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1,708건 처리시간 0.027초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

  • 김현정;황혜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97
    • /
    • 2019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디지털인재 양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보편적 정보교육 도입의 필요성 연구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Univers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Nurture Digital Talents)

  • 최문석;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09-218
    • /
    • 2022
  • 현재 정부에서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 확대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현장 초등학교 교사 역시 정보교육의 확대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77.3%가 될 정도로 정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정보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한 D초등학교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주당 1시간 이상의 정보교육을 꾸준히 실시했다. 학생들에게 정보교육의 사교육 절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교육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16.2%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에 실시된 타 설문조사의 사교육 참여 비율로 응답된 66.5%보다 50.3% 적은 수치를 보여주며 사교육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사례연구 분석 결과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한 강사에 따른 학습 내용이 달라짐을, 학부모는 중요성은 인지하나 학습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지적을 하며 정보교과 및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는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정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독립교과로서 보편적인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과목변경수학교사의 신념에 따른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Practices of Teachers Who Changed the Subject to Mathematics Based on Their Belief)

  • 김수선;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73-389
    • /
    • 2015
  •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의 현장적용에서 교사수급 조절로 인해 원래 수학이 아닌 다른 과목을 가르치던 교사가 과목을 변경하여 수학을 가르치게 된, 과목변경수학교사의 교수 실제를 조사하였다. 과목변경수학교사 중 설문지를 통하여 전통적인 신념과 비전통적인 신념이 강하게 나타난 두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업실제에서 전통적인 신념을 가진 교사 A는 교사 위주의 설명식 수업이, 비전통적인 신념이 강한 교사 B는 약간의 시도는 있었으나 비전통적인 수업을 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둘째, 과목변경수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교사 A는 수학교수 자체보다는 학생부장으로서 겪는 업무의 어려움과 지나치게 많은 수업시수에 대한 고충을 토로했으며 비전통적인 신념을 지닌 교사 B는 학습자중심의 활동 수업을 하고 싶으나 방법을 알지 못하여 자신의 신념이 반영된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현실이 힘들다고 하였다. 그리고 두 교사가 공통적으로 수업의 전문성을 더욱 신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는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외부지원으로는 지속적인 연수 및 선배 교사와의 멘토링, 그리고 수업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시간 확보 등을 언급하였다.

공항주변학교의 항공기 소음의 피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Noise Evaluation of School Area on Aircraft Noise near Airport)

  • 김갑수;황정훈;배은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1-57
    • /
    • 2010
  • 본 연구는 전국의 공항 인근지역에 있는 190여개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항공기 소음의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의 피해의식예측 모형을 수량화이론 II류를 이용하여 구축하였고, 피해학교 교사 1,012명의 설문을 통하여 교사들의 수업진행방해 예측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군용/민간 공용비행장 4개소와 사격연습장 1개소 총 5개 지역의 항공기 소음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군용/민간 공용 공항에서의 항공기 소음 WECPNL 5개 지역 모두 피해지역 제1종 지역과 2종 지역으로 나타나 항공기 소음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어 대책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학교의 항공기 소음 피해의식 모형에서 가장 영향이 높은 요인은 공항과 학교와의 거리로서 5 Km 미만에서 양의 관계를 나타내며 10 Km 이상에서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항공기 소음의 폭로시간과 폭로회수가 각각 설명이 높으며 공항의 종류와 창문의 구조에도 깊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본 예측모형은 상관비 0.56으로서 적합성이 높다고 하겠다.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STEAM)를 위한 미래학교 특성 탐색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s for Students with Future Convergent STEAM Talents)

  • 곽미선;곽영순;이수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9-48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이러한 역량을 양성할 미래학교의 인재상,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교사들의 역량 및 양성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미래학교의 모습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교원, 과학기술 분야 대학생 등 관련 분야 종사자 25명이 참여하여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지닌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시 말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래학교의 모습 역시 유연하고 활동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직된 학교에서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낼 수 없기 때문이다. 미래학교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상황에 직면하여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활동 기반의 수업으로 변화해야 하며, 성취기준이 아닌 상황별로 학생들이 보인 결과를 정리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역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수역량을 개발해나가는 교사가 될 수 있도록 제도와 시스템을 개편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me Daycare Center)

  • 이경진;권연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5-158
    • /
    • 2018
  •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의 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어린이집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보육교사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제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5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적 통계,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연령, 현 기관의 재직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직의도는 급여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요인과 조직몰입은 정적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가 조직에 몰입하며 이직을 고려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원장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이를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대학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육 설계 (A Study on Educational Design using Metaverse for University Classes)

  • 김현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6권
    • /
    • pp.259-280
    • /
    • 2023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대학 간호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경험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 및 운영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 소재 기독교 정신을 건학 이념으로 하는 극소규모의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보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참여한 경험과 인식에 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업의 장점, 어려운 점 및 개선점, 줌 활용 수업과의 차이점, 수업에 대한 소감,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제안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메타버스를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분석 결과,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수업 전 통신 및 기기에 대한 인프라를 점검하고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의 선택과 교육활동 공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안내와 함께 소양교육을 충분히 실시한 후 학습자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메타버스 활용 수업설계의 원리와 교수학습모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식품알레르기 관리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은평구 어린이급식소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y - Focusing on the case of Children's Foodsevice Operations in Eunpyeong-gu -)

  • 한주희;김혜리;김지은;황해리;황하얀;강지원;주은서;황혜영;변진영;최지은;박유진;박지현;이진아;홍완수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77
    • /
    • 2022
  • A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increases, related hazards also increase. Among the victims of accidents, children under the age of 10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raising the need for management of them. To ensure that children are aware of the risk of food allergy for safe meal service and to prevent problems such as malnutrition and poor growth in growing children, the current status of food allergy is surveyed for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s catering centers in Eunpyeong-gu, and 1: 1 Specialized projects were carried out to provide customized counseling, educational support, alternative diets, and educational materia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faculty members and parents greatly helpe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utritious meals can be provided safely.

2012년 신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Problem-solving methods and procedures' section in the 2012's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 현태익;최재혁;이종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9-201
    • /
    • 2012
  • 이 연구는 일반계고등학교 신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것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에서 이 영역을 학습하지 못한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위해 중학교 교육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알맞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채택하여 인지적 부담을 줄일 필요가 있다. 재미있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퍼즐을 학습 예제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 방법은 ADDIE 모형에 따라 수행한다. 수업 모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파이썬을 선택한다. 이 수업 모형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컴퓨터 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컴퓨터교육과 예비 교사들이 모의수업을 하였다. 예비교사의 75%가 수업 모형에 만족하였다. 2012년 3월부터 23시간동안 일반계고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 전 후에 문제해결력 향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PSI 검사를 하고, 중간고사 정보 점수와 비교하여 약간의 정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개발한 수업 모형이 위 영역의 교수 학습에 효과가 있다고 분석한다. 그러므로 정보 교사들의 교수 학습 수업 모형의 지표가 되고, 예비 교사의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중학교 기술·가정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nd STA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박다온;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1-109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교 2009년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내용에서 가정생활 영역에 속하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인성 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 고찰, 기술·가정교육과정 및 12종 교과서의 '주거와 거주환경'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목표와 내용 구성, 차시별 활동내용, 학생평가자료, 학생용 활동 자료 및 교사용 자료 등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주거와 거주환경'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총 8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학생 활동지, 개인학습지(형성평가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의 1차 타당도 평가를 가정교육학 전공 교수 1인과 가정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인 현장 중등교사 2인에게 받고, 2차 타당도 평가는 현직 가정과교사 7인으로부터 검토 받아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수정하여 최종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타당도 평가 결과,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에 대한 타당도가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확보되었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성교육 요소와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이 현장 교사들 및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