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rect immunoperoxidase techniqu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Indirect Immunoperoxidase 법을 이용한 조직내 뉴켓슬병 바이러스 항원동정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newcastle disease virus with indirect immunoperoxidase technique)

  • 노환국;서정향;김순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9-315
    • /
    • 1990
  • The present experiment was done to identify newcastle disease virus(NDV) antigens in frozen sections of various oragns from experimentally NDV-infected with indirect immunoperoxidase method. Section were incubated with rabbit anti-NDV polyclonal as first antibody, followed by incubation with goat anti-rabbit or protein A peroxidase conjugate. Positive reactions were often detected in the epithelium of trachea and in the lymphocyte of spleen at 24 hours after virus inoculation. the viral antigen was localized mainly in the cytoplasm of infected cells. The method approved to be highly specific for the identification of NDV and allowed a precise localization of the viral antigens in infected cells.

  • PDF

간흡충 충체의 부위별 항원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antigenicity of each organ structure of Clonorchis sinensis)

  • Jin Kim;Jong-Yil Chai;Weon-Gyu Kho;Kyu-Hyuk Cho;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21-30
    • /
    • 1991
  • 간흡충의 충체 부위별 항원성을 알아보고자 면역조직화차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흡충의 소화기관, 생식기관, 배설기관, 흡반, 표피 등의 염색강도를 비교 관찰하였다. 간흡충 실험 감염 후 2~8주 된 토끼에서 담관 내 충체를 포함하는 간 조직을 얻어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고 파라핀으로 포매한 다음 4 $\mu\textrm{m}$두께로 잘라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항-간흡충 항체(1차 항체)는 실험 감염 10주 된 고양이 혈청을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peroBidaseconjugated goat anti-cat IgG를 2차 항체로 하여 간접 면역효소 염색을 시행하였다. 가장 적합한 1차 항체의 희석 농도는 1 : 1,000~1 : 2,000, 2차 항체의 희석 농도는 1 : 1,000이었다. 충체의 장 상피세포, 장 내용물 및 배설낭은 1차 항체 희석 농도 1 : 1,000~1 : 2,000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인 반면, 자궁 및 일부 자궁 내 충란, 난관선, 웅성 생식기관 등은 1차 항체 회석 농도 1 : 1,000에서 미약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한편, 흡반, 표피, 표피하 세포, 충체 실질 등은 1차 항체 회석 농도 1 : 1,000에서도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흡충 감염시 숙주의 항체 반응은 충체의 소화-분비 기관에서 유래된 이른바 분비-배설 항원에 의해 가자 강력하게 유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돼지 유행성 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의 진단을 위한 면역조직 화학적 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for diagnosis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 박남용;조경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5-813
    • /
    • 1994
  •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intestinal tissues obtained from the 21 pigs of the 14 terms in Korea in which the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features had indicated the possible outbreaks of porcine epidemic diarrhea(PED) was performed using the indirect immunofluorescence test and/or the immunoperoxidase method in order to detect PED viral antigens in the infected cells of the intestines,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were described as well.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PED viral antigens were detected in the epithelial cells covering the small intestinal villi and recognized slightly in the cells lining the colonic surface epithelium as well. Occasional fluorescence was also seen in a few intestinal crypt epithelium. On light microscopy, the piglets with PED showed marked villous atrophy and fusion, and severe enterocyte degeneration and desquamation. On the other hand, the older pigs more than 4 week old age was mild villous atrophy and fusion, severe villous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oderate mononuclear cell infiltration.

  • PDF

폐흡충 충체 부위별 항원성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eal study on the antigenicity of body compartments of Payugonimus westermani)

  • 이순형;성숙환;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09-118
    • /
    • 1989
  • 폐흡충 감염시 숙주 말초혈액에는 많은 항체가 생성되므로 각종 면역학적 진단에 이용되 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체가 폐흡충 충체 구성 요소 중 주로 어느 기관(또는 구조물)에 대한 항체 인지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 없었다. 이 연구는 면역 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폐흡충 충체 의 부위별 항원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충체 절편 표본에서 흡반, 표피, 피극, 난황선, 장, 자성 및 웅성 생식기, 충란 등의 항원성을 비교 관찰한 것이다. 충체 표본으로는 감염 11∼20주 된 고양이의 폐조직에서 충낭(WOrm capsule)을 적출하여 포르말 린 고정 및 파라핀 포매한 것을 4㎛ 두께로 영아 사용하였고, 항혈청(1차 항체)으로 감염 11∼20 주 된 고양이 혈청을, 2차 항체로 peroxidase-conjugated goat anti-cat IgG를 사용하는 간접 면역 대소 염색법(indirect immunoperoxidase staining technique)을 이용하였고, 진한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항체의 희석 농도는 1차 항체 1 : 500~1 : 2,000, 2차 항체 1 : 200~1 : 500으로 하였고 10회 이상 반복 염색하였다. 실험 결과 장 상피의 표면(intestinal epithelial border), 장 내용물, 난황선(vitelline glands) 및 충낭 내의 충란(eggs in worm capsule) 등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자궁 내 충란 및 충체 실질 조직 중 일부도 약하지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한편 흡반(suckers), 표피(tegument), 피극(spines), 표피하세포(subtegumental cells), 장 상피세포의 세포질, 웅성 생식기관 및 난소 등은 음성 반응 을 나타내었다. 항원성의 강도를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장 상피의 표면, 장 내용물, 충낭 내의 충란, 난황선, 자궁 내 충란, 충체 실질조직의 순이었다. 항원성이 강한 장 상피층 및 장 내용물은 1차 항체 1 : 4,000(2차 항체 1 : 200)에서도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충체 실질조직 중 일부는 1차 항체 1 : 500의 고농도(2차 항체 1 : 200)에서만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흡충 감염시 나타나는 혈청의 항체 반응은 충체의 배설물과 충 낭 주위에 산출된 충란에 의해 가장 강력히 유발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이들이 충낭을 벗어나 숙주 조직으로 총수되는 가장 중요한 항원성 물질이 아닌가 추측된다.

  • PDF

근관치료전과 후의 치근단 병소에서 임파구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LYMPHOCYTE DISTRIBUTION IN ENDODONTICALLY TREATED AND UNTREATED PERIAPICAL LESIONS)

  • 오태석;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1권1호
    • /
    • pp.63-75
    • /
    • 198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lymphocytes and to compare the lymphocyte distribution in endoodontically treated periapical lesions with that in endodontically untreated periapical lesions by way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wenty-one human dental periapical lesions were obtained, frozened, serially sectioned to $4-5{\mu}$, and stained using the three-stage indirect immunoperoxidase technique and monoclonal antibodie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B,T lymphocyte and T suppressor cell.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ll of the examined periapical lesions had positive staining for B,T lymphocyte and T suppressor cell. 2. The concentration of T lymphocytes in 18 lesions diagnosed as periapical cyst and granuloma in both groups was greater than that of B lymphocytes and 2 periapical lesions identified as abscess in treated lesions had more positive B lymphocytes than positive T lymphocytes. 3. The average numbers of T,B lymphocytes and T suppressor cells in Endodontically treated les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untreated lesion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4. When the distribution ratios of T lymphocytes to B lymphocytes and T suppressor cells to T lymphocytes were compared in Endodontically treated lesions by the histological aspects of the lesions and at the intervals of the duration after Endodontic treatm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was not found. 5. The mean values of T lymphocytes, B lymphocytes and T suppressor cells in Endodontically treated lesions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specimens obtained at 3 month after Endodontic treatment,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