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bustibilit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스펀지형 흡음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 송재용;사승훈;남정우;김진표;박종택;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0-27
    • /
    • 2011
  • 본 논문은 건축물 내부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스펀지형 흡음재의 연소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소특성 평가를 위하여 일반 재질 및 난연 재질의 스펀지형 흡음재를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축용 내부 마감 재료 사용의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콘칼로리미터법을 이용한 열방출률 및 연기밀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연소특성 실험 결과, 일반 재질의 흡음재는 착화와 동시에 급속히 연소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난연 재질의 흡음재는 착화와 동시에 소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난연 재질의 흡음재에 착화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연소가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열방출률 및 연기밀도는 한국산업규격 KS F ISO 5660-1 및 국제해사기구의 FTP Code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스펀지형 흡음재는 건축용 내부 마감 재료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PL 판정을 위한 저압용 스위치의 소손 패턴 해석기법 (Analysis Method for Damage Patterns of Low Voltage Switches for PL Judgment)

  • 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36-1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옥내 조명 설비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압용 스위치의 구조 및 발열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스위치의 고정금구 및 가동 접점 등의 소손패턴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예상되는 PL 분쟁의 판단 근거를 확보하는데 있다. 스위치에 인가된 일반 화염은 한국산업규격(KS)의 난연성 시험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스위치에 공급된 전류는 대전류공급장치(PCITS)를 이용하였다. 실험이 진행될 때 주위의 온도는 $22{\pm}2^{\circ}C$, 습도는 40~60%를 유지시켰다. 스위치의 발열은 배선과 클립의 접속 불량, 가동 접점의 절연 열화 및 접촉 불량 등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 화염에 의해 소손된 스위치는 표면이 균일하게 탄화되었으며, 화원을 제거하면 자연 소화되었다. 일반화염에 의해 탄화된 스위치를 분해한 결과 고정금구 및 가동 접점 등은 비교적 양호한 형태를 보였으나 외함, 클립 지지대, 가동 접점, 표시램프 등에서 탄화 및 변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전류에 의해 소손된 스위치는 배선을 연결하는 클립 및 클립 지지대 등은 소손의 흔적이 거의 없으나 고정금구, 가동 접점, 표시 램프 등은 심하게 탄화되었다. 즉 접촉 저항이 큰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소손되었고 내부에서 외부로 탄화가 진행되는 패턴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손된 스위치의 탄화 패턴 및 금속 금구류의 특성을 분석하면 최초의 에너지원 판정이 가능하다.

목재 및 목질재료용 난연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막의 난연성능 (Performance o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s for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 김종인;박종영;공영토;이병후;김현중;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DF와 잣나무 판재에 대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 처리 시험편에 대한 난연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무처리 MDF와 잣나무판재에 대한 td𝜃은 각각 279.5, 182.5로 나타났으나 난연침지 처리된 무늬단판을 오버레이한 MDF를 난연도장 처리 한 경우 높은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난연처리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를 할 경우 th𝜃가 90으로 나타났고,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에 난연도장처리한 경우에는 th𝜃가 0으로 나타난 가장 뛰어난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처리를 한 경우 th𝜃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소도 시험결과 시험편의 중량감소율은 난연처리와 난연도장처리에 의해 감소함으로써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착화시간과 잔염시간의 측정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 및 난연처리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한 경우 무처리된 경우에 비해 착화시간은 증가되고, 잔염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프로필렌의 금속첨가형 난연제에 의한 난연 특성 (Incombustibility of Polypropylene by Metal Addition Flame Retardant)

  • 이상은;송영호;정국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45
    • /
    • 2005
  • The principal actions of a flame retardant are to decrease or prevent the formation of volatile products and increase the formation of char layer. Use of flame retardant additives can decrease the overall fire hazard of the product containing them thus leading to an increase in overall fire safety. Although several flame retardants have been developed for use in polymers, many of these are known to increase the amount of smoke and toxic gases generated by them. This paper present a new flame retardant using metal addition flame retardant.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s of flame retardancy conducted are as follows : burning ratio, weight loss rate using TGA-DTA, the measurement of LOI and char yield. And smoke mass concentration and CO yield were measured. The metal addition flame retardant reduced burning ratio and weight loss rate, increased the LOI and yield of char formation with decreased smoke mass concentration and CO yield.

건축용 내장재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Materials)

  • 송재용;사승훈;남정우;김진표;박종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28
    • /
    • 2011
  • This paper studie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foam,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and styrofoam. To estimate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 carried out combustion experiment of the building materials. And then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building materials, we measured heat release rate(HRR) and smoke density(Ds) of polyurethane-foam,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and styrofoam using by a cone-calorimeter. From the combustion experimental results, the general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 (GSAM) and styrofoam were rapid burned simultaneously with ignition and the incombustibility type sound-absorbing materials(ISAM) and polyurethane-foam had all gone out simultaneously with ignition. Measured results of HRR and Ds were not satisfied KS F ISO 5660-1 and IMO FTP Code, from the results, the polyurethane-foam, the sponge type sound-absorbing material and the styrofoam were ill-suited for using building interior materials.

이멀션윤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ulsion Lubrication)

  • 이종순;이봉구;정재련;지창헌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권2호
    • /
    • pp.12-19
    • /
    • 1986
  • 냉각성, 난연성, 그리고 경제성의 면에서 우수한 윤활특성을 갖고 있는 이멀션윤활제를 사용하여 로울러와 프레이트간의 선접촉 및 광간섭계의 실험장치를 통하여 탄성유체윤활 영역에서의 윤활기구 및 분산립자의 거동기구를 명확히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퀴즈 유막내의 유동은 윤활간극이 비교적 넓은 경우와 좁은 경우로 대별하여 전자의 경우에는, 입자분포 및 속도분포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며, 후자의 경우는 이멀션입자가 간극내에 정지하여 유막두께의 감소와 더불어 변형되어 간다. 2. 스퀴즈 유막내의 O/W, W/O 각 이멀션의 유동은 간극이 클 경우, 입경에 의한 속도차가 역으로 나타나고, 작은 경우에는 잔류액적의 분포가 서로 다르며 그밖에 O/W 형은 W/O 형에 비하여 분산입자가 쉽게 변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EHL영역입구부에서는 입자의 유동속도가 극히 적은 정체영역이 존재하며, 그 부근에서의 입자의 거동은 입경에 따라서 다르다. 4. 2색광에 의한 광간섭선의 관찰에 의하여 탄성유체윤활 영역내를 통과하는 이멀션유를 확인함과 동시에 EHL영역입구부에서의 분열거동이 관찰되었다.

Effect of the Holding Temperature and Vacuum Pressure for the Open Cell Mg Alloy Foams

  • Yue, Xue-Zheng;Hur, Bo-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09-315
    • /
    • 2012
  • Metal foam has many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light weight, incombustibility, good thermal insulation, sound absorption, energy absorption,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It has two types of macrostructure, a closed-cell foam with sealed pores and an open-cell foam with open pores. The open-cell foam has a complex macrostructure consisting of an interconnected network. It can be exploited as a degradable biomaterial and a heat exchanger material. In this paper, open cell Mg alloy foams have been produced by infiltrating molten Mg alloy into porous pre-forms, where granules facilitate porous material. The granules have suitable strength an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They are also inexpensive and easily move out from open-cell foamed Mg-Al alloy materials. When the melt casting process used an inert gas, the molten magnesium igniting is resolved easily. The effects of the pre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ler particle mould, negative pressure, and granule size on the fluidity of the open cell Mg alloy foam were investigated. With the increased infiltration pressure, preheat temperature and granule sizes during casting process, the molten AZ31 alloy was high fluidity. The optimum casting temperature, pre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ler particle mould, and negative pressure were $750^{\circ}C$, $400-500^{\circ}C$, and 5000-6000 Pa, respectively, At these conditions the AZ31 alloy had good fluidity and castability with the longest infiltration length, fewer defects, and a uniform pore structure.

Basalt Woven Fabric을 적용한 건축용 막재의 난연특성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Membranes Using Basalt Woven Fabric)

  • 김지현;송훈;신현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35-42
    • /
    • 2016
  • 막구조 건축물은 경량의 건축용 막재를 사용하므로 자유로운 곡면표현이 가능하고 시각적인 만족도가 높아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용 막재를 구성하는 직물이 화재에 취약하므로 용도에 적합하며 보다 높은 난연성능을 가지는 불연성 막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열성, 내열성, 불연성이 우수한 현무암섬유를 건축용 막재의 직포로 적용하고 PTFE 분산 수지를 함침 코팅하여 DSC/TGA 열분석, 강도특성, 방염 및 난연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막재 중 성능이 가장 우수한 유리섬유 직포 막재와 난연특성을 비교하였으며 평가결과 현무암섬유 직포의 건축용 막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