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5초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Integrated Curriculum: The Present and Task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7-156
    • /
    • 2017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체계의 확대, 교사의 지식과 신념,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틀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국내 수학교육과의 관련 교육의 현황과 현안,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강좌개설 및 운영 자료는 설문조사와 강의계획서로 수집한 결과 강의는 수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학과의 1/3에 수학교육관련 ICT 강의가 개설되지 않았다. 테크놀로지 통합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내용의 부조화, 소프트웨어와 교과서 등 지원 부족 문제 해결을 통한 교육현장 개선과 교사교육의 포괄적, 세부적 방향설정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다.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 선우진;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1호
    • /
    • pp.121-13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he period,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s content stran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research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three journal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b)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and (c)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Regarding the period wh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 number of articl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Regarding the topics, research on teacher orientation has been the most frequent topic and the studies dealing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r teacher knowledge tend to be popular. Regarding methods, survey and case study have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in study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Regarding subjects, the main participants were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ectively, who were in charge of a regular class. Finally, regarding mathematics content strands,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not specific to mathematics content strands.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이 제안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방안 (Exemplary Science Teachers'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7-127
    • /
    • 2003
  • 본 질적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 교사 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로 선정된 10명의 과학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진단하는 교사양성 교육과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의 과학교사들은 (1) 사범대학이 교사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2) 이론과 실제가 조화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현장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사양성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이를 위하여 (3) 사범대학 교수진에 교과교육 전공자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현직 교사 연수와 관련하여 (1) 현직 교사들 스스로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하며, (2)교사 연수 내용과 방법의 현장성을 높여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사연수로 바뀌어야 하며, (3)교직 사회에 진정한 의미의 수업장학 풍토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성공적인 교실개혁을 위한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 한선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99-615
    • /
    • 2015
  •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이경건;안태수;문선영;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47
    • /
    • 2022
  • 예비 과학교사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될 과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요하며, 이에 따라 많은 예비 과학교사 교육연구들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 동향을 중등교사 맥락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하는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문헌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 17개의 KCI 등재지급 학술지에서 출판된 410건이었다. 해당 연구 문헌들의 동향은 시기별 문헌 수, 주제어 빈도, 연구의 질적 속성을 살펴봄으로써 조사하였다. 이 때 연구의 질적 속성은 예비교사의 유형과 전공, 연구맥락 교과, 연구 주제, 접근 방법, 자료 유형, 연구 참여자 수를 질적 코딩함으로써 다각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보고는 5년 간격으로 약 40건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가 출판되는 학술지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되 2010년대 후반 이후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교수효능감이나 과학의 본성, 그리고 여타 교수학습맥락이 강조되고 있었다. 질적 속성 코딩결과 예비교사 유형은 중등교사, 예비교사 전공과 연구맥락 교과는 '일반' 과학교육이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로서는 '예비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인식 및 정의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접근방법으로서는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 수는 11명 이상 30명 미만이 가장 많았다. 다만 이러한 질적 속성의 패턴은 시기별로, 그리고 예비교사 유형별로(유, 초, 중)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부터 보다 행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연구, 공통과학 교사에 대한 연구, 교사의 행위주체성에 집중한 연구, SSI 및 STS와 측면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주도할 환경교육 맥락의 포용 등 추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 제안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수학 교사교육의 현장연계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현직교사 협력적 과제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405-42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의 현장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을 시도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이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협력하여 수학 수업 과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협력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고려하였다. 각 주체는 학생과 내용의 상호작용 측면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역할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과제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Numbers Always Make Sense″: Janie′s Experience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 Pang, Jeong-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25-40
    • /
    • 2003
  • In order to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rich contexts for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s usually combine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with clinical teaching experiences. This paper explores a student-teacher's experience of loaming to teach mathematics by observing one mathematics methods course she was enrolled in and her actual classroom teaching. In particular,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examines how the student-teacher understands and applies messages from the methods course to her teaching practices. Some differences emerge with regard to ideas and practices. The underlying factors for explaining the gaps are discussed.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PDF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정보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Unplugged Computing)

  • 한희섭;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09
  •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지심리학의 개념습득 이론 중 원형이론과 본보기 이론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정보교육의 필요성과 개념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또한 언플러그드형 수업사례 시연활동을 통하여 컴퓨터과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에게 교수-학습 설계능력을 향상시키고, 컴퓨터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효과성이 높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질적 접근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87-301
    • /
    • 2005
  • 현재의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는 임용전의 교육만이 아니라 임용 후 현직 교육의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많은 현직 교육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설문지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에 머물고, 특히 수학과 교과직무연수만의 문제점을 찾으려는 시도는 미약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호응도가 낮은 것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연수 결과의 현장 적용 실태와 문제점 및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