 파생적 혁신의 하나인 재조합적 혁신은 제조업에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서비스산업에서는 핵심역량을 구성 한다. 서비스산업의 복제방지 제도가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제가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서비스산업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핵심역량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의 기초가 되는 여러 유형의 혁신을 촉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THE EFFECT OF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PRP) ON BONE FORMATION AROUND DENTAL IMPLANT IN THE RABBIT: A HISTOMOR-PHOMETRIC AND REMOVAL TORQUE STUDY

  • Yi Yang-Jin;Yang Jae-Ho;Lee Sun-Hyung;Kim Yung-Soo;Kwon Sang-H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59-681
    • /
    • 2001
  • Platelet-rich plasma(PRP)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rate and degree of bone formation by virtue of growth factors in concentrated platelets. Although its great healing effect on bone defect or pre-implantation site preparation in conjunction with bone substitute has been reported, the effect associated with implant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P on rapid osseointegration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in the rabbit tibiae. Twenty two adult fe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weighing approximately 2.7-3.3kg, were used for this study. Twelve of the 22 animals were used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ten of the 22 were for removal torque test. Each animal received two implants in each tibia (two treated with PRP and two as control) and was given fluorochrome intramuscularly. For histomorphometric analysis,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healing period. At 1 week, 2 weeks, 4 weeks and 8 weeks postoperatively, each three animals were sacrificed serially and the amount and rate of bone formation around dental implant were examined on the undecalcified sections under fluorescent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and light microscop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equipped with image analysis system. For removal torque test, rabbi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removal torque tests were performed at 4 weeks, 10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In total, 88 screw shaped,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s (Neoplant, Neobiotech, Seoul,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Labeling pattern reflected differences of two groups in bone formation rate at each period. Histomorphometrically, PRP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e volume within threads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2 weeks ($70.30{\pm}4.96%$ vs. $50.68{\pm}6.33%$; P < .01) and 4 weeks ($82.59{\pm}5.94%$ vs. $72.94{\pm}4.57%$; P < .05 ). PRP group at 1, 2 and 4 weeks revealed similar degree of bone volume formation comparable to control group at 2, 4 and 8 week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ile PRP group showed higher bone-implant contact ($47.37{\pm}8.09%$) than control group ($33.16{\pm}13.47%$) at 2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P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ny experimental period. Removal torque values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P group and control group at any experimental period (P > .05). These findings imply that PRP could induce rapid, more bone formation around implant during early healing period and get faster secondary stability for reducing healing period, though it has not induced bone maturation enough to resist functional loading.

  • PDF

식물 지방산 생산량의 증진을 위한 생명공학 연구현황 (Current biotechnology for the increase of vegetable oil yield in transgenic plants)

  • 이경렬;최윤정;김순희;노경희;김종범;김현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41-250
    • /
    • 2011
  • 식물유의 거의 대부분은 triacylglycerol (TAG) 형태로 종자에 축적되어있으며 이는 종자가 발아할 때에 필수적인 에너지공급원이자 동물과 인간들에게 필수지방산과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최근 식용유의 건강기능성으로 수요증가와 더불어 바이오디젤과 산업원료 등의 산업적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 그래서 생명공학기술로 종자유의 함량을 증진하고자 하면 지질 생합성에 탄소의 유입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를 과발현 또는 억제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본 총설에서는 지질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후보 유전자들에 대해 기술하고 이들의 지방 함량 증대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지방산의 생합성과 종자유의 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크게 구분하자면 첫째, TAG가 생합성되기 위해 필요한 전구체를 합성하는 유전자, 둘째, 지방산합성과 TAG 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 셋째, 종자 발달과 종자유 축적에 관여하는 전사인자 유전자가 있다. 종자유 함량을 결정하는 대사들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최근에 전사인자의 조절이 다수의 지방생산 대사 유전자를 동시 조작하여 형질전환 식물에서 종자유 함량이 증진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한 접근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전사조절유전자의 과발현에 의해 나쁜 농업형질의 유도 같은 문제점도 해결해야 한다.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delays extraction socket healing in a canine model

  • Kim, Jung-Hoon;Koo, Ki-Tae;Capetillo, Joseph;Kim, Jung-Ju;Yoo, Jung-Min;Ben Amara, Heithem;Park, Jung-Chul;Schwarz, Frank;Wikesjo, Ulf M.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3호
    • /
    • pp.143-153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exploratory study was to evaluate extraction socket healing at sites with a history of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Methods: The mandibular 4th premolar teeth in 5 adult beagle dogs served as experimental units. Periodontal and endodontic lesions were induced in 1 premolar site in each animal using wire ligatures and pulpal exposure over 3 months (diseased sites). The contralateral premolar sites served as healthy controls. The mandibular 4th premolar teeth were then extracted with minimal trauma, followed by careful wound debride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days 1, 7, 30, 60, and 90 post-extraction for analysis, and the healing patterns at the healthy and diseased extraction sites were compared using radiograph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istology, and histometry. Results: During the first 7 days of healing, a significant presence of inflammatory granulation tissue was noted at the diseased sites (day 1), along with a slightly accelerated rate of fibrin clot resolution on day 7. On day 30, the diseased extraction sites showed a greater percentage of persistent fibrous connective tissue, and an absence of bone marrow formation. In contrast, healthy sites showed initial signs of bone marrow formation on day 30, and subsequently a significantly greater proportion of mature bone marrow formation on both days 60 and 90. Radiographs exhibited sclerotic changes adjoining apical endodontic lesions,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ing collapsed Volkmann canals protruding from these regions in the diseased sites. Furthermore, periodontal ligament fibers exhibited a parallel orientation to the alveolar walls of the diseased sites, in contrast to a perpendicular arrangement in the healthy site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appears that a history of periodontal and endodontic pathology may critically affect bone formation and maturation, leading to delayed and compromised extraction socket healing.

염증 반응과 수면 장애 (Inflammation and Insufficient or Disordered Sleep)

  • 이석준;김진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97-104
    • /
    • 2015
  • 수면현상은 인간의 삶의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생리적 현상으로 인간의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생리적 기능뿐 아니라 수면을 통한 휴식을 통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생활구조의 변화를 유발하여 성인뿐 아니라 소아에서도 평균수면 시간의 감소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으로 인한 수면의 질적 저하로 인한 다양한 수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수면 부족 또는 수면의 질적 저하뿐 아니라 수면 장애,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심혈관 질환뿐 아니라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 의 다양한 만성 질병의 발생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핵심기전으로 염증 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수면 현상과 다양한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이러한 질병의 이환에 대한 기전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핵심 기전으로 알려진 염증반응의 활성화가 병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수면 무호흡증을 낮은 수준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불어 비만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연관된 질병의 이환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는 수면의 질적 또는 양적 저하뿐 아니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가 인간의 신체 면역 과정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결과 및 수면 무호흡증과 비만의 잠재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Bombina orientalis 피부손상 후 과립선 재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임도선;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02
  •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무지개송어의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 유도 (Induction of Physiological Sex-Reversal and Gynogenetic Diplo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철호;김대중;정창화;최경철;이채성;김동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양식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 암컷 무지개송어 대량생산을 위한 일환으로 성호르몬에 의한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어를 유도하였다. 생리학적으로 성전환된 수컷을 만들기 위하여 부화 후 첫 먹이를 먹는 시기에 웅성호르몬인 17 alpha-methyltestosterone (MT) 5 mg을 사료에 흡착시켜 사육수온 $13^{\circ}C$에서 적산수온 $800^{\circ}C$까지 처리한 결과 96.7%의 수컷 유도율을 보였다. 또한 정상 수컷 정액을 이용하여 수정 10분 후 $28^{\circ}C$에서 20분간 고온 처리하여 61.7%의 자성발생 2배체가 유도되었다.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b1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 Articular Chondrocytes

  • Kim, Sok-Ho;Na, Ji-Young;Song, Ki-Bbeum;Choi, Dea-Seung;Kim, Jong-Hoon;Kwon, Young-Bae;Kwon, Jung-K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61-168
    • /
    • 2012
  • The abnormal maturation and ossification of articular chondrocytes play a centr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osteoarthritis (OA). Inhibiting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maintaining the cellular phenotype are two of the major goals of interest in managing OA. Ginseng is frequently taken orally, as a crude substance,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Asian countries. Ginsenoside $Rb_1$, a major component of ginseng that contains an aglycone with a dammarane skeleton,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effects. However, a chondro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b_1$ related to OA has not yet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chondro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b_1$ on the 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and chondrogenic genes. Cultured ra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treated with 100 ${\mu}M$ ginsenoside $Rb_1$ and/or 500 ${\mu}M$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assessed for viability,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nitric oxide (NO) release, and chondrogenic gene expression. Ginsenoside $Rb_1$ treatment resulted in reductions in th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NO in $H_2O_2$-treated chondrocytes. The expression levels of chondrogenic genes, such as type II collagen and SOX9, were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ginsenoside $Rb_1$,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ory genes related to chondrocytes, such as MMP1 and MMP13,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50%.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b_1$ has potential for use as a therapeutic agent in OA patients.

인공수정시술주기에서 내인성 LH, GnRH Agonist 및 hCG를 이용한 배란유발후 임신율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Pregnancy Rates by Intrauterine Insemination after Ovulation Trigger with Endogenous LH Surge, GnRH Agonist or hCG in Stimulated Cycles)

  • 이종인;허영문;전은숙;윤정임;정구성;홍기언;유승환;이현숙;홍정의;이지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89-398
    • /
    • 1999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dogenous LH surge, GnRH agonist (GnRH-a) o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s ovulation trigger on pregnancy rate by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Method: Patients received daily 100 mg of clomiphene citrate (CC) for 5 days starting on the third day of the menstrual cycle followed by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for ovulation induction. Follicles larger than >16 mm in diameter were present in the ovary, frequent LH tests in urine were introduced to detect an endogenous LH surge. Final follicular maturation and ovulation were induced by GnRH-a 0.1 mg (s.c.) or hCG $5,000{\sim}10,000$ IU (i.m.) administration except natural ovulation. Pregnancy was classified as clinical if a gestational sac or fetal cardiac activity was seen on ultrasoun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duration of infertility and follicle size, but more ampules of hMG were used in GnRH-a group compared to hCG 10,000 IU treated group (p<0.05). Lower level of estradiol ($E_2$) on the day of hCG or GnRH-a injection was observed in hCG 10,000 IU group than other treatment groups (p<0.01). The overall clinical pregnancy rate was 19.8% per cycle (32/162) and 22.2% per patient (32/144).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natural-endogenous LH surge group (37.5%, 9/24) than GnRH-a (18.8%) or hCG treated group (20.9% & 13.9%),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patient developed ovarian hyperstimulation. Abortion rate was 22.2% (2/9) in hCG 5,000 IU group. Delivery or ongoing pregnancy rate was 37.5% (9/24), 18.8% (3/16), 16.3% (7/43) and 13.9% (11/79) in endogenous LH surge, GnRH-a, hCG 5,000 IU and hCG 10,000 IU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concept that use of natural-endogenous LH surge in stimulated cycles may be more effective to obtain pregnancies by IUI than GnRH-a or hCG administration.

  • PDF

식물 자원을 활용한 염증반응 조절 (Modulation of Inflammation by Plant Resources)

  • 이하늘;성수희;김보람;김진호;서찬;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23
  • Chrysanthemum zawadskii (C. zawadskii) is used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it has remained unclear whether extracts of C. zawadskii inhibit inflammasome activation in macropha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C. zawadskii (CZE) on the activation of the inflammasome in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were obtained from wild-type C57BL/6 mice. The release of IL-1β and lactate dehydrogenase in response to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such as ATP, nigericin and monosodium urate (MSU) cryst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ZE in lipopolysaccharide(LPS)-primed BMDM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CZE inhibited ATP-induced caspase-1 cleavage and IL-1β matu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ZE inhibits the priming step of the NLRP3 inflammasome, we confirmed the role of CZE at the gene level using RT-qPCR. CZE also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NLRP3 and pro-IL-1β as well as NF-κB activation in BMDMs in response to LPS. Apoptosis 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CARD) oligomerization and speck formation by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were suppressed by CZE. By contrast, CZE did not affect NLR family CARD domain containing protein 4 (NLRC4) or absent in melanoma 2 (AIM2) inflammasome activation in response to Salmonella typhimurium and poly(dA:dT) in LPS-primed BMDMs,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key components of CZE, namely linarin, 3,5-dicaffeoylqui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decreased IL-1β secretion in response to ATP, nigericin and MSU.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ZE effectively inhibited activa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