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d flame retardanc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암모늄염으로 처리된 느티나무의 난연성 시험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 Treated with Ammonium Salts)

  • 정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9-406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flame retardancy of zelkova sarrata-based materials by the treatment of ammonium salts. Zelkova sarrata plate was soaked by the treatment with three 20 wt% ammonium salt solutions consisting ammonium chloride (AMSL), monoammonium phosphate (MAPP), and diammonium phosphate (DAPP), respectively, at the room temperature. After the drying specimen treated with chemicals, combus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by the cone calorimeter (ISO 5660-1). When the ammonium salts were used as the retardant for zelkova sarrata, the flame retardancy improved due to the treated ammonium salts in the virgin zelkova sarrata. However the specimen shows increasing CO over virgin zelkova sarrata and It is supposed that toxicities depend on extents. Also, the specimen with ammonium salts showed the higher total smoke release (TSR) than that of virgin plate. Of specimens treated with ammonium salts the ammonium chloride handled the test side was considered a improved inhibitory effect of combustion.

Flame Retardancy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LDPE/EVA Blend Involving Mg(OH)2 and Zinc-borate

  • Ryu, Boo-Hyung;Kim, Gyu-Baek;Jung, Sang-Ho;Cho, Young-Suk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7권6호
    • /
    • pp.309-312
    • /
    • 2006
  • This study shows to blend ethylene vinyl acetate(EVA) and a flame retardant agent, $Mg(OH)_{2}$, and synergists, zinc borate for improving flame retardancy of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And it studied the property of flame retardancy of LDPE/EVA blend by the amount of addition through LOI and TGA, estimat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resistivity and breakdown strength. The flame retardancy of LDPE/EVA blend was much improved in case of adding zinc borate with 6phr degree,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were more or less decreased depending on increasing the amount of addition. Zinc borate used for improving the flame retardancy of LDPE/EVA blend let the added amount of a flame retardant agent, $Mg(OH)_{2}$ limited,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decreased extremely by adding a good deal of $Mg(OH)_{2}$.

폴리올레핀계 폐플라스틱/복합filler 성형체의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연구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y of Recycled Polyolefinic Plastic Composites with Hybrid fillers)

  • 강영구;송종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6-63
    • /
    • 2003
  •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olyolefinic plastics/inorganic filler composite systems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veral inorganic flame retardant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and slag powder generated electro arc furnace Compatibilizer user each maleic anhydride functionalized polyethylene (PE-g-MAH) and polypropylene(PP-g-MAH) or used mixture of these. The effect of polymeric compatibilizers on the properties of composites was studied by tensile and impact test,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in the changed fracture mechanism. The improved adhesion was particularly reflected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flame retardancy of composites was examined by measuring limiting oxygen index(LOI, ASTM D2863), smoke density(ASTM D2843) and vertical burning test(UL94). Regarding the flame retardant effect, the EAF slag powder is behaving as synergists as they are only active in the presence of magnesium hydroxide.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69-575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PP)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 (MMT)의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DBDPO)와 클로로파라핀 왁스 (CPW)를 철가하였을 때의 난연특성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는데, 콘 칼로리미터와 한계산소지수 (LOI)의 측정을 통하여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 DBDPO와 CPW를 첨가하였을 때, 난연특성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CPW가 DBDPO보다 약간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면 폴리프로필렌의 연소특성이 가연성 영역 (LOI<19)에서 난연성 영역 (LOI>20)으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나노복합화를 하였을 때의 난연특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난연제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보다 몬모릴로나이트를 나노복합화한 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이 난연특성의 향상에 휠씬 유리하였다.

Montmorillonite 첨가에 의한 Epoxy Resin의 난연성 개선 (Improvement the Flame Retardancy of Epoxy Resin by the Addition of Montmorillonite)

  • 송영호;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0-304
    • /
    • 2008
  • 고분자 물질의 화재 위험성 및 화재시 인명 피해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점토질의 첨가에 의한 난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의 난연성 향상과 연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토질의 montmorillonite(MMT)와 같은 천연 물질을 삽입하여 연소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계산소지수(limiting oxygen index, LOI), 탄화층 생성량(char yield), 연기 밀도(smoke density) 측정 둥의 난연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Epoxy/MMT의 복합재료는 MM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한계산소지수 및 탄화층 생성량이 증가하여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나 연기 밀도는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 차이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 (Flame Retardancy of Wood Products by Spreading Concentration and Impregnation Time of Flame Retardant)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417-430
    • /
    • 2020
  • 4종의 판상형 목재제품의 방염제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따라 목재제품의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을 측정하였다. 잣나무 합판, 낙엽송 합판, 편백 판재,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에 자체 개발된 방염제를 각각 300, 500 g/㎡씩 도포하고 방염처리되지 않은 시험편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방염제의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이 감소하여 방염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낙엽송 합판을 제외하고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다.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은 60분의 침지시간까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이후 점차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은 추후 방염성능 기준에 맞는 불연·준불연 목재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MT(Dimethylterephthalate), NDC(Dimethy1-2,6-Naphthalene Dicarboxylate)를 이용한 액상 폴리에스터 폴리올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ynthesis of Liquid Polyester Polyol by using DMT(Dimethylterephthalate) and NDC(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

  • 김상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7
    • /
    • 2009
  • In this study DMT(Dimethylterephthalate), NDC(Dimethyl-2, 6-Naphthalene Dicarboxylate) were used to synthesize polyester polyol which shows enhanced storage stability,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If DMT and NDC react respectively with DEG(Diethylene Glycol) which is kind of linear diol, the obtained polyester polyols tend to crystallize easily after the reaction. In case of DMT, PA(Phthalic Anhydride) which has asymmetric structure was introduced to retard the crystallization. In case of NDC, DPG(Dipropylene Glycol) which has an methyl side chain was introduce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It was found that to introduce DPG was much more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than PA. NDC and DMT were reacted together with DPG for various compositions of NDC:DMT(8:2, 6:4, 4:6 mol ratio). The obtained NDC-DMT-DPG based polyester polyol showed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NDC.

암모늄염으로 처리한 베니어의 난연성 (Flame Retardancy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51-254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난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CO/CO_2$비를 증가시켰다. 이것은 정도에 따라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모늄염이 베니어의 난연제로 사용되었을 때, 도포된 암모늄염은 베니어의 난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ammonium sulfate와 ammonium chloride로 도포된 베니어는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에 비해 양쪽 모두 낮은 총연기방출율과 낮은 총연기량을 나타내었다.

적인을 포함한 Ortho-Cresol Novolac/Biphenyl 에폭시 복합재료의 발포성 난연 기구 (The Intumescent Flame Retardant Mechanism of Red-phosphorus Containing Ortho-Cresol Novolac / Biphenyl Epoxy Composites)

  • 김윤진;강신우;유제홍;김익흠;서광석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23-633
    • /
    • 2002
  • 적인을 이용한 ortho-cresol novolac (OCN)과 biphenyl계 혼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열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검토하였다. OCN과 biphenyl 에폭시의 부피비에 따라 5가지 조성물을 디자인하였으며, TGA 및 DTG, 그리고 UL-94V 테스트를 통해 난연 효과를 평가하였다. 충전제와 적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적 성질 및 우수한 난연 효과를 보였으나, 과량의 적인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열안정성의 저하를 유발하였다. 복합재료의 기저 수지호서 OCN/biphenyl 혼합 에폭시를 사용하였을 경우 OCN의 내열특성과 biphenyl 에폭시의 높은 발포 특성에 기인하여 보다 향상된 난연 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적인을 적용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난연 기구는 표면에서 형성된 발포성 탄화층 (char-layer)의 열적 방어 효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한 난연 NBR 발포체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 Properties of the Flame Retarded NBR Foams with Phosphorus/Nitrogen-Containing Flame Retardants)

  • 조병욱;문성철;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2호
    • /
    • pp.105-1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금속수산화물과 다양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 난연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발포체를 제조하고, 이때 인 함유량에 따른 열적특성. 난연특성, 발포특성 등의 변화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NBR 발포체의 발포특성 및 모폴로지 분석 결과 인/질소계 난연제 10 phr 범위 내에서 대체적으로 인/질소계 난연제를 투입하지 않은 금속수산화물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발포특성 및 모폴로지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열 분석에서는 인 함유량이 많은 인/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 화염분위기 하에서의 char 형성과 관련한 잔류량이 많아짐으로써 난연성이 향상됨을, LOI 분석에서도 인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LOI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cone-calorimeter 분석 결과 열 및 LOI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성을, 인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HRR, THR, EHC 등이 감소하는 반면에 COY는 증가함을, 즉 난연성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기밀도 분석 결과 cone-calorimeter 분석에서의 (A)-COY와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