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occlusio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5초

혈소판 유래 섬유소(Platelet Rich Fibrin(PRF))를 이용한 골결손부의 치료 : 증례보고 (Clinical use of Platelet Rich Fibrin(PRF) in Various Hard and Soft Tissue Defect : Case Report)

  • 지영덕;고세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4호
    • /
    • pp.303-312
    • /
    • 2007
  •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been developed not only to apply bone materials to bony defect, but also to use osteogenic and osteoinductive materials to form bone more effectively. In 1998 Mark et al applied gel formation of PRP(platelet-rich plasma) in bony transplantation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as one of the method of stimulating bone formation in maxillofacial area, which is contain of varies growth factors. After he reported that PRP accelerate bone formation, which is used in varies bone transplantation and augmentation with a good result. Especially there are amount of growth factors in PRP, and PRP increase angiogenesis, cell division, and mesenchymal cell growth. Moreover it is capable of osteoconduction, hemostatitis, anti-infection, forming the shape at transplantation, ease of handling, and recipient site stability. So it is known that success rate is high in bone transplantation. However PRP need tissue adhesive to make plasma to solid form. Thrombin and calcium chloride, component of PRP, is extracted from autogenic donor. So it is expensive to extract and there is possibility of hepatitis, AIDS, and hematogenous metastasis. After all, tissue adhesive have the limitation and danger of use. So we are willing to introduce that we had get some idea after using PRF(platelet-rich fibrin) in the various hard and soft tissue bony defect, which is self extracted simply and contain growth factors.

Treatment Protocol for Cleft Lip and/or Palate Children in Kyushu University Hospital

  • Suzuki, Akira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9-82
    • /
    • 2012
  • Our Team Approach consists of following five stages; (1) Peri-natal care until lip repair After ultrasound diagnosis, some obstetricians recommend the mother with CL/P fetus to undergo prenatal counseling in our CLP clinic. On the day the CL/P baby was born, our oral surgeon, nurse, and pedodontist visit the maternity clinic, and take counseling and take impression for a feeding plate. The cheiloplasty is performed in three months old. (2) From lip repair to palatal repair At one year of age, Otorhinolaryngologist checks middle-ear disease. Palatoplasty is carried out at 1.5 - 2 years old. (3) In deciduous and early mixed dentitions Speech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social life for the CL/P subjects, therefore the training of velopharyngeal function is essential. Orthodontist monitors dentofacial development from 5 years of age. In the case of severe maxillary under-growth or severe collapse, maxillary protractor or lateral expansion is indicative, respectively. In early mixed dentition, upper central incisor on the cleft area erupts with some torsion, and then the traumatic occlusion with tooth torsion must be corrected. (4) In mixed dentition Right before the eruption of upper canines, secondary bone grafting is performed. One year prior to the operation, maxillary fan-type expansion is carried out to correct the collapse of maxillary segments. Following the surgical operation, the erupted canine will be moved into the transplanted bone to avoid alveolar resorption. (5) In permanent dentition Final tooth alignment is carried out after eruption of second molars. Some cases may require orthognathic surgery after physical maturation. Prosthetic oral rehabilitation including the dental-implant is carried out after age eighteen.

  • PDF

2급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의 SDA 개념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n oligodontia pati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 유재욱;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30-335
    • /
    • 2012
  • Shortened dental arch(SDA) 개념은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적절한 대안이 없을 경우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져도 안정적인 교합과 저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으로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시 공히 적용되는 개념이다. 본 증례는 2급 지적장애로 인해 치료시 협조를 구할 수 없으며 우식으로 인해 다수의 치아가 상실된 환자로 대구치 부위의 심한 골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 및 상악동염으로 인해 제 2 대구치까지의 수복이 용이하지 않아 가급적 위험요인을 줄이면서 최소한의 전신마취로 치료를 종결하기 위해 SDA 개념을 적용, 제 2 소구치까지만 수복이 이루어졌다. 치료 결과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향상이 이루어졌고 추가적인 저작력의 요구는 없었으며 주기적인 재내원으로 구강위생이 강화되었다.

다양한 중합방법에 따른 악안면 보철용 폴리우레탄과 자가중합 레진 간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veness between Polyurethane Sheet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and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in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 김두열;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23-132
    • /
    • 2000
  • The field of maxillofacial prosthetics is concerned with the prosthetic reconstruction of missing head and neck tissue. Currently, facial prostheses are usually applied in cases of defects caused by the surgical removal of tumors or congenital defects. While silicone has been most widely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missing maxillofacial defects, it does not have ideal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bonding a thin polyurethane sheet to silicone prostheses was recommended. In this case skin adhesives were used for the retention of maxillofacial prostheses. But retention of devices has always been problematic. The contributions of implants can b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Implants have reduced the need for adhesive use, simplifying cleaning procedures and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stheses. For implant-retained prostheses, retentive matrix is necessary to hold attachments and/or magnets. The retentive matrix is usually fabricat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or visible light- polymerized res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dhesion-in-peel force of silicone adhesive to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polyurethane sheet with two different surface textures : pumice polish only or retention groove, and three surface primers : Dow corning 1205 primer or Dow corning S-2260 primer or FactorII A-304 primer, and two polymerization methods : room temperature or dry heat oven.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as determined as described in ASTM Standard D1876-72.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ANOVA test,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peel bond strength of A-304 primer was the highest an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2260(p<0.05). 2.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with retention groov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polished with pumice(p<0.05). 3. The t-peel bond strength of specimens polymerized in dry heat oven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specimens in room temperature(p<0.01).

  • PDF

만성 치주염을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전악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rkinson's diseases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고은솔;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28-234
    • /
    • 2019
  • 파킨슨병은 떨림, 느려진 움직임, 근육의 경직, 자세 불안정성, 보행장애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신경변성 질환으로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 물질이 고갈되어 생긴다. 이러한 파킨슨병의 특성으로 인해 환자들은 협조적으로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이 어렵다. 본 증례에서는 만성 치주염이 있는 47세의 파킨슨병 환자에게 고정성 보철 및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전악구강수복을 시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손 조작능력의 저하와 같은 파킨슨병의 특성을 고려하여 짧은 간격의 주기적인 내원을 통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교합고경 증가로 발생한 전치부 공간을 자연 폐쇄시켜 새롭게 유도한 전방유도: 증례 보고 (New anterior guidance induction through spontaneous gap closure after an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남정현;김종희;이양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46-157
    • /
    • 2023
  • 구치부 교모나 소실로 인해 발생하는 교합붕괴에서는 수복공간이 불충분하고 심미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경을 증가시키면, 하악이 후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전방유도각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통상 고경 증가 후에 생긴 상하악 전치부 사이 공간은 교정을 통해 전치 치축 변화를 유도하거나 보철적 수복으로 피개하여 적절한 전방유도를 얻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구치부 교모나 소실 후 발생한 전치 과개교합 형식은 하악이 전상방 회전하며 전치부에 교합력이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교합력이 제거되면 전치는 원래의 치축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런 사실에 착안하여 이 증례보고에서는 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을 고안, 교합 수직 고경 증가를 통한 전치부의 자연스러운 전방유도 재획득을 의도하였다. 이후 디지털 중첩 방법으로 전치부의 치축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치료법의 적절한 적응증을 정의하며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증례보고 하는 바이다.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발생한 부정교합 상태의 환자를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보철수복으로 교합관계를 회복시킨 증례 (Occlusal rehabilitation of post-traumatic malocclusion patient after reduction of panfacial fracture, using selective occlusal adjustment and implant prostheses on centric relation: a case report)

  • 김대균;박소영;이정진;박연희;김경아;서재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04-213
    • /
    • 2023
  • 구강 악안면 영역에서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골절에 대한 치료로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인 골절의 정복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적의 정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부정 유합이 발생할 경우, 하악골과 중안모 간의 구조적 관계가 상실되어 부정교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외상 후 부정교합이라 정의되며 안정적인 턱관절 위치의 확보 후 악교정 수술, 교정치료, 교합 재형성 및 보철적 재건 등이 외상 후 부정교합의 치료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안정적인 턱관절은 교합 회복 전 부정교합의 재발 및 교합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중심위 및 적응된 중심위는 가장 안정적인 턱관절의 위치로 교합 회복의 시작점이다. 본 증례는 다발성 안면 골절의 정복 후, 외상 후 부정교합이 발생하여 전악 교합의 회복을 위해 중심위에서 선택적 교합 조정 및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보철적 재건을 시행한 증례로 교합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agittal root posi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 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88-94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상악 전치의 치근 위치를 시상면에서 분석하고, 분류에 따른 빈도를 보고함으로써 즉시 식립 임플란트를 위한 방사선학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촬영한 환자 중 연구 기준에 적합한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축의 방향설정을 시행한 후에, 상악 전치부 치아와 치조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상 치근 위치를 분석하였다. 치근이 치조골의 협측, 중앙, 구개측으로 위치한 경우 각각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치근이 협측과 구개측 모두에서 피질골판에 2/3 이상 닿아있는 경우에는 Class IV로 하였다. 다음으로, 치아의 장축과 치조골의 장축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기술적 분석 및 Kruskal-Wallis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치아의 위치 및 분류에 따른 시상각을 비교하였다. 결과: 상악 전치부의 시상 치근 위치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Class I은 81.1%, Class II는 10.3%, Class III는 1.9%, 그리고 Class IV는 6.7%로 나타났다. 상악 전치부의 77.5%에서 시상각이 20도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견치의 경우, 42.7%에서 20도 이상의 시상각을 보였다. 분류에 따라서는 Class I (16.19)에서 Class II (8.72) 및 Class III (9.93)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시상각을 보였으며, Class IV (3.79)에서 낮았다. 결론: 본 제한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상악 전치의 치근은 일반적으로 협측 치조골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나, 일부 치아는 매우 얇은 치조골을 가지고 있으며, 30도 이상의 큰 시상각을 보였다. 따라서 적절한 치과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시상 치근 위치 및 시상각에 대한 cone-beam CT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다른 연결 시스템을 갖는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조임술식에 따른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Removal Torque Values of Retaining Screws Tightened to Implant-Supported Prosthesis with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by Various Tightening Technique)

  • 김동욱;최유성;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43-358
    • /
    • 2011
  • 임플랜트 치료가 보편화되고,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상부 구조물이 보급되었다. 그리고 실패에 대한 보고도 다양하며, 그 중 지대나사의 풀림현상이 가장 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와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비교하여 나사조임순서와 나사조임방법이 서로 다른 연결구조에 따라 나사풀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완전 무치악 하악모형을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하고 이공간 부위에 중심간 거리가 약 15 mm 되도록 네 개의 임플랜트 고정체 유사체를 고정한 후 바 타입으로 납형 형성하여 상부 구조물을 주조 제작하였다. 상부 구조물과 정확한 적합이 되는 주모형을 제작한 후 연결 인상법으로 외부연결구조, 내부연결구조를 가지는 연구모형을 각각 5개씩 제작하였다. 각 모형에서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가장 왼쪽에 조여지는 나사를 1번 나사로 하고 가장 오른쪽의 나사를 4번 나사로 명명하였다. 먼저, 나사조임순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2-3-4, 2-3-1-4, 2-4-3-1의 순서로 15 Ncm의 힘으로 조이고, 다시 같은 순서로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2-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나사조임방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3-1-4의 순서로 한 번에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1-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같은 순서 (2-3-1-4)의 2-step 방법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외부연결구조에서 2-3-1-4군이 2-4-3-1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그리고 내부연결구조에서도 2-3-1-4군이 2-4-3-1군과 1-2-3-4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나사조임순서와 무관하게 몇 번째 조여진 나사인지에 따른 풀림 토크값을 비교해 본 결과, 외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가 두 번째 조여진 나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내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에서부터 마지막에 조여진 나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간에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결구조에 대한 비교에서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의 풀림 토크값은 각각 16.27 Ncm, 14.25 Ncm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다수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나사조임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가운데부터 조인 경우에서 풀림 토크값이 낮았고, 연결구조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풀림 토크값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하중 조건에서의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lass II 부정교합환자의 Trainer for Kids(T4K)를 이용한 조기치료 : 증례보고 (Early Treatment of a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Trainer for Kids (T4K): A Case Report)

  • 안소연;김아현;심연수;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3
  • T4K는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능성, 가철성 교정장치이다. 기능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열과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구강안면부의 근육의 부조화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4K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2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하악 열성장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장치는 상악 치아를 고정원으로 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부족한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Labial bow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는 상악 치열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 T4K는 기성품으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약 1. T4K를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하여 안모의 개선을 얻었다. 2.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교합이 개선되었다. 3. 하악 열성장 환자에서 T4K를 장착하여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었다. 4. 구호흡 등과 같은 구강악습관의 개선을 얻었다.